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경제 기타

    대학생 선배 합격 꿀팁…동영상으로 확인하세요

    생글기자 출신 명문대 학생들의 대학입시를 위한 학습방법과 합격전략이 동영상으로 독자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유튜브 ‘한경 생글생글’ 계정에는 명문대 학생들이 자신의 대입 경험과 합격 비결을 소개하는 대담 동영상이 게재되어 있습니다. 중·고교생 시절 생글생글 학생기자로 활동했던 이들 ‘대학 생글이’는 고교 시절 교과활동과 비교과활동을 통해 학습역량과 잠재력을 끌어올린 경험을 소개합니다. 또 ...

  • 진학 길잡이 기타

    국·수·영·탐 난이도 매해 들쑥날쑥…골고루 학습해야

    2021학년도 대학입시가 정시모집 원서 접수로 사실상 마무리되었다. 현재 고2인 ‘예비 고3’은 2021 대학수학능력시험을 풀어보면서 자신의 실력을 점검했을 것이다. 지난해 수능에 대한 심층 분석을 통해 올해의 학습방향을 잡아야 한다. 영어 난이도 매해 들쑥날쑥…쉽다고 예단하지 말고 확실한 1등급을 목표로 해야 2021학년도 수능의 영어 1등급 비율은 12.7%로 2018학년도 절대평가 시행 이후 최대를 기...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신년 '일출'과 새해 '해돋이'

    신축년 새해가 열렸다. 예전에 음력을 쓰던 시절에는 한 해의 첫째 달을 ‘정월(正月)’이라고 했다. 거기서 ‘정초(正初)’라는 말이 나왔다. 정초란 정월 초하룻날, 즉 그해의 맨 처음을 뜻한다. 또는 정월 초승을 나타내기도 하는데, 이는 초하루부터 며칠 동안을 가리키는 말이다. 보통은 이런 뜻으로 정초를 많이 쓴다. 이중과세하는 우리 풍습…‘해맞이’도 두 번 &ls...

  • 학습 길잡이 기타

    쓰임 폭 넓어지는 중성 대명사 'They'

    The four sisters knitted quietly as the December snow fell outside. It was a comfortable room, even though the furniture was old. Christmas flowers bloomed by the windows. Margaret, the oldest of the four, was sixteen, and very pretty. She had large ...

  • 생글기자

    인공지능(AI) 시대의 미래는 괜찮을까?

    우리 삶에 깊숙이 스며들어 있는 인공지능(AI)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는가. 인공지능이란 컴퓨터로 구현한 지능 또는 이와 관련한 전산학 분야의 연구를 뜻하는 말로, 사람 또는 동물의 지능이 컴퓨터로 모사될 정도로 세밀하고 정확하게 표현될 수 있다는 생각에 기반을 두고 있다. 정보화 시대, 여러 분야에서 인공지능 기술이 활용되고 있는데 사람들이 가장 쉽게 접할 수 있는 분야는 소프트웨어 인공지능 활용이다. 2011년부터 공개된 애플의 시리와 삼...

  • 생글기자

    이미지 시대에 우리 소비는 어떠한가

    언제부터인가 우리는 TV 광고를 보면 광고 속에 우리를 대입하곤 한다. 우월함과 아름다움을 모두 갖춘 것만 같은 광고의 주인공이 되어본 상상은 다들 한 번쯤 해보았을 것이다. 과거의 광고들을 떠올려 보라. 언제부터 냉장고 세탁기와 같은 가전제품에 우아한 이미지가 가미되기 시작했는가. 두 사진은 1990년대 냉장고와 2010년대 냉장고를 비교한 것이다. 과거 광고가 실용성과 기능을 강조했다면 오늘날엔 밤하늘 별과 함께 고급스러운 멜로디가 깔리며...

  • 생글기자

    달라진 '13월의 월급'을 잘 챙기려면…

    오는 15일부터 근로자 연말정산이 시작됨에 따라 연말정산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커지고 있다. 연말정산이란 급여소득에서 원천징수한 세액의 과부족분을 정산하는 일을 말한다. 연말정산을 하게 되면 흔히 돈을 더 내야 할 것으로 생각하는데 그것은 오해다. 연말정산 시 비과세 항목과 소득공제, 세액공제를 평소 잘 알고 있다면 낸 세금을 돌려받을 수도 있다. 흔히 ‘13월의 월급’이라고 불리는 돈이 환급세액에 속한다. 연말정산을 ...

  • 생글기자

    지역인재 9급 공무원 시험의 역차별 논란

    지역인재 9급 공무원 시험은 성적이 우수한 특성화고, 마이스터고, 전문대(채용 직렬인 행정과 기술직 군에 관련한 과가 설치된 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들이 학교장의 추천을 받아 치르는 시험이다. 시험 과목도 일반 공무원 시험보다 적은 세 개만 치르면 된다. 또한 직렬의 구분을 둬 경쟁률이 낮다는 특징이 있다. 대상 학교에 다니고 있는 학생이라면 노려볼 만한 유리한 전형이 아닐 수 없다. 그러나 지역인재 9급 공무원 제도가 두 가지 측면에서 역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