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테샛 공부합시다

    세원고 이승현 학생 고교 1위, 단국대 강지선 씨 대학 1위

    테샛관리위원회는 최근 성적 평가회의를 열고 제65회 테샛 부문별 성적 우수자를 확정해 홈페이지에 발표했다. 응시자는 개인별 자격 등급과 성적표를 테샛 홈페이지에서 출력할 수 있다. 고교 챔피언은 세원고 3학년 이승현 학생이번 65회 테샛 고교 부문에서는 세원고등학교 3학년에 재학 중인 이승현 학생이 최우수상을 받았다. 우수상은 서세민 학생이 수상했다. 2등급을 받은 학생에게 주어지는 장려상은 이수찬 학생 외 5명에게 돌아갔다.대학생 부문 개인 대상은 단국대 4학년에 재학 중인 강지선 씨가 수상했다. 2등 최우수상은 우동수 씨, 3등인 우수상은 강현우(중앙대 4년) 김민제(서울시립대 4년) 김민규(한국외국어대 3년) 임재건 윤동희(명지대 4년) 이지현(동국대 4년) 씨 등 총 6명이 받았다. 장려상은 박태준(경기대 4년) 김권중 이승준(고려대 1년) 한석희(동국대 4년) 박준형(서울대 2년) 박세준(동국대 2년) 임종현(홍익대 4년) 전연정(서울대 3년) 씨 등 총 8명이 차지했다. 일반인 부문에서는 박성수 씨가 최우수상, 김병찬 김동식 씨가 우수상을 받았다. 박성수 씨는 65회 테샛 전체 수석을 했다.자세한 수상자 명단은 테샛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별도의 시상식은 열리지 않으며 개인별 상장은 홈페이지에서 출력할 수 있다. 경제이론 영역 평균 점수, 다른 영역에 비해 낮아65회 테샛에서는 경제이론 영역의 난도가 다른 영역에 비해 높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이론에서는 디플레이션에 관한 문항의 정답률이 30%대로 낮았다. A국의 디플레이션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는 상황을 소개하고, 디플레이션에 관한 설명 중 적절한 것을 고르는 문제였다. 정답은 ‘디플레이션이 발생하면

  • 커버스토리

    한·일, 노인기준 70세로 상향 모색…독일, 이민자 늘려 노동력 부족 극복

    “덮어놓고 낳다 보면 거지꼴을 못 면한다.”(1960년대) → “아들딸 구별 말고 둘만 낳아 잘 기르자.”(1970년대) → “한 자녀보다 둘, 둘보다는 셋이 더 행복합니다.”(2000년대)인구 문제와 관련한 우리나라 공익광고는 불과 반세기 만에 방향이 180도 바뀌었다.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저출산·고령화 문제에 직면한 한국의 상황을 잘 보여준다. 한국은 2005년 ‘저출산·고령화사회 기본법’ 제정 이후 10여년 동안 100조원이 넘는 예산을 쏟아부었다. 하지만 합계출산율(여성 한 명이 평생 낳는 자녀 수) 1.3명 미만인 ‘초저출산’ 상태는 그대로이다. 통계청은 지금 추세라면 100년 뒤 한국 인구가 반 토막(2582만명)날 것이라는 우울한 전망까지 내놨다.종말론을 닮았던 맬서스의 인구론은 오류로 판명인구는 경제에 많은 영향을 주는 중요 변수임은 분명하다. 생산과 소비, 교육과 국방, 연금과 부동산 등 영향을 받는 게 한두 개가 아니다. 하지만 막연한 ‘공포감’을 가질 필요는 없다. 사람 수가 모든 걸 결정하진 않기 때문이다.역사적으로 인구에 관한 ‘충격 예언’이 많았지만 들어맞은 적은 없었다. 유명한 고전인 토머스 맬서스의 《인구론》(1798)을 떠올려 보자. 식량은 산술급수적으로 늘지만 인구는 기하급수적으로 늘어 질병, 기아, 전쟁 등으로 이어진다는 그의 주장은 당시 큰 파장을 일으켰다. 폴 에를리히의 《인구폭탄》(1968), 로마클럽의 《성장의 한계》(1972) 등도 인구 과잉으로 인한 파국을 예견했다. 에를리히는 “2000년 영국은 7000만명의 굶주린 사람이 사는 가난한 섬이 돼 나라가 없어질 것”이라고 했다.일종의 종말론 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