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경제·금융 상식 퀴즈
5월 16일 (754)
1. 통화정책과 관련해 ‘매파’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물가·경기 안정 중시 ② 인플레이션 파이터 ③ 긴축 선호 ④ 완화 선호 2. 중앙은행이 보유하고 있던 채권이 만기가 되면 받은 돈으로 다른 채권을 사지 않는 방식으로 시중의 자금을 흡수하는 통화정책은? ① 양적완화 ② 양적긴축 ③ 기준금리 인상 ④ 기준금리 인하 3. 현재 미국 중앙은행(Fed)의 의장을 맡고 있는 사람의 ...
-
대입전략
지난해 경찰대 경쟁률 92.4 대 1까지 치솟아…국어·수학·영어 중요하고 탐구 비중 낮은 편
경찰대와 육군, 해군, 공군, 국군간호사관학교는 수시, 정시 지원 횟수 제한 없이 추가로 지원할 수 있는 특수대학이다. 대학입시에서 한 번의 기회가 더 있는 셈이다. 이들 학교의 1차 지필고사(국어 수학 영어)는 수능 문제와 유형 및 난이도가 비슷해 본인의 수능 실력을 점검해보기에도 좋다. 2023학년도 경찰대 및 사관학교 입시에 대해 알아본다. 경찰대가 먼저 입시를 시작한다. 경찰대 일반전형이 5월 20일(금)~30일(월) 원서를 접수하고,...
-
키워드 시사경제
줄줄이 오르는 웹툰·음원·OTT 요금…구글 때문?
음원, 동영상, 웹툰 등의 스마트폰 앱 요금이 잇따라 인상되고 있다. 앱마켓을 운영하는 구글이 ‘인앱 결제(in-app purchase)’를 의무화해 어쩔 수 없다는 게 업체들의 설명이다. 인앱 결제란 유료 앱에서 결제할 때 구글이나 애플이 개발한 내부 결제 시스템을 이용하는 방식을 말한다. 구글과 애플은 이 과정에서 최대 30%를 수수료로 가져갈 수 있다. 평범한 소비자에겐 낯선 용어지만 앱 개발사엔 수익성을 좌우하는 변...
-
생글기자
실외 '노마스크'가 싫다는 사람들
영업시간 제한 등 사회적 거리두기가 해제된 데 이어 5월 첫주부터 실외 마스크 착용 의무가 사라졌다. 하지만 이번 조치와 상관없이 실외에서도 계속 마스크를 쓰겠다는 사람이 많다. 실제 거리에 나가 보면 마스크를 벗은 사람보다 쓴 사람이 더 많다. 왜 그럴까. 여전히 코로나19 감염이 두려워서일까. 그런 면도 있지만 사람들은 마스크가 주는 심리적 안정감을 버리고 싶지 않다고 말한다. 마스크를 쓴다고 해서 내가 아니라 다른 사람이 되는 것은 아니...
-
김동욱 기자의 세계사 속 경제사
친경 부활했지만 농업생산량은 급감 '아이러니'
광해군 이후에는 현종 대에 이를 때까지 친경의식이 치러지지 않았다. 친경이 다시 논의된 것은 숙종 대로 남인의 대표 허목이 옛 기록을 근거로 친경의례를 시행하자고 적극 건의한 이후였다. 하지만 친경의 ‘부활’은 쉽지 않았다. 마침 천연두가 유행한 탓에 반대 의견이 적지 않았다. 반대를 무릅쓰고 강행한 친경 당일 큰비가 내려 관경대에 설치된 일월오악도 병풍이 찢어지고 소를 끌고 쟁기를 밀 수 없을 정도로 땅이 질척대자 친경 ...
-
시사 이슈 찬반토론
갑론을박 병사 월급 200만원, 조기 시행해야 하나
대통령선거 때 갑론을박 논란을 유발했던 병사 월급 200만원 공약 이행 문제로 새 정부 출범 이후까지 떠들썩하다. 공약으로 내걸었던 만큼 약속대로 바로 이행해야 한다는 목소리와 재정 여건을 살필 때 조기 시행이 어렵다는 주장이 함께 나온다. 이전 정부의 과도한 재정지출과 급증한 국가채무를 볼 때 나라살림이 여유롭지 못하다는 게 현실론이다. 단순히 재정지출 부담 차원을 넘어 ‘신성한 국방 의무’에 월급 주기가 부적절하다는 근...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盲龜遇木 (맹귀우목)
▶한자풀이 盲: 맹인 맹 龜: 거북 귀 遇: 만날 우 木: 나무 목 눈먼 거북이 물에 뜬 나무를 만나다 어려운 상황에서의 뜻밖의 행운 - 《잡아함경(雜阿含經)》 《잡아함경(雜阿含經)》은 역자 미상으로, 5세기 전후 번역된 불교 경전이다. 무상(無常)·고(苦)·공(空)·비아(非我) 등 전반적인 불교 교리가 담겨 있다. 이 경전에 앞을 못 보는 거북 얘기가 나온다. 아주 깊고 넓은 바닷속에 눈이...
-
강홍민 기자의 직업의 세계
"'슬기로운 의사생활' 상표권 출원 제가 맡았죠"
지식재산권의 시대 주목받는 직업 양한나 강한국제특허법률사무소 대표 변리사 ‘미래는 지식재산권의 시대다’라고 말할 정도로 지식재산권(IP)의 가치가 높아지고 있다. 지식재산권이란 발명·상표·디자인 등 산업재산권을 비롯해 문학·음악·미술 작품 등에 관한 저작권을 말한다. 2020년 한 해 동안 국내 등록된 지식재산권은 특허 22만6759건, 디자인 6만7583건, 상표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