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웨이
-
경제 기타
접고, 돌리고, 돌돌 말고…스마트폰 '폼팩터'가 바뀐다
LG전자가 지난 14일 공개한 하반기 전략 스마트폰 ‘LG 윙’. 이 제품은 언뜻 보면 평범한 직사각형 스마트폰이다. 하지만 메인 스크린(주 화면)을 시계 방향으로 돌리면 절반 크기의 세컨드 스크린(보조 화면)이 하나 더 나온다. 스마트폰을 ‘ㅏ’나 ‘ㅜ’ 모양으로 바꿔서 두 개 화면을 동시에 활용할 수 있다.정보기술(IT)업계에서는 LG가 내년께 화면이 돌돌 말리는 ‘롤러블 폰’도 내놓을 것으로 보고 있다. 손으로 당기면 말려 있던 화면이 펼쳐지면서 확장하는 형태가 예상된다. 이미 세계 최초의 롤러블 TV를 만들어낸 회사인 만큼 기술력은 충분하다는 분석이다. “직사각형 폰은 식상하다”몇 년 전까지 반듯한 네모 뿐이었던 스마트폰의 겉모습이 다양해지고 있다. 스마트폰 제조업체들의 폼팩터(form factor) 경쟁에 불이 붙으면서다. 폼팩터는 제품의 물리적 외형을 뜻하는 말이다. 원래 컴퓨터 하드웨어 규격을 지칭하는 용어지만 요즘 스마트폰 분야에서도 많이 쓴다.삼성전자를 필두로 화웨이, 모토로라 등은 지난해부터 화면을 접는 ‘폴더블 폰’에 공을 들이고 있다. 삼성은 지난 1일 세 번째 폴더블 폰 ‘갤럭시Z폴드2’를 공개했다. 전작(前作)과 비교하면 덮었을 때 화면이 6.2인치로 더 커졌다. 구부리는 각도에 따라 외부·내부 화면을 다채롭게 활용할 수 있다.삼성은 올 2월 조개처럼 위아래로 열고 닫히는 형태의 ‘갤럭시Z플립’도 선보였다. 화웨이와 모토로라는 하반기에 새 폴더블 폰을 출시할 예정이다.업체마다 파격적인 폼팩터에 도전하는 것은 스마트폰 시장이 포화상태에 이르렀다는 판단 때문이다. 디자인, 성능, 내구성 등
-
김동욱 기자의 세계사 속 경제사
미국의 화웨이 제재…5G 통신망도 진영대결
안녕하세요. 화웨이는 1987년에 세워진 중국 통신 장비 제조 기업인데 지금은 통신 장비 분야에서 세계 최대가 됐습니다. 특히 5세대(5G) 이동통신 분야에서 최고의 경쟁력을 자랑합니다. 2016년만 해도 화웨이의 글로벌 시장 점유율은 25%로 스웨덴의 에릭슨에 이어 2위였는데, 2018년에는 31%로 세계 1위가 됐습니다. 삼성은 5% 정도에 불과했습니다.미국은 여러 가지 제재를 통해 세계가 화웨이의 5G 장비를 사용하는 것을 막으려 하고 있습니다. 미국의 화웨이에 대한 의심은 2008년 무렵부터 시작됐습니다. 화웨이는 당시 미국의 네트워크 장비 기업 스리콤(3COM)을 인수하려고 시도했는데 미국 정부가 차단했습니다. 미국 정부는 화웨이의 런정페이 회장이 중국 인민군과 유착관계가 있을 가능성을 의심했습니다. 또 2018년 4월 이동통신산업협회(CTIA)가 발간한 ‘글로벌 5G 경쟁’ 보고서는 첨단 기술 경쟁에서 미국이 중국에 뒤처졌다는 내용을 담고 있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중국 기업 제품 사용 금지를 핵심 내용으로 하는 ‘2019년 국방수권법(NDAA)’에 서명했습니다. 그해 10월에는 런정페이 회장의 딸이자 최고재무책임자(CFO)인 멍원조우가 캐나다에서 체포됐습니다. 미국이 요청해서 이뤄진 일입니다. 2020년 5월 미국 상무부는 미국이 아닌 한국 등 제3국에서 제조한 반도체라도 미국 기술이나 장비를 활용한 제품은 화웨이에 팔지 못하게 하는 제재 조치를 발표했습니다. 미국, 안보와 경제적 이유로 화웨이 제재 나서미국이 화웨이 제재에 나선 이유는 크게 세 가지입니다. 첫째는 국가 안보 차원의 문제입니다. 화웨이의 통신장비를 통해 자유세계의 정보가 중국에 도청당할 수
-
경제 기타
170조 투자 목표…중국 '반도체 굴기' 재시동
미국의 대(對)중국 무역 보복이 한창이던 2018년 4월 26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우한에 있는 양쯔메모리테크놀로지(YMTC) 공장을 전격 방문했다. YMTC는 칭화대가 지분 100%를 보유한 국유 반도체 그룹 ‘칭화유니’의 자회사로 중국의 ‘반도체 굴기(起·우뚝 일어섬)’를 상징하는 기업이다.시 주석은 이날 중국 반도체업계 종사자들이 ‘금과옥조’로 여기는 ‘반도체 심장론’을 설파했다. 그는 “반도체는 사람의 심장과 같다. 심장이 약하면 덩치가 아무리 커도 강하다고 할 수 없다”며 ‘2025년까지 반도체 기술 자립도 70% 달성’을 주문했다. 중국 정부 예산 1조위안(약 170조원)을 투자하겠다는 전폭적인 지원 방침도 밝혔다.프리미엄 낸드 제품 연말 생산중국의 기술력은 이후 2년간 ‘일취월장’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시 주석이 찾았던 YMTC는 최근 세계 최고 수준의 낸드플래시 반도체로 평가받는 ‘128단 3D QLC’ 개발과 테스트 성공 사실을 지난달 14일 전격 공개했다. 국내 반도체업계는 긴장하고 있다. “낸드플래시 기술 격차가 1년 정도로 좁혀졌다’는 우려가 나온다.YMTC가 개발 사실을 공개한 ‘128단 3D QLC’ 낸드플래시는 글로벌 메모리반도체업계를 이끌고 있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도 지난해 하반기에 양산에 성공한 ‘프리미엄’ 제품이다. 낸드플래시는 전원이 꺼져도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반도체다. 주로 스마트폰, 노트북 등의 저장장치로 활용된다. 단수(반도체 셀을 쌓아올린 층수)를 64단에서 96단, 128단으로 높이고, 한 셀의 저장용량이 MLC(2bit) TLC(3bit) QLC(4bit) 순으로 커질수록 뛰어난 성능의 프리미엄 제품으
-
경제 기타
세계 인구 대국 중국·인도, 정면 충돌 양상
국경을 맞대고 있는 중국과 인도가 충돌하고 있다. 해묵은 영토 분쟁은 물론 인도가 5세대(5G) 이동통신 사업에서 중국 이동통신업체 화웨이를 배제하는 방안을 놓고 검토에 들어가자 더욱 신경전을 벌이는 모양새다. 중국과 인도는 모두 세계적인 인구 대국이다. 세계은행에 따르면 작년 기준 중국엔 13억9273만 명, 인도엔 13억5261만 명이 살고 있다. 양국 갈등은 세계 경제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확정 국경 없어…영토 분쟁 지속중국과 인도는 수십 년간 영토 분쟁을 해왔다. 양국은 약 3500㎞에 걸쳐 서로 맞닿아 있다. 하지만 정확한 국경이 아직 없다. 국경 문제로 1962년 서로 전쟁까지 벌였지만 확정하지 못했다. 중국과 인도는 일단 실질통제선(LAC)을 설정해 사실상 국경으로 삼고 있다. 두 나라는 LAC 인근 일부 지역의 영유권을 놓고 꾸준히 각을 세워왔다. 카슈미르, 아루나찰프라데시 등이 대표적인 지역이다.중국과 인도는 이달 초엔 카슈미르를 두고 설전을 벌였다. 카슈미르는 중국, 인도, 파키스탄 등 3개국 경계에 있는 약 22만㎢ 면적의 산악지대다. 남아시아와 중앙아시아를 잇는 길목인 데다 주요 수자원인 인더스강이 지나고 있어 전략적 요충지로 꼽힌다. 중국은 인도령 카슈미르(잠무 카슈미르) 동부에 있는 라다크 지역 일부를 점령해 실질적으로 지배하고 있다.인도 정부는 지난 5일 인도령 카슈미르의 특별자치권을 폐지하고 그 일대를 잠무 카슈미르와 라다크로 나눠 중앙정부가 직접 통치하기로 결정했다. 중국 외교부는 즉각 반발했다. 화춘잉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인도는 자국법을 일방적으로 개정해 중국의 영토 주권을 훼손하고 있다”며 “인도 정부의 이번
-
경제 기타
막오른 '폴더블폰' 시대…누가 글로벌시장 승자될까
세계 1위 스마트폰 제조사인 삼성전자와 3위 화웨이는 지난달 연달아 폴더블(접는) 스마트폰을 공개했다. 폴더블폰은 2007년 애플이 아이폰을 내놓은 이후 10년 넘게 유지됐던 바(bar) 타입의 스마트폰 외관을 바꿀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한계에 다다른 스마트폰 시장에 새로운 바람을 불어넣을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지 관심사다. 초기 시장을 선점하려는 삼성전자와 화웨이의 불꽃 튀는 경쟁에 관심을 쏟을 수밖에 없는 이유다.안으로 접는 삼성, 밖으로 접는 화웨이삼성전자는 지난달 20일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폴더블폰 ‘갤럭시폴드’를 공개했다. 화웨이는 4일 뒤인 24일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메이트X(엑스)’를 선보였다. 두 회사는 지난달 25~28일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모바일 전시회 MWC19에 제품을 나란히 전시했다. 하지만 양사 모두 제품을 유리관 안에 넣어 실제로 만져볼 수는 없었다. 아직 제품 완성도를 끌어올리는 작업이 더 필요하다는 의미로 해석된다.삼성전자와 화웨이 폴더블폰의 가장 큰 차이점은 접는 방식이다. 갤럭시폴드는 화면을 안쪽으로 접는 인폴딩(infolding) 방식이다. 접은 상태에선 4.6인치 작은 화면을 쓸 수 있고 화면을 책처럼 펼치면 안쪽에 7.3인치 대형 디스플레이가 나온다. 화면이 안으로 접혀 외부 충격으로부터 파손을 막기 좋다.반면 메이트X는 화면을 밖으로 펼치는 아웃폴딩(outfolding) 방식을 썼다. 화면을 접었을 때는 6.6인치, 펼치면 8인치가 된다. 큰 화면을 반으로 접어 평소에는 한쪽만 쓰다가 펼치면 양쪽을 모두 쓸 수 있는 셈이다. 작은 화면이 바깥에 따로 달려 있는 갤럭시폴드와 다른 점이다. 외부 충격을 받았을 때 파손 위험성이 크다는
-
경제 기타
'폴더블폰 시대' 열렸다…화면 접으면 스마트폰, 펴면 태블릿
화면 중간을 접었다 펼 수 있는 ‘폴더블(foldable) 스마트폰’ 시대가 열렸다. 지난달 중국의 한 디스플레이 전문업체가 세계 최초로 폴더블폰을 공개했다. 삼성전자, 화웨이 등 글로벌 스마트폰 업체들도 잇따라 비슷한 제품을 선보일 예정이다.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의 성장이 멈춘 가운데 폴더블폰이 시장을 반등시킬 수 있을지 관심사다.접으면 스마트폰, 펼치면 태블릿폴더블폰은 단어 그대로 접을 수 있는 휴대폰이다. 과거 많이 사용됐던 ‘폴더폰’은 대개 화면 부분과 키패드 부분을 경첩으로 연결하는 식이다. 반면 폴더블폰은 화면 자체를 구부리는 방식이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폴더블폰은 접었을 때는 스마트폰, 펼쳤을 때는 태블릿이 되는 구조”라며 “동시에 여러 작업을 빨리 할 수 있도록 멀티태스킹 기능이 강화된다”고 설명했다. 간단한 작업을 하거나 이동 중에는 스마트폰을 접은 상태로 이용하고 한자리에 머물면서 작업하거나 영상·게임을 즐길 때는 화면을 펼친 상태로 쓸 수 있다. 폴더블폰을 만들기 위해선 화면을 구부릴 수 있는 플렉시블(flexible) 디스플레이가 필요하다. 반복해서 제품을 접었다 펴도 망가지면 안 되므로 내구성도 중요하다. 이 때문에 당분간 폴더블폰 가격은 기존 프리미엄 스마트폰보다 1.5~2배가량 비쌀 가능성이 높다.중국 업체가 세계 최초로 선보여현재 폴더블폰 개발에 가장 많은 힘을 쏟고 있는 회사는 삼성전자와 화웨이다. 삼성전자는 지난 7일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삼성 개발자 콘퍼런스(SDC)에서 폴더블폰의 일부 유저 인터페이스(UI)를 공개했다. 화웨이도 이르면 연내 공개를 목표로 관련 제품을 개발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