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사십둘'은 어색한 수 읽기죠
일상의 말을 가만 들여다보면 이상한 수 읽기가 하나 있다. 숫자를 “사십둘” 식으로 말하는 게 그것이다. ‘마흔둘’도 아니고 ‘사십이’도 아니다. 의외로 이런 경우가 흔하다. 나이를 말할 때도 ‘사십두 살’이라고 한다. ‘마흔두 살’ 또는 ‘42세’라고 해야 자연스럽다. 10 이하 숫자는 고유어로 많이 읽어 말 쓰...
-
역사 기타
비단을 생산·수출하고 어물 등과 거래했죠…토지·자원은 왕의 소유…왕토주의 생겨나
4개 촌이 생산한 비단은 연간 200필 이상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촌민들은 그 상당 부분을 신라에 공납한 다음 나머지를 소금, 어물, 토기, 철기를 들고 촌을 찾아오는 상인에게 판매했다. 비단은 신라의 대외무역에서 인기 있는 수출품이었다. 신라의 대외 무역 필자는 4개 촌의 무성한 뽕나무 숲에서 그런 국제적 물류를 상상한다. 그 생태환경은 인구 과잉으로 산업이 곡작(穀作) 일변으로 찌그러진 15세기 이후와는 크게 구분되는 초기 농경사회...
-
진학 길잡이 기타
논술준비의 핵심은 기출문항의 철저한 분석이죠
※ 지난 3월 대학들은 ‘2019학년도 대학입학전형 선행학습 영향평가 보고서’를 공개했고, 여기에는 수험생에게 가장 중요한 기출문제의 출제의도 및 평가요소 등이 상세히 실려 있습니다. 대학별, 전형별로 출제문항이 어떠했는지, 어떤 고교과정과 연계되는지를 확인하는 것도 물론 중요하나 문제를 풀어야 하는 당사자 입장에서는 어떻게 답안을 작성해야 합격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는 게 우선일 것입니다. 이에 <생글생글>에서는...
-
테샛 공부합시다
디플레이션은 물가의 지속적 하락 현상, 중앙은행의 제1목표는 통화가치 안정이죠
달걀 3개의 가격이 100조원?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소비하는 달걀을 생각하면 달걀 3개의 가격은 상상을 초월한다. 이런 일이 정말 일어났을까? 바로 짐바브웨라는 국가에서 발생했다. 아프리카의 작은 나라인 짐바브웨에서 인플레이션과 물가 관리를 잘못해 경제가 회복불능에 빠졌다. 당시 실제 물가상승률은 4억%였다고 하니 ‘인플레이션 중의 인플레이션’이었던 셈이다. 인플레이션의 파급력 짐바브웨의 사례는 인플레이션 관리가 얼마나...
-
생글기자
평범하더라도 도전하는 삶은 아름답다
얼마 전에 《연어》(안도현 지음)라는 책을 읽었다. 온몸이 은빛 비늘로 덮여 별종으로 불리던 은빛연어가 눈맑은연어를 만나 사랑하고 함께 자신들이 태어난 초록 강으로 돌아가 알을 낳고 죽음을 맞는다는 이야기다. 그런데 이 책이 나에게 인상 깊었던 이유는 은빛연어가 자신의 정체성에 대해 생각하고, 인생에서 어떤 꿈과 목표가 가치 있는 것인지 끊임없이 고민하고 질문하던 것이 우리들의 모습과 닮았다는 생각에서였다. 청소년기는 자기 존재감과 이상, 또...
-
커버스토리
1000원이 1원 된다고?…리디노미네이션 논란
리디노미네이션(화폐 단위 변경·redenomination)이 경제 분야의 뜨거운 이슈로 등장했다. 리디노미네이션 논쟁은 지난달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의 발언으로 촉발됐다. 그는 3월 25일 국회 업무보고에서 리디노미네이션의 필요성을 묻는 질문에 “논의할 때가 됐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 총재 발언에 보조를 맞춰 국회도 공론화 작업에 들어갔다. 국회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이원욱·심기준 더불어민주당 의원...
-
테샛 공부합시다
공공경제학은 정치집단의 행동을 분석하죠…정당·정치인·공무원도 자신들의 이익을 추구하죠
최근 집권당과 일부 야당이 선거제 개편·고위공직자비리수사처(공수처) 도입, 검·경 수사권 조정안을 신속처리안건 즉, 패스트트랙에 올리는 데 합의했다. 일상 생활에서 물건을 사고파는 시장이 있듯이, 정치 영역에서도 ‘법안 시장’이 있다. 시장에서는 수요와 공급에 따라 가격이 결정돼 소비자·생산자의 사회적 후생이 증가한다. 하지만 정치 영역에서의 법안 거래는 반드시 사회적 후생에 긍정적이지...
-
테샛 공부합시다
기준금리 인상
문제 한 해외 록밴드 그룹을 소재로 한 영화가 흥행에 성공해 화제가 됐다. 영화가 재미있어도 주위에 그 영화를 본 사람이 거의 없으면 영화에 관한 얘기를 나눌 수 없어 영화로부터 얻는 편익이 크지 않을 수 있다. 하지만 더 많은 사람이 그 영화를 볼수록 영화 감상을 공유할 수 있어 편익이 커진다. 입소문을 탄 영화의 관객이 급증하는 데는 이런 이유도 존재한다. 이런 현상과 가장 관계 깊은 개념은? ① 양면 시장 ② 식스 포켓 ③ 디드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