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커버스토리

    아름다운 기부·자발적 기부는 문화의 문제다

    연말 ‘기부 시즌’이 시작됐다. 매년 입김이 나오는 계절이 되면 거리에는 종소리와 함께 ‘이웃을 돕자’는 목소리가 들린다. 발길을 멈추고 따뜻한 손길을 내미는 사람도 있다. 하지만 한국을 ‘기부 선진국’으로 보기는 어렵다. 영국 자선지원재단(CAF)이 매년 발표하는 ‘세계기부지수’에서 올해 한국 순위는 60위다. 호주(2위) 미국(4위) 등 선진국은 물론 인도네시아(1위) 케냐(8위) 나이지리아(16위)보다도 순위가 낮다. 국내 기부 규모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지만 증가폭이 크지 않은 게 사실이다.사회복지공동모금회에 따르면 국내 연간 기부액은 2011년 11조1547억원에서 2016년 12조8684억원으로 5년 동안 15.4% 늘었다. 2016년 개인 기부금은 8조2113억원, 기업 기부금은 4조6471억원이었다. 과거에 비해 개인 기부금은 소폭 늘어나고, 기업 기부금은 줄어드는 추세다.개인 기부 참여율이 낮은 것도 한계로 꼽힌다. 한국 전체 기부금 중 개인 기부금이 차지하는 비중은 60%가량이다. 선진국은 이 비중이 70~80%에 달한다. 기부금이 어디에 어떻게 쓰이는지 믿기 어려워 개인들이 기부를 꺼린다는 분석도 나온다. 기부금을 개인 경비로 쓰다가 적발되거나, 기부 제도가 사기범죄에 악용되는 등의 보도를 심심찮게 접하면서 기부에 대한 거부감이 생겨났다는 얘기다. ‘내 돈이 가치있게 쓰이고 있다’는 확신을 심어줘야 자발적인 모금을 늘릴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아름답고 자발적인 기부는 문화의 문제다.기부금이 크게 늘지 않는 원인과 올바른 기부문화를 조성하는 방안은 무엇인지 4, 5면에서 자세히 알아보자.이수빈 한국경제신문 지식사회부 기자 lsb@hankyung.com

  • 커버스토리

    기부 문화 가장 발달한 미국…세계적 '기부천사'도 많아

    미국은 세계에서 기부 문화가 가장 잘 발달한 국가로 알려져 있다. 미국 비영리단체 기빙USA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인이 기부한 금액은 총 4100억달러(약 462조원)로 2016년(3732억달러)보다 5.2%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 정부의 올해 예산 428조8000억원을 훨씬 뛰어넘는 금액이다. 종교 관련 기부가 31%로 가장 많았고, 교육(14%), 사회복지(12%), 자선 재단(11%), 건강(9%) 분야가 뒤를 이었다.빌 게이츠·저커버그·델…기부로 사회공헌자산 관련 전문지 크로니클오브필랜스러피는 빌 게이츠 마이크로소프트 공동창업자 부부가 지난해 48억달러를 기부해 기부액 1위를 차지했다고 전했다. 마크 저커버그 페이스북 최고경영자(CEO) 부부가 20억달러, 마이클 델 델테크놀로지스 회장 부부가 10억달러로 뒤를 이었다. 이들은 주로 자신의 이름을 딴 자선 재단을 통해 사회 각계에 도움의 손길을 건네고 있다.이 잡지의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 상위 50명 기부자의 기부액은 147억달러에 달한다. 기빙USA가 집계한 전체 기부액의 약 28%를 차지한다. 2016년 56억달러의 두 배 이상으로 늘어난 금액이다. 지난해에는 정보기술(IT) 관련 거부들의 기부액이 87억달러로 집계돼 50위 기부액 합계 중 60%를 차지했다.올해도 굵직한 기부 행렬이 이어지고 있다. 팀 쿡 애플 CEO는 지난 8월 애플 주식 2만3215주(약 497만달러)를 자선단체에 기부했다. 그는 2015년 “전 재산을 기부하겠다”고 밝힌 뒤 꾸준히 기부에 나서고 있다. 마이클 블룸버그 전 뉴욕시장은 지난달 모교인 존스홉킨스대에 18억달러를 기부했다. 미국 교육기관에 기부한 금액으로는 사상 최대 규모다. 장학금, 수업료 대출금 탕감 등의 형태로 지급될 예정이

  • 저무는 2018…나눔으로 '사랑의 온도'를 높여주세요

    나눔과 기부는 더불어 사는 사회의 핵심 미덕이다. 나눔과 기부가 넘치는 나라가 진정한 선진국이다. 개인의 삶은 나눔을 통해 더 풍성해지고, 국가는 나눔으로 국격이 더 높아진다. 하지만 미덕과 법은 다르다. 법은 지켜야 하는 강제 규율인 반면 도덕은 자율적 덕목이다. 나눔과 기부를 장려하고 칭찬하지만 이를 강요, 또는 요구하는 건 곤란하다. 개인이나 기업이 기꺼이 자발적 기부를 하도록 응원하는 사회가 돼야한다. 연말연시에 곳곳에서 이웃돕기 모금활동을 한다. 작은 정성으로 우리 사회의 ‘사랑의 온도’를 높여보자. 사진은 사회복지공동모금회가 서울 광화문광장에 설치한 ‘사랑의 온도탑’ 앞을 시민들이 지나가는 모습이다. 사회복지공동모금회는 지난 20일부터 내년 1월 31일까지 전국에서 이웃돕기 모금활동을 벌인다. 목표액(4105억원)의 1%가 모일 때마다 사랑의 온도탑 온도가 1도씩 올라간다.

  • 경제 기타

    기부하기 좋은 환경

    예전보다 한국의 기부 문화가 어느 정도 자리 잡은 데는 유명 연예인들의 기부 활동이 한몫했다. 차인표·신애라 부부, 최수종·하희라 부부, 션·정혜영 부부 등이 대표적이다. 차인표·신애라 부부가 활발히 활동 중인 단체 ‘컴패션’은 1952년 한국의 전쟁고아를 돕기 위해 시작됐다. 이처럼 전쟁으로 빈곤에 빠진 한국을 돕기 위해 많은 기부단체가 생겨났다. 물론 지금은 개개인의 기부 활동뿐만 아니라 기업의 기부 및 사회공헌 활동도 많이 활발해졌다.연예인 부부의 기부개인의 자유와 창의가 존중되는 사회에서 경제 질서의 기본은 경쟁이며, 경쟁은 국민의 복지 향상에 기여하게 된다. 하지만 경쟁에는 상대가 존재하고 승자와 패자가 필연적으로 나뉜다. 따라서 경쟁의 규칙은 공정해야 한다. 승리자는 거만하지 않고 겸손해야 하며 자신과 경쟁한 상대방을 존경하고 배려해야 한다. 이를 통해 경쟁의 가치는 확산되고 경쟁이 지속 가능한 환경이 조성된다.작든 크든 모든 경제적 부는 경쟁을 통해 얻게 된다. 부를 획득한 이들은 자신이 누리는 풍요에 책임감을 가진다. 경쟁이 복지 향상의 기회가 된다는 점을 이해하기 때문이다. 부자가 되려고 경쟁에 참여하는 것이 바로 국민 전체의 복지를 향상시키는 일이며, 부자가 되는 것은 노력과 운의 결과인 것이다. 결국 그 결실을 기부하는 것은 국민 전체의 복지를 향상시키는 새로운 경쟁의 기회를 창출하게 된다.사회 환원은 자발적이어야기업의 기부 활동은 개인의 기부 활동만큼이나 중요하다. 경쟁에서 살아남아 이윤을 남긴 기업들은 기부 활동을 통해 자신들이 얻은 부를 다시금 사회에 환원한다. 더욱이 기부 같은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