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
-
교양 기타
생업(生業)이 직업(職業)보다 숭고한 이유 [고두현의 아침 시편]
생업 윤효종로6가 횡단보도원단두루마리를 가득 실은 오토바이들이숨을 고르고 있었다.신호총이 울렸다.장애물을 요리조리 헤치며동대문시장 안 저마다의 결승선을 향해순식간에 사라졌다.좀처럼 등위를 매길 수 없었다.모두 1등이었다.* 윤효: 1956년 충남 논산 출생. 1984년 '현대문학'으로 등단. 시집 <물결> <얼음새꽃> <햇살방석> <참말> <배꼽> 등 출간. 편운문학상, 영랑시문학상, 풀꽃문학상 등 수상.벌써 12월 말입니다. 한 해의 마지막 주, 짧으면서도 강렬한 시 ‘생업’을 소개합니다.생(生)은 윤효 시인의 문학적 화두 중 하나입니다. 생이란 ‘생명’과 ‘목숨’의 비밀을 여는 열쇳말이죠. 나무로 치자면 가장 큰 가지, 풀꽃으로 치면 가장 실한 줄기가 곧 생입니다. 갑골문에서 ‘생(生)’은 땅 위로 새싹이 돋아나는 모습을 띠고 있습니다. 새싹이 돋아나는 것은 새로운 생명의 탄생을 의미하지요. 그래서 날 생(生)이고, 낳을 산(産)입니다. 이 글자는 살 활(活)과 있을 존(存)의 뜻까지 아우르지요.생업(生業)은 목숨 걸고 집중하는 일이 가운데 생업(生業)은 우리가 목숨을 영위하기 위해, 먹고살기 위해 집중하는 일입니다. 각자 맡은 일을 하는 직업(職業)과 다르죠. 윤효 시인은 분초를 다투며 원단을 실어 나르는 시장통 오토바이 짐꾼들을 보면서 ‘생업’이라는 시를 썼습니다.이 시에는 ‘숨을 고르고’ 잔뜩 긴장해 있다가 ‘땅’ 하는 총소리를 듣자마자 튀어 나가는 달리기 선수들의 속도가 응축돼 있습니다. ‘장애물을 요리조리
-
교양 기타
그가 집착에서 벗어난 비결은? [고두현의 아침 시편]
기심을 내려놓다(息機)이색이미 지나간 아주 작은 일들도꿈속에선 선명하게 생각이 나네.건망증 고쳐 준 사람 창 들고 쫓아냈다는그 말도 참으로 일리가 있네.아내를 놔두고 이사했다는 것 또한우연히 한 말은 아닐 것이라 싶네.몇 년간 병든 채로 지내온 지금기심(機心)을 내려놓는 것이 약보다 낫네.*이색(李穡, 1328~1396): 고려 시인, 대학자오늘은 고려 말기 시인이자 대학자인 목은(牧隱) 이색(李穡)의 시를 읽습니다. 그는 포은(圃隱) 정몽주(鄭夢周), 야은(冶隱) 길재(吉再)와 함께 고려삼은(高麗三隱)으로 추앙받은 인물이지요. 14세 때 성균시(成均試)에 합격한 수재였습니다. 원나라에서도 과거에 급제해 양국 관리를 겸할 만큼 재주가 뛰어났다고 합니다.건망증 고쳐준 사람을 쫓아내다니그런 그도 여말선초 격변의 역사 속에서 몇 차례나 유배와 추방을 당했습니다. 첫째와 둘째 아들이 살해되는 고통까지 겪었지요. 역성혁명에 협력하지 않아 한때 제자였던 정도전과 조준 등이 겨눈 칼날 앞에 서야 했습니다.새 정권의 권유를 뿌리치고 낙향했지만, 아들들의 죽음 때문에 결국에는 깊은 병을 얻었죠. 시골집에 은거한 지 2년 만에 부인이 죽고, 그로부터 2년 뒤엔 그도 세상을 떠났습니다.그가 남긴 시가 많지만, 그중에서도 ‘기심을 내려놓다(息機)’의 행간은 더없이 쓸쓸하고 애잔합니다. 마지막 구절 “기심(機心)을 내려놓는 것이 약보다 낫네”에 주제가 함축돼 있지요.기심이란 무엇일까요? 기회를 보아 움직이는 마음, 책략을 꾸미는 마음을 말합니다. 옳으니 그르니, 좋으니 싫으니 따지는 마음을 내려놓고 정신을 쉬게 해야 비로소 온전한 자신을 발견할 수 있다는 얘기지요.이 시
-
교양 기타
소동파를 키운 '3주(州)'의 공통점 [고두현의 아침 시편]
금산에서 그려준 초상화에 시를 쓰다소동파마음은 이미 재가 된 나무 같고몸은 마치 매여 있지 않은 배와 같네.그대가 평생 한 일이 무엇이냐 묻는다면황주이고 혜주이고 담주라고 하겠네.心似已灰之木 身如不系之舟問汝平生功業 黃州惠州州* 소동파(蘇東坡, 1037~1101) : 북송 시인이 시는 소동파가 65세 때 하이난섬(해남도) 유배를 마치고 돌아올 때 쓴 것입니다. 당시 유명한 화가가 동파의 초상화를 그려줬는데, 그 그림 옆에 이 시를 적었다고 합니다.이 시에 나오는 황주(黃州), 혜주(惠州), 담주(州)는 어디일까요. 황주는 지금의 후베이성(湖北省) 동부에 있는 황저우, 혜주는 광둥성(廣東省) 중부의 후이저우, 담주는 하이난성(海南省)의 북쪽에 있는 단저우를 말합니다.소동파는 왜 이 세 곳을 일컬어 ‘평생의 공업(功業)’을 이룬 장소라고 말했을까요. 이들 ‘3주(州)’의 공통점은 소동파가 온갖 고생을 다한 유배지였습니다.그가 황주에 유배됐을 때는 나이 43세 때였지요. 조정을 비판하는 글을 지었다는 죄목으로 파직돼 감옥에 갇혔다가 이곳으로 쫓겨난 그는 농사를 직접 지으며 겨우 연명했습니다. 동쪽 언덕에 밭을 가꾸고 숨어 사는 선비라는 뜻의 ‘동파거사(東坡居士)’를 호로 삼은 것도 이때이지요.그는 너무 가난해서 지출을 하루 150문(文)으로 정해놓고 매월 초에 4500문을 꺼내 30등분을 했습니다. 봉지에 싸서 천장에 매달아놓고, 매일 아침 150문이 든 봉지를 하나만 꺼냈죠. 커다란 대나무통 한 개를 따로 준비해 쓰고 남은 돈을 거기에 넣었습니다. 이 돈을 모아 손님이 찾아오면 겨우 접대를 할 수 있었지요.그 와중에도 그는 이곳에서 사망률이 높은 어린이들을 구하는
-
교양 기타
연애편지에 은행잎을 붙이는 까닭 [고두현의 아침 시편]
은행나무 부부반칠환십 리를 사이에 둔 저 은행나무 부부는 금슬이 좋다삼백 년 동안 허운 옷자락 한 번 만져보지 못했지만해마다 두 섬 자식이 열렸다언제부턴가 까치가 지은 삭정이 우체통 하나씩 가슴에 품으니가을마다 발치께 쏟아놓는 노란 엽서가 수천 통편지를 훔쳐 읽던 풋감이 발그레 홍시가 되는 것도 이때다그러나 모를 일이다삼백 년 동안 내달려온 신랑의 엄지발가락이 오늘쯤신부의 종아리에 닿았는지도바람의 매파가 유명해진 건 이들 때문이라 전한다* 반칠환: 1964년 충북 청주 출생. 1992년 동아일보 신춘문예로 등단. 시집 <뜰채로 죽은 별을 건지는 사랑>, <웃음의 힘>, <전쟁광 보호구역> 등 출간. 서라벌문학상 등 수상.은행나무에는 암수가 따로 있지요. 암나무는 수나무에서 날아온 꽃가루를 받아야 열매를 맺습니다. 열매도 수십 년 자란 암나무에만 열립니다. 어린 묘목으로는 암수를 구별하기 어렵죠.은행나무를 ‘공손수(公孫樹)’라고 부르는 까닭도 여기에 있습니다. 나무가 자라 열매를 맺기까지 수십 년이 걸리기에 할아버지가 심은 뒤 손자 때에야 열매를 보니까요.괴테를 매혹시킨 은행잎의 비밀한자로 ‘은행(銀杏)’은 ‘은빛 살구’를 의미합니다. 열매가 살구를 닮아서 그렇게 불렀다고 해요. 전 세계에 1종 1속만 있고, 가장 오랜 역사를 지닌 식물이어서 ‘살아 있는 화석’으로도 불립니다.유럽 사람들은 18세기 초까지 은행나무가 무엇인지 몰랐다고 합니다. 원산지인 중국에서 한국을 거쳐 일본으로 전래된 은행나무의 후손을 한 독일인 의사가 일본 근무 후 귀국할 때 갖고 간 뒤 유럽에 퍼졌지요.독일 시인 요한 볼프강 폰
-
교양 기타
'세월이 가면'에서 '목마와 숙녀'까지 [고두현의 아침 시편]
세월이 가면박인환지금 그 사람의 이름은 잊었지만그의 눈동자 입술은내 가슴에 있어.바람이 불고비가 올 때도나는 저 유리창 밖가로등 그늘의 밤을 잊지 못하지.사랑은 가고과거는 남는 것여름날의 호숫가 가을의 공원그 벤치 위에나뭇잎은 떨어지고나뭇잎은 흙이 되고나뭇잎에 덮여서우리들 사랑이 사라진다 해도지금 그 사람 이름은 잊었지만그의 눈동자 입술은내 가슴에 있어내 서늘한 가슴에 있건만.* 박인환(1926~1956): 1926년 강원 인제 출생, 평양의학전문학교 수학, 시집 <박인환선시집(朴寅煥選詩集)> 출간.1956년 봄, 어느 날이었습니다. 전쟁의 상처가 채 아물지 않은 때였지요. 시인 박인환은 10년 넘게 찾아보지 못한 망우리의 첫사랑 묘지에 다녀왔습니다. 스무 살 풋풋한 나이에 무지개처럼 만났다가 헤어진 여인의 ‘눈동자’와 ‘입술’은 흙에 덮여 사라졌지만, 그에게 남은 회한은 컸지요.“나뭇잎은 떨어지고/ 나뭇잎은 흙이 되고/ 나뭇잎에 덮여서/ 우리들 사랑이 사라진다 해도……”명동 대폿집에서 쓴 시로 노래까지자신의 운명을 예감했던 것일까요. 영원히 떠날 마지막 길에 연인의 무덤을 어루만지며 작별을 고하고 싶었던 것일까요. 그때 이미 ‘세월이 가면’의 초고가 몇 문장 마음에 새겨졌을지도 모르겠습니다.다음 날 명동의 문인 사랑방 ‘명동싸롱’에서 허한 가슴을 달래던 그는 맞은편 대폿집 ‘경상도집’으로 발길을 옮겼습니다. 그곳에는 극작가 이진섭, 언론인 송지영, 영화배우 나애심이 있었죠. 술잔이 몇 차례 돌자 그들은 나애심에게 노래를 불러달라고 졸랐지만, 그녀는 좀체 응하지 않았습니다.그때 이진섭이 박인
-
교양 기타
왜 하필 남포(南浦)에서 이별할까 [고두현의 아침 시편]
임을 보내며(送人)정지상비 개인 긴 둑에 풀빛 짙은데남포에서 임 보내며 슬픈 노래 부르네.대동강 물은 어느 때나 마를꼬,이별 눈물 해마다 푸른 물결 보태거니.* 정지상(鄭知常, ?~1135) : 고려 시인고려시대 최고 서정 시인으로 꼽히는 정지상의 절창입니다. 그는 어릴 때부터 시재(詩才)가 뛰어나서 5세도 되기 전에 주변 사람들을 놀라게 했지요. 강 위에 떠 있는 해오라기를 보고 “어느 누가 붓을 집어/ 을(乙) 자를 강물 위에 썼는고”라는 시를 즉석에서 지을 정도였습니다.이별의 정한을 노래한 이 시에서도 천재적인 감성을 보여줍니다. 제목은 <동문선(東文選)>에 ‘송인(送人)’으로 기록돼 있지만, <대동시선(大東詩選)>에는 ‘대동강(大同江)’이라고도 적혀 있습니다.봄비 그친 강둑 위로 풀빛이 푸르러 오는데 정든 임과 이별하는 가슴은 슬픔으로 미어집니다. 하염없이 흐르는 눈물이 강물에 떨어지니 대동강 물인들 마를 날이 있을까요. 참으로 슬프고도 아름다운 시입니다. 대동강 부벽루에 걸린 이 시를 보고 중국 사신들이 모두 탄복했다고 하지요.대동강 하류에도 남포가 있지만…그런데 헤어지는 장소가 왜 하필이면 남포(南浦)일까요? 어떤 사람은 대동강 하구에 있는 남포를 가리킨다고 말합니다. 한때 증남포, 진남포로 불렸던 곳이지요. 하지만 한시를 좀 아는 분들은 빙그레 웃음을 짓습니다. 남포는 중국 춘추전국시대 이후 거의 모든 시인에게 이별을 상징하는 정운(情韻)의 시어로 쓰였기 때문이지요.정민 한양대 교수도 <한시 미학 산책>에서 “남포라는 단어에는 유장한 연원이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 연원의 끝에 중국 문학사상 가장 오
-
교양 기타
불가능을 가능으로 바꾼 비결 [고두현의 아침 시편]
사람들은 불가능하다고 말하지에드거 게스트누군가 그런 일은 불가능하다고 말했지.하지만 그는 껄껄 웃으면서 대답했어.“그럴지도 모르죠.”스스로 해보기 전에는 알 수 없는 일.그는 싱긋 웃으며 덤벼들었지.걱정하는 기색조차 없었어.노래를 부르며 남들이 할 수 없다던 일과 씨름했고,결국 그 일을 해냈지.누군가 비웃었어.“아무도 한 적이 없는 일을 네가 한다고?”하지만 그는 모자와 웃통을 벗어던졌지.그리고 시작했어.턱을 치켜들고 미소를 지으며,어떤 의심도 변명도 하지 않고노래를 부르면서 할 수 없다는 그 일과 씨름했고결국 그 일을 해냈지.수많은 사람이 말하지. 그 일은 불가능하다고.많은 사람이 실패를 예언해.그들은 또 말하지.온갖 위험이 도사리고 있다고.하지만 활짝 웃으며 덤벼들어 봐.소매를 걷어붙이고 달려들어 봐.노래를 부르면서 불가능하다는 그 일과 씨름해 봐.결국은 해낼 테니까.*에드거 게스트(1881~1959) : 미국 시인이 시를 읽으면 용기가 솟아오릅니다. 불가능을 가능으로 바꾸는 힘! 삶을 대하는 자세가 얼마나 중요한지도 깨닫게 됩니다. 여차하면 핑계를 대며 일을 피하려는 사람과 남이 비웃을지라도 ‘소매를 걷어붙이고’ 일을 찾아서 하는 사람의 미래는 확연히 다르지요. 어떤 의심이나 변명도 없이 ‘불가능하다는 그 일’에 달려들 때 우리는 ‘결국 해낼’ 수 있습니다.대공황으로 40세에 빈털터리여기, 불가능을 가능으로 바꾼 한 사람이 있습니다. 그는 1890년 미국 인디애나에서 2남 1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습니다. 여섯 살 때 아버지가 돌아가시자 고생길이 시작됐죠. 어머니가 일하러 나간 뒤 그는 어린 동생들을 돌봐야 했습
-
교양 기타
'사면초가'에 갇힌 항우의 실패 요인 [고두현의 아침 시편]
우미인초(虞美人草)증공(曾鞏)홍문의 연회에서 범증의 옥두가 눈처럼 깨지니항복한 진나라 십만 병사 피가 밤새 흘렀네.함양의 아방궁 불길 석 달이나 붉게 타고항우의 패업 꿈은 연기되어 사라졌네.강하기만 하면 필시 죽고 의로워야 왕 되는 법음릉에서 길 잃은 건 하늘의 뜻만이 아니라네.영웅은 만인을 대적하는 법을 배워야 하거늘어찌 그리 가슴 아파하며 미인을 슬퍼했던가.삼군이 다 흩어지고 깃발마저 쓰러지니옥장 속의 어여쁜 여인 앉은 채로 늙어가네.향기로운 영혼 검광 따라 하늘로 날아가더니푸른 피가 변하여 들판의 풀꽃 되었구나.꽃다운 마음 싸늘한 가지에 머물러 있고옛 노래 들려오니 눈썹을 찌푸리는 듯해라.슬픔과 원망 속에 근심 깊어 말도 못 하니초나라 노랫소리 듣고 놀랐을 때와 같네.도도히 흐르는 강물 예나 지금이나 변함없고한나라 초나라 흥망도 언덕 위 흙 한 줌일 뿐지난 일 모두 부질없게 된 지도 오래인데잔 앞에 슬퍼하던 꽃 누굴 위해 하늘거리는고.*증공(曾鞏, 1019~1083) : 송나라 시인이자 학자.이 시 ‘우미인초’는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의 한 사람인 송나라 증공의 칠언절구입니다. 첫 구에 나오는 ‘홍문의 연회(鴻門之宴)’는 중국 역사상 가장 드라마틱한 술자리로 꼽히지요. 천하를 놓고 패권을 겨루는 자리였으니 더욱 그렇습니다.원래 이 연회는 항우가 유방을 암살하려고 마련한 것이었습니다. 항우의 참모 범증은 “큰 뜻을 품고 있는 유방을 이번 기회에 반드시 제거해야 한다”며 칼춤 도중에 죽이려 했지요.명참모 기지로 위기 벗어난 유방그러나 이 자리에서 유방은 항우에게 최고의 예를 갖추며 위기일발의 예봉에서 벗어났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