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테샛 공부합시다

    1급 가격차별

    문제. 다음 중 1급 가격차별이 시행되는 독점시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소비자잉여는 매우 적지만 0보다 크게 존재한다. ② 완전경쟁시장과 동일한 수량이 시장에 공급된다. ③ 한계수입곡선은 시장수요곡선과 동일하다. ④ 모든 소비자는 각각 다른 가격을 지불한다. ⑤ 일반 독점시장에 비해 사회적 후생이 더 크게 나타난다. 해설. 1급 가격차별이 시행되는 독점시장에서는 각각의 소비자에게 그 소비자의 유보가격(소비자가 지불...

  • 진로 길잡이 기타

    은행에선 수신업무 외에 대출·신용카드 등 상품 중요…대출상담·서류작성·신용평가를 제대로 처리해야죠

    은행 취업에 도전하는 학생 대부분은 수신업무 정도만 알고 있다. 대출, 신용카드 등의 본질적인 은행 상품을 잘 이해하지 못하는 학생이 많다. 은행원이 되겠다는 꿈을 꾸는 학생이라면 은행 업무 전반을 공부해둬야 한다. 창구사무에 대해 더 알아보자. 유형1. 대출(여신)업무 Q1. 다음은 가계여신 취급 프로세스에 대한 설명이다. 가장 잘못된 것은? ① 영업점은 고객의 대출상담 신청이 있는 경우 “대출(상담)신청서”를 받아...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문일지십 (聞一知十)

    ▶ 한자풀이 聞: 들을 문 一: 한 일 知: 알 지 十: 열 십 세계 4대 성인 중 한 명으로 꼽히는 공자는 인(仁)을 강조한 유가(儒家)의 창시자다. 그의 유가적 사상은 특히 동양적 사유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는 음악, 주역, 시(詩) 등에도 두루 조예가 깊었다. 제자가 3000여 명에 달하는 것으로 전해진다. 제자들의 재주도 각자 달랐다. 누구는 학문에 뛰어나고, 누구는 언변이 좋았고, 누구는 장사에 밝았다. 자공(子貢)은 재산...

  • 경제·금융 상식 퀴즈

    10월 28일 (650)

    1. 영국이 브렉시트를 통해 탈퇴하고자 하는 곳은 어디일까? ①세계무역기구(WTO) ②국제통화기금(IMF) ③유럽연합(EU) ④국제연합(UN) 2. 위워크, 우버, 에어비앤비 등의 스타트업(신생 벤처기업)에 공통적으로 해당하는 사업모델은? ①구독경제 ②공유경제 ③레몬마켓 ④블랙마켓 3. 반도체가 아니라 원자를 기억소자로 활용해 기존 컴퓨터보다 훨씬 방대한 연산 능력을 갖춘 미래형 컴퓨터를 가리키는 말은? ①빅데이터 ②양자컴...

  • 스도쿠 여행

    스도쿠 여행 (531)

    문제에 표시된 ⓐ~ⓘ에 들어갈 숫자를 생글생글i 홈페이지(sgsg.hankyung.com) 에 올려주세요. 정답을 올려준 분들 중 추첨해 상품을 드립니다.

  • 교양 기타

    "의식주가 해결되지 않으면 도덕이 무엇이 중요한가"…거래와 분업·이익의 중요성 강조한 '조선판 국부론'

    “재물은 우물과 같다. 쓸수록 자꾸 가득 차고, 이용하지 않으면 말라 버린다. 지금 나라 안에는 비단을 입지 않으므로 비단 짜는 사람이 없다. 따라서 여공(女工)이 쇠했으며, 장인이 없어졌다. 이용할 줄 모르니 생산할 줄 모르고, 결국 모두가 가난해져 서로 도울 길이 없다.” 조선 실학자 박제가(1750~1815)의 《북학의(北學議)》는 네 차례에 걸쳐 청나라의 풍속과 제도를 살펴본 뒤 쓴 책이다. 조선의 부국강병(富國强...

  • 교양 기타

    쇼펜하우어는 의지(意志)를 금보다 귀한 가치로 여겨…자신을 위해 숙고하고 그 숙고를 실천하는 삶 살아야

    현대인의 삶을 지배하는 괴물은 무료함이다. 그러나 인류역사에서 무료함은 최근 현상이다. 19세기 후반에 일어난 제2차 산업혁명은 노동의 분화를 통해 인류에게 ‘여가’를 선물했다. 인류는 처음으로 육체적인 노동으로부터 벗어나 자유 시간을 즐기기 시작한다. 인류는 더 이상 자신의 생명을 보존하기 위해 ‘적자생존’의 야만적인 삶을 살 필요가 없다. 자신의 삶을 행복하게 만들기 위해 자유 시간을 가진다. 우리...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차일피일'은 '이날 저날'이란 뜻이에요

    ‘까랭이 나마리 발가숭이 안질뱅이 자마리 짬자리 초리 잠드래비….’ 모두 ‘잠자리’를 가리키는 말이다. 일제강점기 때인 1930년대 우리 땅에는 잠자리를 가리키는 말이 전국에 21개나 있었다. 일제의 우리말 말살 정책에 맞서 우리말 표준을 세움으로써 민족어의 기틀을 마련할 필요가 절실했다. 1936년 조선어학회에서 <조선어 표준말 모음>을 내놓은 것은 그 시작점이었다. 그때 지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