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키워드 시사경제

    2차전지 핵심 원자재…'하얀 석유'로 불리죠

    아무리 좋은 스마트폰이라도 배터리가 나가면 무용지물이다. 거의 모든 기기가 전자화되는 디지털 세상에서 배터리의 중요성은 커지고 있다. 반도체에 이어 2차전지가 차세대 유망 산업이라는 얘기를 경제 뉴스에서 자주 접하는 이유다. 사실 2차전지의 사전적 의미는 간단하다. 일반 건전지처럼 방전되면 수명이 끝나는 배터리는 1차전지이고, 충전해서 다시 쓸 수 있는 배터리는 2차전지다. 수십 년 전부터 쓰여온 2차전지가 ‘폭풍 성장’을 맞으게 된 계기는 전기차의 보급이다.배터리 양극재에 활용…전기 충전 돕는 역할세계 각국은 내연기관차를 점진적으로 퇴출시키고 전기차를 비롯한 친환경차 보급을 촉진하는 정책을 쓰고 있다. 한국은 중국, 일본과 함께 세계 전기차 배터리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이노베이션 등이 국내 간판 배터리 업체다.전기차 바람을 타고 ‘귀하신 몸’이 된 원자재 중 하나가 리튬(lithium)이다. 리튬은 전기차 배터리 원가의 40% 안팎을 차지하는 핵심 구성 요소인 양극재에 채워져 전기를 생성하고 충전하는 역할을 한다. 스마트폰 배터리에는 리튬이 30g 들어가는 반면 전기차 배터리엔 30~60㎏이 필요하다. 쉽게 산화하지 않는 특성 때문에 예전부터 스테인리스강 생산에 많이 쓰였는데, 최근 2차전지용 수요가 폭증하는 추세다. 또한 니켈 함량이 높을수록 배터리 용량이 커서 고성능 차량에 탑재된다.문제는 우리나라 땅에서는 리튬이 나오지 않아 수입해야 한다는 점이다. 특히 중국 의존도가 높다. 리튬은 세계 매장량의 60%가 칠레·아르헨티나·볼리비아 일대에 치중돼 있다. 그중 상당량이 중국에서 가공돼 다시 세계

  • 경제 기타

    포스코홀딩스, 2차전지 소재사업 미래 성장목표 상향…리튬·니켈 등 자체 공급망, 친환경 소재전문기업 변신

    포스코그룹이 친환경 소재 전문 브랜드로서의 변신을 선포하고 2차전지 소재 사업의 밸류체인을 구축해나가고 있다. 특히 글로벌 완성차사와의 전략적 협력을 기반으로 양극재 생산능력을 확대해 2030년 2차전지 소재 1위 도약을 위한 발판을 다지고 있다.포스코홀딩스는 2010년 리튬 생산기술 개발에 들어간 이후 염수와 광석 모두에서 친환경적으로 리튬을 추출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리튬의 주원료인 리튬광산과 염호를 선제적으로 확보해왔다. 호주 필바라미네랄스사로부터 리튬 정광을 장기 공급받기로 하고, 아르헨티나 염호를 통해 리튬 원료를 추가 확보함으로써 안정적인 원료 공급 기반을 마련했다.2021년 4월에는 광석리튬 생산법인인 포스코리튬솔루션(2022년 4월 POSCO-Pilbara LITHIUM SOLUTION으로 사명 변경)을 설립하고 전남 광양 율촌산업단지에 4만3000t 규모 수산화리튬 공장을 착공했다. 올 3월 24일엔 연산 2만5000t 규모의 아르헨티나 염호 리튬 상용화 공장을 착공했다. 이 공장은 2024년 상반기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호주·아르헨 등에서 소재 원료 선제 확보염수 리튬 프로젝트는 포스코그룹 2차전지 소재 사업의 근간으로, 양극재의 원료가 되는 리튬의 안정적인 공급을 통해 밸류체인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와 함께 고용량 배터리 양극재의 필수요소인 니켈을 확보하기 위해 지분투자를 하고 고순도니켈 생산도 추진하기로 했다.포스코홀딩스는 작년 5월 호주의 니켈 광업 및 제련 전문회사 레이븐소프 지분 30%를 2억4000만달러(약 2700억원)에 인수하는 계약을 체결하고 2024년부터 7500t(니켈 함량 기준)을 공급받기로 했다. 포스코는 또 지난해 7월 그룹사인 SN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