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과학과 놀자

    유전자 비슷해 병에 취약…멸종 예방 위한 조치

    유전자를 인위적으로 바꾼 바나나를 먹게 될 날이 머지않았다. 최근 호주 유전기술규제처(OGTR)는 퀸즐랜드공대 연구팀에 파나마병에 내성을 지닌 유전자변형(Genetically Modified, 이하 GM) 바나나의 상업적 재배를 승인했다. 앞서 호주·뉴질랜드식품기준청(FSANZ)은 이 바나나에 대해 사람이 먹어도 될 만큼 안전하다며 호주와 뉴질랜드 내 판매를 허가했다. GM 바나나가 세계 최초로 ‘식용’ 인정을 받은 것이다. 유전자변형식품에 관한 논쟁이 지속되는 가운데 GM 바나나를 만들게 된 사연은 무엇일까.바나나의 장점 중 하나는 먹다가 씨를 뱉지 않아도 된다는 것이다. 그런데 씹히지 않는다고 해서 씨가 없는 건 아니다. 심지어 야생 바나나는 먹기 힘들 정도로 씨가 굵고 딱딱하다. 우리가 흔히 먹는 바나나는 ‘씨 없는 수박’처럼 교배를 통해 만든, 염색체가 3벌이 있는 3배체 재배종이다. 3배체 종은 사람 같은 2배체 종과 다르게 감수분열할 때 염색체 분리에 이상이 나타나 생식능력을 상실하는데, 이 때문에 씨가 없다. 가끔 보이는 바나나 속 작고 검은 알갱이는 씨앗의 흔적일 뿐 그 역할을 하지는 못한다.이런 이유로 바나나는 일반 작물처럼 씨앗을 심어서 재배할 수 없다. 그래서 바나나를 수확한 후 지제부(줄기가 땅에 접한 부분)의 가지를 잘라 옮겨 심는 방식으로 번식시킨다. 필연적으로 새로 자라는 바나나나무는 마치 복사한 것처럼 기존 나무의 유전자를 유지하는데, 이는 곧 비슷한 품종의 바나나는 유전자가 거의 동일하다는 뜻이다. 씨가 사실상 없는 바나나를 계속 재배할 수 있는 건 장점이지만, 자칫 이 품종에 치명적인 병이 퍼질 경우 일제히 피해를 볼 수 있다. 유

  • 숫자로 읽는 세상

    바나나가 귀해진다…필리핀 수출량 전년의 60% 수준 전망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아시아 바나나 공급에 차질이 발생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세계 2위 바나나 수출국인 필리핀이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자국 대부분 지역에 봉쇄령을 내려서다. 최근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올해 필리핀 바나나 수출량은 작년의 60% 수준으로 급감할 전망이다. 스티븐 안티그 필리핀 바나나 재배·수출협회 사무총장은 “필리핀은 지난해 바나나를 400만t 수출했지만, 올해는 250만t 정도만 내보낼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이는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바나나 농장과 포장 공장 등이 운영을 멈췄기 때문이다. 필리핀은 지난달 17일부터 필리핀 인구의 절반가량이 사는 루손섬 등에 봉쇄령을 내렸다. 바나나 농장과 포장 공장이 밀집해 있는 남부 일대 각 주(州)에도 봉쇄를 확대했다. 이로 인해 필리핀 최대 바나나 생산 기업 유니프루티필리핀 등이 바나나 생산 작업을 중단했다.알베르토 바차니 유니프루티 대표는 “아시아 수출용 바나나 농장 다수가 폐쇄된 상태”라며 “바나나는 빨리 상하는 작물이어서 향후 농장 운영을 재개하더라도 그간 쌓인 양 대부분이 폐기 처분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필리핀의 수출량이 급락하면서 앞으로 2주 내에 일본 내 바나나 물량이 확 줄어들 것”이라고 내다봤다.필리핀은 세계 바나나 수출량의 약 20%를 담당한다. 아시아 전체 바나나 수출량(451만t)의 87.5%에 달한다. 중국과 인도도 바나나 생산량이 많지만 95% 이상을 자국에서 소비한다. 필리핀 바나나업계는 도시 봉쇄령이 풀리더라도 당분간 이전 수준 생산량을 회복할 수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 바나나 생산은 노동집약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