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내년 다음 해는 내후년이 아니라 '후년'이에요
내후년은 3년 뒤를 가리키는 말이다. 올해를 기준으로 하면 2021년이다. 내년 다음 해를 가리키는 말은 '후년'이다. '내년→후년→내후년'으로 나간다.“최저임금을 내후년까지 계속 급격하게 인상하면 일자리 14만 개가 줄 수 있다.” 지난 4일 국책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KDI)에서 보고서를 하나 내놨다. 급격한 최저임금 인상과 그것이 고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자료였다. 그동안의 정부 주장과 배치되는 내용이라 파장이 컸다. 언론에서도 이를 대문짝만하게 보도했다. 우리의 관심은 언론에 인용된 ‘내후년’에 있다.2년 뒤는 후년, 3년 뒤가 내후년KDI 자료를 보도한 언론의 문맥은 이렇다. ‘최저임금이 2020년 1만원이 되도록 내년과 내후년에도 15%씩 인상된다면 고용감소 영향이 내년 9만6000명, 2020년 14만4000명으로 확대되고….’ 2019년 내년에 이어 2020년을 내후년으로 쓴 것임이 드러난다. 하지만 내후년은 3년 뒤를 가리키는 말이다. 올해를 기준으로 하면 2021년이다. 내년 다음 해를 가리키는 말은 ‘후년’이다. ‘내년→후년→내후년’으로 나간다. 사람들이 후년의 존재를 잊고 내년 다음을 내후년으로 착각하고 쓰는 경우가 흔하니 조심해야 한다.대부분의 신문이 이 함정을 벗어나지 못했다. 특히 말글의 정확한 사용에 취약한 인터넷 언론일수록 오류가 심했다. 의미를 정확히 알지 못하고, 대충 두루뭉술하게 쓰는 말들 가운데 하나다. 이런 오류는 이해 관계가 걸려 있거나 사실 관계를 다투는 경우일수록 치명적이 된다.지난 6일 한 방송사 뉴스에선 다음과 같은 소식을 전했다. “세계은행이 내후년까지 세계 경제가 점진적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