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
-
대학 생글이 통신
힘든 수험생활 중 열대어에서 받은 위로
수험생 여러분, 오늘 하루도 숨가쁘게 하루를 달려가고 있죠? 지금 이 순간이 중요하다고, 열심히 해야 한다고, 남들보다 한 발 더 뛰어야 한다고 자기 자신을 채찍질하면서 말입니다. 노력의 중요성은 말할 필요도 없지만, 저는 오늘 달리는 것보다 쉬는 것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합니다.대학 입시를 준비하면서 저를 가장 든든하게 지탱해준 것은 집에서 가꾸는 어항 하나였습니다. 고등학교 3학년 때 저는 유유자적하는 모습으로 물속을 헤엄치는 열대어를 돌봤습니다. 그들이 꾸준히 개체수를 늘려가는 모습을 보며 감동했습니다. 물고기들을 돌보는 하루 30분이 저에게 정말 큰 위로가 되었습니다.휴식이란 단순히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만은 아닙니다. 평소 하는 일과 전혀 다른 성격의 무언가를 경험하는 것 또한 좋은 휴식이 될 수 있습니다. 뇌는 같은 종류의 정보를 계속 받아들이면 피로를 느끼지만, 전혀 다른 내용의 자극을 받으면 보상으로 인식한다고 합니다. 입시 공부와는 아무 관련 없는 취미 활동이나 완전히 다른 세계를 들여다보는 일이 수험 생활에 지친 뇌에 큰 보상이 되는 것이죠.영상학과 입시를 준비하면서 저는 하루 중 대부분의 시간을 영상이나 영화와 관련된 활동으로 채웠습니다. 면접을 준비할 때도 취미가 무엇이냐는 예상 질문에 영상과 관련된 대답을 하려고 했지만, 저에게 정말 큰 휴식을 주는 것은 열대어 키우기였기에 솔직하게 답하기로 마음먹었습니다. 실제 면접에서 질문을 받았을 때 저는 열대어 키우기가 취미라고 답했고, 예상 밖의 대답이 오히려 면접관의 관심을 끌며 제 이야기에 귀 기울이게 할 수 있었습니다.수험생들은 쉬는 것을 마치 죄를 짓는 일로 생각
-
강홍민 기자의 직업의 세계
"한 줄의 오프닝 멘트로 위로와 공감 전하죠"
27년 경력... 김현아 KBS1 라디오 작가캐나다 출신 발명가 레지널드 페센든은 1906년 크리스마스 전날 밤, 자신이 개발한 발전기와 마이크를 이용해 바이올린을 연주하며 부른 노래를 대서양으로 무선 송출했다. 대서양에 떠 있는 선박의 무선 전신원들은 이어폰으로 흘러나오는 사람의 목소리와 음악을 듣고 무척 놀랐다고 한다. 라디오의 시초다. 이후 라디오는 인류의 삶 곳곳에 스며들었다.TV가 나오고, 인터넷이 나왔지만 나지막하게 흘러나와 우리 귀를 간지럽히는 라디오 소리는 여전히 매력적이다. 지금 이 순간에도 어디선가 누군가는 라디오에 귀를 기울이고 있을 것이다. 라디오 프로그램을 만들 때 없어선 안 되는 직업, 라디오 작가를 강홍민 기자의 직업의 세계에서 만나봤다. 단 몇 마디의 오프닝 멘트로 청취자들에게 공감과 위로를 전하는 김현아 라디오 작가(50)다.▶라디오라는 매체는 세월이 지나도 참 매력적인 것 같아요. 라디오 작가의 역할을 궁금해 하는 분들도 많은데요. 어떤 일을 하는 직업인가요.“라디오 작가는 출연자를 섭외하고 대본을 쓰는 일을 해요. 프로그램 시간과 콘셉트에 따라 기획을 하고, 대본을 작성하고, 패널을 섭외해요. 보통 메인 작가가 오프닝부터 코너 운영까지 업무 분장을 하죠.”▶한 프로그램에는 몇 명의 작가가 필요한가요. “메인 작가 혼자서 하는 프로그램도 있고, 2~3명이 하는 프로그램도 있어요. 3명이 있으면 메인-서브-막내 작가로 구성되죠. 메인 작가가 모두 다 관여하기도 하고, 후배 작가들에게 코너를 나눠 맡기기도 해요. 프로그램마다 다 다른 게 라디오 작가의 세계죠.(웃음)”▶작가 교육은 도제식으로 이뤄지겠네요. 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