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짜뉴스
-
생글기자
가짜뉴스로 몸살앓고 있는 지구촌
전 세계적으로 가짜뉴스의 폐해가 심각한 지경에 이르고 있다. 이에 따라 강력한 규제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국내외에서 고조되고 있으며, 각국 정부는 이에 대한 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지난 1월 독일 정부는 온라인 플랫폼에 게재된 콘텐츠가 위법한 내용이거나 가짜뉴스로 판명될 경우 24시간에서 7일 이내에 삭제할 의무를 부과하는 ‘네트워크 운용 개선법안(NetsDG)’을 통과시켰다. 동시에 법을 위반할 경우 최대 5000만 유로(약 653억원)의 벌금을 부과하는 조항도 함께 마련했다. 또한 4월에는 유럽연합이 잘못된 정보와 가짜 뉴스를 단속할 수 있는 일련의 제안들을 발표했다. 이에 발맞춰 6월에는 프랑스의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이 거짓 정보에 대해 즉각 게시 중단을 집행할 수 있는 법안을 제출했다.그런가 하면 지난 7월 미국에서는 페이스북, 구글, 트위터 같은 대표적인 소셜미디어 업체 대표들이 국회 청문회에 출석해 정치적인 이유를 들어 콘텐츠에 대한 검열에 반대한다는 견해를 밝혔다. 이에 대해 공화당 의원들은 오히려 관련 규제를 반대하는 소셜미디어 업체들의 정치적 동기를 비판하기도 했다. 가짜 뉴스를 둘러싼 정부와 민간 기업 간의 치열한 공방전이 전개되고 있는 것이다.이 문제와 관련하여 미국의 대중적 정치 사이트인 아이사이드위드(iSideWith)에서는 최근 흥미로운 여론조사를 벌이고 있다. 가짜뉴스와 잘못된 정보를 막기 위한 수단으로 정부가 소셜미디어 사이트를 규제해야 하는지에 대해 미국 유권자들의 의견을 물은 것이다. 아직 진행 중인 이 투표에서는 이에 반대하는 의견(79%)이 찬성(21%) 쪽보다 압도적으로 우세하다. 그 주된 이유로 가짜뉴스의 판단 여부
-
트럼프 美 대통령의 구글 공격… '가짜뉴스' 논란 뜨거워
미국에서 편향적인 ‘가짜뉴스’ 논란이 뜨겁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CNN을 겨냥했던 ‘가짜뉴스’에 대한 비난의 화살이 이번에는 세계 최대 검색엔진인 구글을 향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8월28일 트위터를 통해 “구글에서 ‘트럼프 뉴스’를 검색해 봤더니 96%가 좌파 매체 뉴스였다. 이는 매우 위험하다”고 불만을 드러냈다. 구글은 ‘보수주의 목소리를 억압한다’는 트럼프의 주장에 대해 “구글은 정치적 의제를 설정하는 데 이용되지 않으며 검색 결과는 정치적으로 편파적이지 않다”고 즉각 반박했다. 하지만 백악관이 구글을 들여다보겠다고 하는 등 편파성 뉴스 논란은 계속 뜨거울 전망이다. 한국에서도 네이버 뉴스의 편파성 논란이 제기된 지 오래다. 사진은 트럼프 대통령(오른쪽)이 백악관에서 잔니 인판티노 국제축구연맹(FIFA) 회장이 “언론과의 만남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는 농담과 함께 건네준 레드카드를 기자들을 향해 들어보이는 모습.
-
커버스토리
기업을 괴롭히는 가짜뉴스··· 진짜 가려내는 과학적 사고 길러야
가짜뉴스가 기업까지 괴롭히고 있다. 커피전문점인 스타벅스는 최근 ‘불법 이민자들에게 모든 메뉴를 40% 할인해준다’는 가짜뉴스를 진화하느라 애를 먹었다. 회사 측은 ‘드리머 데이(Dreamer Day)’라는 그럴듯한 해시태그(#)와 함께 번진 가짜뉴스마다 “완전히 잘못된 내용으로 회사가 후원하는 행사가 아니다”는 답글을 달아야 했다. 스타벅스 외에도 코스트코는 ‘회원권 발행을 중단한다’는 가짜뉴스로 홍역을 치렀다. 가짜뉴스 작성자들은 방문자 수를 높여 광고 수입을 올리거나 정치적 혹은 개인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런 뉴스를 만들어낸다. 가짜뉴스가 확산됨에 따라 사실 여부를 검증하는 ‘스놉스’라는 사이트가 인기를 끌고 있다. 배경 사진은 스놉스의 ‘가짜뉴스 50선’ 화면이다. 작은 사진은 스타벅스 가짜뉴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