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지원
-
생글기자
K컬처 인기, 한복산업 성장 기회로 활용하자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가 전 세계적 흥행에 성공하며 작품에 나오는 한복에 대한 관심도 높아졌다. 하지만 한복 산업에 대한 정부의 효과적 지원은 여전히 부족하다는 비판이 나온다.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김승수 의원은 최근 “한복은 단순히 옷이 아니라 한국의 전통적 미감과 국가적 정체성을 세계에 소개하는 문화적 자산”이라며 문화체육관광부의 정책적 지원이 미흡하다고 지적했다.문체부의 한복 산업 실태 조사는 2022년부터 중단됐다. 한복 산업이 처한 상황을 정확히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셈이다. 산업 성장의 기반이 되는 연구·개발 지원 역시 지난 5년간 두 차례에 불과했다. 한복 문화 진흥을 위해 설립한 공공기관인 한국한복진흥원은 최근 3년간 운영하던 사업이 중단돼 내년 정부 예산안에 따르면 국비 지원을 전혀 못 받게 됐다.법적 기반도 취약하다. 한식은 한식진흥법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가, 한옥은 한옥 등 건축 자산의 진흥에 관한 법률을 근거로 국토교통부가 지원하고 있다. 반면 한복은 관련 법이 없어 제도적 뒷받침이 부족하다. 문체부는 10월 21일을 한복의 날로, 10월 셋째 주를 한복 문화 주간으로 지정했지만, 실효성 있는 한복 산업 활성화 방안은 마련하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는다.K-팝 등 한류 콘텐츠가 세계 곳곳에서 인기를 얻고 있는 지금은 한복을 세계에 알릴 좋은 기회다. 우리가 가진 또 하나의 문화 자산인 한복을 제대로 활용하고 발전시킬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하다.이다은 생글기자(청심국제고 3학년)
-
김동욱 기자의 세계사 속 경제사
코로나19로 멈춰선 위기의 항공산업…일괄지원이 맞을까 선별지원이 맞을까
안녕하세요? 오늘은 항공산업의 위기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가장 타격이 심한 것이 석유와 더불어 항공산업입니다. ‘이렇게 가다 가는 항공사 절반이 망한다’ 국제항공운송연합이 지난 3월 이렇게 경고성 예측을 내놨습니다. 비행기들이 다 멈춰 섰으니 오죽하겠습니까?4월 세계 항공편수 80% 줄어먼저 비행편수가 얼마나 줄었는지를 살펴보죠. 세계 상업항공편수인데요. flightradar24라는 사이트가 보여주는 항공편수의 상황<그래픽>을 보면 2019년 3월 한 주 동안의 항공트래픽 상황이 2020년 3월 한 주의 상황 그림보다 훨씬 짙죠. 2016년부터 상업 항공편수의 변화를 보여주는 통계를 보면 해가 지날수록 높아지는 양상을 보여왔습니다. 당연히 그랬겠죠. 사람들이 해외여행을 얼마나 많이 가게 됐습니까. 그런데 4월을 비교해 보면 2019년 12만에서 2020년 2만6000으로 떨어집니다. 80%가 사라진 거죠. 그야말로 곤두박질치게 된 겁니다.당연히 수입도 사라지요. 항공운수협회의 추정에 따르면 2020년은 3140억달러, 원화로 380조원 정도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2019년에 비해서 55% 줄어든 숫자입니다. 한국도 예외가 아닙니다. 한국교통연구원 자료에 따르면 2020년 3월 한국의 국제항공여객 수는 전년 동기에 비해서 91.5% 줄었습니다. 기획재정부도 자료를 발표했는데요. 4월 둘째 주 기준으로 대한항공의 경우 전체 125개 노선 중 93개 노선이 멈췄고 29개 노선은 운항 횟수를 줄였습니다. 국제선 운항률은 14.8%에 머물렀다, 인천국제공항의 지상조업사와 면세점도 지난해보다 매출이 각각 80%쯤 감소했다고 합니다.수입은 거의 사라졌는데 돈 들어가는 일은 여전히 많습니다. 항공은 고정비용이 큰 산업입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