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생글기자

    다문화 국가 한국 앞에 놓인 과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전체 인구 중 외국인 비중이 5%를 넘는 국가를 ‘다인종·다문화 국가’로 정의한다. 미국, 캐나다, 호주 등이 이런 나라에 해당한다. 한국은 작년 4월 기준 외국인이 260만2669명으로 전체 인구 중 5.07%로 집계돼 아시아 국가 중 최초로 다인종·다문화 국가가 됐다.외국인 인구 증가는 저출생으로 인한 인구 감소 문제를 완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다. 내국인 인구는 줄어든 반면 외국인 수는 늘면서 총인구가 유지되고 있다. 그러나 다양한 문화가 뒤섞이는 과정에서 갈등이 발생할 가능성도 존재한다.이런 문제를 바라보는 관점으로 동화주의와 다문화주의가 있다. 동화주의는 소수집단의 문화를 다수의 주류 문화에 흡수하는 것이다. 동일한 언어, 동일한 국가적 정체성을 바탕으로 사회질서를 유지하고 주류 문화에 적응한 이주민에 대한 차별과 배제를 줄일 수 있다. 하지만 소수집단을 동화시키는 과정에서 권리가 침해되고 문화적 다양성을 잃어버릴 수 있다.다문화주의는 다양한 문화가 한 사회에서 공존하며 각각의 문화가 독자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주민의 인권 보장과 문화적 다양성 확대를 기대할 수 있지만, 국가 정체성 약화와 사회 분열 등의 문제점이 나타날 수 있다.한국 또한 다양한 문화를 어떻게 통합해나갈지 많은 고민이 필요하다. 한국 사회에 맞는 다문화 정책을 개발해내야 한다.조승민 생글기자(세종국제고 2학년)

  • 키워드 시사경제

    인구 5%가 외국인…한국도 이젠 다인종 국가

    경남 김해에는 ‘김해의 이태원’이라는 별명이 붙은 외국인 거리가 있다. 김해 지역 사업체의 30% 이상은 외국인 근로자를 고용하고 있다. 이들을 겨냥한 식당, 휴대폰 판매점, 환전소, 행정업무 대행 사무소 등이 들어서면서 이국적 상권을 형성했다. 충북 음성은 ‘작은 아시아’로 불리는 지역이다. 음성 인구가 9만 명 정도인데 14.8%가 외국인이다. 대형마트에 가면 베트남, 태국, 네팔 등에서 들여온 곡물과 향신료가 목 좋은 진열대에 배치돼 있다.외국인 246만 명 … 2년 연속 사상 최다한국이 ‘다인종·다문화 국가’에 진입할 날이 머지 않았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총인구의 5% 이상이 외국인이면 다인종·다문화 국가로 분류한다. 우리나라는 외국인 근로자와 유학생이 빠르게 늘고 있어 이르면 올해 이 기준을 충족할 것으로 보인다.행정안전부의 ‘2023년 지방자치단체 외국인 주민 현황’ 자료에 따르면 작년 11월 1일을 기준으로 3개월을 초과해 국내에 장기 거주한 외국인 주민은 245만9542명을 기록했다. 2년 연속 사상 최다 기록을 경신하며 대구 인구수(237만9188명)를 넘어섰다.외국인 주민은 국내 총인구(인구주택총조사 기준 5177만4521명)의 4.8%로 집계됐다. 역시 통계 작성을 시작한 이후 최대치다. ‘근로자’와 ‘유학생’이 1년 전보다 각각 16.6%, 8.9% 많아진 것이 전체 인구수 증가 추세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행안부는 설명했다.시도별로 보면 서울을 제외한 모든 광역자치단체에서 외국인 주민이 1년 전보다 7% 이상 늘었다. 증가율은 전남(18.5%), 경남(17.0%), 울산(15.6%) 등 비수도권을 중심으로 높았다. 증가 인원은 경기(5만8294명), 경남(2만1942

  • 생글기자

    다른 문화에 대한 이해와 존중이 필요한 시대

    교통과 통신기술의 발달로 ‘지구촌’이라는 말은 이미 우리에게 익숙한 단어가 됐고, SNS를 통해 먼 나라에 사는 생면부지의 사람과도 소통할 수 있게 됐다. 이렇게 세계화된 시대를 살아가기 위해 우리에겐 외국어 능력이 필요하고 세상을 거시적인 안목에서 볼 수 있게 해주는 여행 경험과 폭넓은 독서 그리고 여러 사람을 만나고 소통해보려는 도전정신도 필요하다. 그러나 이 모든 것보다 가장 필요한 것은 다양한 문화를 이해하고 존중하려는 마음을 품는 것이 아닐까 싶다.최근 경기도의 한 고등학교에서 학생들이 찍은 졸업사진이 논란이 됐다. 학생들은 유튜브에서 큰 인기를 얻은 영상을 패러디한 졸업사진을 찍었고, 이 과정에서 학생들이 따라 했던 ‘블랙페이스’가 인종차별 논란을 불러왔다. 이들이 패러디한 영상은 가나의 한 장례식장에서 관을 운반하던 상여꾼들이 상여를 어깨에 멘 채 망자의 행복을 기리기 위해 춤을 추는 장면이었는데, 이색적인 모습으로 인해 이 영상이 세계인의 주목을 받았고 국내에서는 이 영상에 ‘관짝소년단’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학생들의 졸업사진에서 논란이 된 블랙페이스 분장은 흑인이 아닌 인종이 흑인 흉내를 내기 위해 얼굴을 검게 칠하거나 흑인의 두꺼운 입술을 강조하기 위해 입술을 과장해 표현하는 것으로, 19세기 영국과 미국에서 한때 유행하기도 했지만 1960년대 미국 인권운동의 영향으로 인종차별적 행위라는 비판을 받고 금기시됐다. 학생들의 졸업사진이 SNS를 통해 세간에 알려지면서 누리꾼 사이에서는 “단순히 영상을 모방했던 것일 뿐 흑인 비하 의도가 없었기에 문제 될 게 없다” “누군가 동양인의 찢