본문 바로가기
  • 생글기자

    디지털 화폐 CBDC가 바꿀 미래 금융

    우리는 다양한 형태의 돈을 사용한다. 지폐와 동전부터 신용·체크카드, 간편 송금 등에 익숙하다. 최근 한국은행이 또 다른 형태의 화폐인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를 실험하고 있어 주목된다.CBDC는 중앙은행이 발행하는 디지털 형태의 법정통화다. 실물 지폐와 마찬가지로 중앙은행이 가치를 보장한다. 다만, 디지털 형태로만 존재한다. 민간이 발행하고 변동성이 큰 암호화폐와 달리 중앙은행이 가치를 보장해 안정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한은이 CBDC 발행을 검토하는 것은 지급 결제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현금 없는 사회로 가는 변화에 대응하려는 목적도 있다. 디지털경제 시대에 맞는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려는 것이다.CBDC는 몇 가지 장점이 있다. 거래 투명성이 높아져 지하경제를 양성화할 수 있고 금융 범죄 추적이 쉬워진다. 대형 재난으로 금융시스템이 마비된 상황에서도 기본적인 결제가 가능하다. 새로운 금융서비스 개발을 촉진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우려되는 점도 있다. 개인정보 보호 문제다. 디지털화폐를 사용하면 모든 거래 기록이 남아 정부가 국민을 감시하거나 통제하는 수단으로 악용될 위험이 있다는 주장이 나온다. 민간 은행의 예금이 감소해 기업 자금 조달에 어려움이 생길 수도 있다. 시스템 구축 및 운영 비용 문제도 해결해야 한다.CBDC가 도입되면 개인 금융 생활도 크게 바뀔 것으로 예상된다. 편의성이 높아지지만, 디지털기기 사용이 어려운 사람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될 수도 있다.김정은 생글기자 (원주금융회계고 3학년)

  • 생글기자

    디지털 금융 확산…보안 위협 커지고, 고령층 소외

    최근 금융산업에서 두드러지는 변화 중 하나는 모바일 금융서비스의 폭발적 성장이다. 토스뱅크, iM뱅크 등 모바일 중심의 금융서비스가 등장하고 스마트폰으로 은행 업무는 물론 투자와 결제까지 가능해지면서 금융산업의 판도가 빠르게 바뀌고 있다.디지털 금융 채널, 그중에서도 모바일 뱅킹과 핀테크 앱 이용률이 크게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오프라인 은행 지점 방문은 줄어드는 추세다. 삼정회계법인 금융시장 서비스 통계에 따르면 모바일 뱅킹 시장 규모는 2023년 86억2000만 달러에서 2024년 96억3000만 달러로 성장했다. 2032년엔 233억300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이런 변화는 금융서비스가 더 이상 은행 창구에 국한되지 않고, 언제 어디서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 확장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금융회사들은 모바일 앱을 통해 고객에게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자산 관리와 투자 조언 서비스도 잇따라 선보이고 있다.디지털 금융 확산은 새로운 과제도 던져준다. 개인정보 보호와 보안 위협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으며, 디지털 기기 사용에 익숙하지 않은 고령층 등 디지털 소외계층을 위한 대책 마련도 필요하다. 급변하는 기술 환경에 맞춰 금융시스템의 안정성을 강화하는 것도 중요한 과제다.모바일 금융 확대는 금융의 편리성과 접근성을 높였지만, 보안과 금융 포용성 등 해결해야 할 문제도 낳고 있다. 금융회사와 정책 당국은 금융 환경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며 안전한 디지털 금융 환경을 구축하는 데 힘써야 할 것이다.김정은 생글기자(원주금융회계고 3학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