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대학 생글이 통신

    일정한 여가시간 가져야 슬럼프 빠지지 않아요

    정시 일반전형으로 연세대 경영학과 21학번으로 입학한 생글기자 14기 주호연입니다. 대학수학능력시험 D-100이 어느덧 지나갔습니다. 어떤 분은 원하는 공부량을 모두 달성했을 수도, 어떤 분은 원하는 공부량에 한참 못 미쳤을 수도 있을 것입니다. 또한 성적도 자신이 기대한 것 이상으로 잘 나왔을 수도, 기대보다 한참 아래에 그쳤을 수도 있습니다. 누구든 각각의 이유로 방황하고 있을 수도 있습니다. 기대보다 낮은 자신의 모습에 실망하고 주변 사람들과 비교하며 슬럼프를 겪으시는 분들이 많으실 겁니다. 오늘은 이럴 때 어떻게 극복하는 것이 좋을지에 대해 함께 얘기해보려고 합니다. 매일 조금이라도 여가시간이 필요해수험생에게 슬럼프란 자신의 평소 상태보다 공부가 잘 안 되거나, 성적이 잘 나오지 않는 상태라고 생각합니다. 저 또한 슬럼프를 겪었고, 대부분 한 번씩은 겪는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고등학교 3학년인 해의 4~5월에 심했습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개학이 연기되고, 학교 기숙사도 출입이 통제돼 집에만 있어 스트레스가 극에 달했습니다. 기숙사 학교인지라 만날 사람도 없었고, 고등학교 3학년이기에 공부를 놓을 수도 없었습니다. 등교가 2주씩 연기되며 다음주에는 학교를 가겠지 하며 억지로 버텼지만, 점점 등교하지 않는 시기가 길어지자, 자습시간이 반으로 감소했습니다. 시간도 없고 스트레스는 풀어야 하는 시기에 저는 운동과 산책을 택했습니다. 하루를 잡아서 한번에 여가시간을 다 사용하는 것보다는 매일 조금씩 여가시간을 가지는 게 정신 건강에 좋았습니다. 점심을 먹고 졸릴 시간대에 농구 연습을 혼자 했고, 저녁을 먹고는 혼자

  • 대학 생글이 통신

    소음 있는 곳서 정해진 시간 내 문제 푸는 연습 해보세요

    안녕하세요, 저는 연세대 상경대학 경제학부 19학번이자 13기 생글기자인 백나현입니다. 대학수학능력시험이 두 달도 채 남지 않은 상황에서 어떻게 공부해야 하는지 이야기해 보고자 합니다. 수능 시험장에 초점을 맞춘 피드백9월 모의평가가 끝난 뒤 공부가 느슨해질 수 있어요. 이때 하루 동안 공부를 어떻게 했는지를 반드시 잠들기 전에 피드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피드백은 무조건 ‘수능 시험장’을 초점에 둬야 합니다. 가령 ‘오늘 국어 45문제를 푸는데 너무 여유롭게 풀었으니, 수능 날 촉박한 시간 내에 정확한 답을 찍는 연습을 하기 위해서 내일은 시간을 절반으로 줄여서 풀어보자’와 같이, 수능 날 어떻게 할지를 초점에 두고 피드백해야 합니다. 수능 시험장에서는 기상천외한 사건이 자주 벌어집니다. 자리 배치가 안 좋을 수 있고, 주변 학생들이 소음을 만들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최악의 상황을 가정하고 공부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 중요하게 활용해야 할 것이 바로 피드백이지요! 구체적인 피드백 내용은 그날의 플래너에 적어서 다음날 다시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계획을 수정할 수 있도록 합니다.  사람 왕래가 많은 곳에서 집중해보세요저는 집중이 되지 않을 때마다 5분간 잠을 잤습니다. 집중이 안 된다는 것은 뇌가 받아들일 수 있는 용량을 초과한 것이라고 여겼기 때문입니다. 이때 5분 동안 자면 개운하게 다시 공부에 임할 수 있습니다. 5분이라고 제한한 이유는, 지금부터 수능까지는 1분1초가 아깝기 때문입니다. 또한 저는 공부가 되지 않을 때마다 독서실 계단에 서서 공부했습니다. 계단은 사람들이 많이 지나다니는 곳인 만큼 집중하기 힘든 곳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