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년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57회' 납세자의 날, '56주년'이기도 하죠
오는 3월 3일은 제57회 ‘납세자의 날’이다. 이날 배우 김보성 씨를 비롯해 김수현, 송지효, 임원희 씨 등이 아름다운 납세자와 모범납세자로 선정돼 상을 받는다고 한다. 정부는 국세청이 발족(1966년 3월 3일)한 이듬해부터 이날을 ‘조세의 날’로 정해 매년 기념해오고 있다. 2000년부터는 납세자가 주인이라는 의미에서 명칭을 ‘납세자의 날’로 바꿔 기념식을 열고 있다.태어난 지 1년 지나면 비로소 1주년이때 쓰인 ‘회(回)’는 차례나 횟수를 나타내는 말로 ‘번째’와 같은 뜻이다. ‘회/번째’는 시작하는 해를 1회로 해서 따지기 때문에 나이로 치면 ‘세는나이’, 즉 한국식 나이를 셈하는 방식과도 같다. 1967년 제1회 납세자의 날 행사를 치렀으니 2023년 올해가 ‘제57회’다.이를 ‘주년’으로도 나타낼 수 있다. ‘주년(週年)’은 1년을 주기로 돌아오는 돌을 세는 단위다. 이때는 셈법이 달라진다. 주년과 돌은 ‘만(滿)’ 개념이라 한 해가 꽉 찬 뒤에야 비로소 1주년(돌)이 된다. 가령 2022년 3월 10일 OO포럼이 발족했다면, 그 이듬해인 2023년 3월 10일이 ‘포럼 출범 1주년’이다. 이를 자칫 출범 2주년이라고 하면 틀린 표현이니 주의해야 한다. ‘주(週)’는 돌아오다, 되풀이하다란 뜻이다. 1년 만에 다시 돌아온 행사이니 다음해가 1주년이다.마찬가지로 납세자의 날은 1967년 처음 생겼으니 2023년인 올해는 ‘제56주년 납세자의 날’이다. 이를 납세자의 날이 생긴 지 ‘만 56년이 됐다’고도 한다. 주년과 돌은 같은 말이라 제56돌이라고 해도 된다. 정리하면, 첫해에 제1회 행사를 치렀다면 그 다음해는 제2회 행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첫돌, 세는나이로는 두 살이죠
이종환 삼영화학그룹 명예회장(99)이 지난 10월 관정교육재단 이사장으로 선출됐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새삼 세간의 화제가 됐다. 관정교육재단은 그가 사재 1조5000억원을 기부해 세운 아시아 최대 장학재단이다. 그의 노익장이야 이미 잘 알려진 터인데, 재단 측은 “사실상 세계 최고령 CEO(최고경영자)”라며 기네스북 등록 절차를 문의 중이라고 밝혔다고 한다. 일상에선 ‘세는나이’ , 공문서 등에선 ‘만 나이’이 명예회장을 소개할 때 따라붙는 말 중 ‘백수’를 빼놓을 수 없다. 1923년생이니 올해 아흔아홉이다. 백수(白壽)는 ‘百(백)’에서 ‘一(하나)’를 빼면 99가 되고 한자로는 ‘白(흰 백)’ 자가 되는 데서 유래했다. 올해 그의 나이를 99세라고 하는 것은 물론 한국식 나이 셈법에 따른 것이다. 만으로 하면 98세다.우리는 태어나자마자 나이 한 살을 먹는다. 어머니 배에서부터 생명체로 자라온 기간을 나이 한 살로 치는 것이다. 그래서 첫돌, 즉 태어난 지 만 1년이 되는 날 두 살이 된다. 그것을 ‘세는나이’라고 한다. 일상에서는 세는나이를 쓰지만, 신문 방송을 비롯해 이력서나 공문서 등 공적 영역에서는 만 나이를 쓴다. 만으로 나이를 나타내는 말은 따로 없다. 그저 ‘만 나이’ 식으로 띄어 쓰면 된다.‘만(滿)’은 시기나 햇수를 꽉 차게 헤아리는 것을 이르는 말이다. 가령 2020년 11월 8일 태어난 아이는 2021년인 올해 11월 8일이 만 한 살이 된다. 그것을 ‘돌’이라 해도 되고, ‘주년(週年)’이라 해도 된다. 주년은 1년을 단위로 돌아오는 돌을 세는 단위다. ‘돌’이란 태어난 날로부터 한 해가 되는 날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창간 16돌을 앞두고 700호를 맞다
‘생글생글’이 이번 호로 700호를 맞았다. 햇수로는 2005년 6월 창간호를 냈으니 만 16년 가까운 세월을 쉼없이 달려온 셈이다. 오는 6월 7일이 생글생글이 세상에 첫선을 보인 지 꼭 16년이 되는 날이다. 이를 ‘16주년’이라고도 하고 ‘16돌’이라고도 한다. ‘주년’은 ‘돌’과 같은 말, ‘회’는 ‘번째’와 같아‘돌’은 원래 어린아이가 태어난 날로부터 한 해가 되는 날을 가리키는 말이다. 거기서 의미용법이 확대돼 지금은 ‘특정한 날이 해마다 돌아올 때, 그 횟수를 세는 단위’로도 많이 쓰인다. “올해(2021년) 10월 9일은 세종대왕이 훈민정음을 반포한 지 575돌이 되는 날이다”라고 한다. 이 ‘돌’과 ‘주년’ ‘주기’ ‘회’ ‘번째’ 등이 모두 차례나 횟수, 기간 등 비슷한 의미를 띠는 말이라 그 용법을 헷갈려하는 경우가 많다.‘주년(週年)’은 1년을 단위로 돌아오는 돌을 세는 단위다. 가령 2002년 한·일 월드컵대회가 열린 것을 기념해 다음 해에 행사를 열었다면 ‘월드컵 1주년 기념 행사’다. 이를 자칫 2주년이라고 말하는 것은 잘못이다. ‘주(週)’가 돌아오다, 되풀이하다란 뜻이다. 1년 만에 다시 돌아온 행사이니 1주년이 되는 것이다. 요체는 주년을 따질 때 ‘기준이 되는 해는 세지 않는다’는 것이다.이 주년은 ‘돌’과 같은 말이다. 아기가 태어나서 1년이 지나면 ‘첫돌’ 잔치를 여는 것을 생각하면 된다. 2000년 4월1일 태어난 사람이라면, 올해(2021년) 4월1일 생일이 만 21년, 즉 21주년 생일이다. 이를 “스물한 돌”이라고도 한다.‘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