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생글기자
반려동물 인구 1500만…생명 존엄성 인식 가져야
반려동물을 키우는 가구가 증가하면서 양서 파충류, 절지동물과 같은 희소성 있는 특수 반려동물에 대한 관심도 늘고 있다. 그런데 이런 특수 반려동물을 과자 봉지나 장난감 상자에 넣어 국제택배로 부치는 불법 밀수가 횡행하고 있다고 한다. 문제는 많은 동물이 이 과정에서 스트레스를 심하게 받고 질식사하는 경우도 있다는 점이다. 불법 밀수는 또 국내 생태계를 교란시킬 위험이 크다. 애완용으로 수입되던 외래 생물 늑대거북은 강에 무단 방생되면서 최상위...
-
테샛 공부합시다
양면성 있는 독점, 과정을 살펴보는 것이 중요
조선의 개혁 군주로 유명한 정조는 1791년 신해년에 육의전을 제외한 시전 상인의 ‘금난전권’을 금지하는 ‘신해통공’을 시행합니다. 당연히 시전 상인, 이들과 결탁한 조정 대신들의 반발은 극심했습니다. 그런데도 왜 정조는 이를 밀어붙였을까요? 나라에서 부여한 독점판매권 조선은 상업을 가장 아래로 보았지만, 도성인 한양의 인구가 늘어나고 필요한 물품이 많아지면서 상인의 역할이 필요해졌지요. 그래서 도...
-
경제·금융 상식 퀴즈
11월 27일 (823)
1. 실업률이 0%는 아니지만, 일하고자 하는 의지와 능력을 가진 사람들은 원하는 때 모두 취업할 수 있는 상태를 뜻하는 말은? ① 직접고용 ② 간접고용 ③ 완전고용 ④ 불완전고용 2. 살인적 고물가에 시달려온 이 나라에서 급진적 자유주의 성향의 하비에르 밀레이가 새 대통령에 당선됐다. 화폐로 페소를 쓰는 이곳은? ① 브라질 ② 필리핀 ③ 아르헨티나 ④ 룩셈부르크 3. 세계 원유 가격 결정에 중요한 변수가 되고 있는 ‘석유...
-
이근미 작가의 BOOK STORY
각박한 세상 위로해줄 따뜻한 꿈 팝니다
“책이 안 팔린다.” 출판계, 서점, 작가들이 입을 모은다. 1990년대 출간된 국내 창작 소설 가운데 100만 부를 돌파한 책은 17권이었다. 2000년대에 좀 줄었다고는 하지만 10권이나 됐다. 그러던 것이 2010년대는 <정글만리>(조정래), <82년생 김지영>(조남주) 단 두 권으로 쪼그라들었다. 그런데 2020년대 들어서서 3년이 지났을 뿐인데, 벌써 3권의 밀리언셀러가 탄생했다. <달...
-
키워드 시사경제
대만인 44% "반도체 기업 TSMC가 나라 지켜줄 것"
“TSMC는 미국 입장에서 중요한 존재이며, 유사시에는 미국이 대만을 돕기 위해 군대를 파견할 가능성을 높일 것이다.” 대만중앙연구원 산하 유럽·미국학연구소(IEAS)가 지난주 공개한 여론조사 결과에서 대만 성인의 44.6%가 이같이 답했다. TSMC는 1987년 대만에서 설립된 세계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회사다. 애플, 엔비디아, 퀄컴 등 세계적 정보기술(IT) 기업에 반도체를 공급하는 것으로 유...
-
생글기자
일상 속 차별적 표현 없는지 돌아보자
누군가를 싫어하고 따돌리는 혐오와 차별 문화가 확산하고 있다. 캠페인과 인권운동도 중요하지만, 우리가 아무렇지 않게 쓰는 말 속에 담긴 차별적 표현도 돌아볼 필요가 있다. 먼저 “반팔 티셔츠랑 반바지 둘 다 너무 예쁘다”라고 얘기했다고 하자. 여기엔 의식하지 못하는 사이에 장애인을 비하하는 표현이 들어가 있다. 바로 ‘반팔’이다. 이는 같은 문장에서 쓰인 반바지와 같이 ‘반소매’...
-
대학 생글이 통신
공부하며 '노래 듣기' 멈추니 집중력·성적 높아져
여러분은 혹시 공부할 때 음악을 듣나요? 많은 학생은 “다른 과목 공부할 때는 듣지 않지만, 수학을 공부할 때는 들어요”라고 답합니다. 저 또한 고등학교 시절 초반에는 수학 공부를 하며 음악을 자주 들었습니다. 때로는 공부에 집중하기 위해 ‘가사 없는 곡’을 듣기도 했습니다. 잠을 깨기 위해 또는 즐겁게 공부하기 위해, 수학 공부를 시작하기만 하면 ‘음악 듣고 싶다’라는 생각이 먼...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巧言令色 (교언영색)
▶한자풀이 巧: 공교할 교 言: 말씀 언 令: 하여금 령(영) 色: 빛 색 말을 교묘하게 하고 얼굴빛을 꾸미다 환심을 사기 위한 꾸민 말과 아첨하는 얼굴 - <논어> 말(言)은 공자가 군자와 소신을 가르는 대표적 잣대다. 공자에 따르면 “군자의 말은 묵직하고 소인의 말은 가볍다”. 군자의 말은 발을 따라가지만 소인의 말은 발보다 저만치 앞서간다. 군자의 말이 어눌한 듯한 것은 발(行)이 말을 따라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