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숫자로 읽는 세상

    불황에 더 강한 다이소…매출 4조클럽 코앞

    내수 부진에 따른 소비 위축이 장기화하는 가운데 초저가 생활용품점 다이소가 지난해 4조원에 육박하는 역대 최대 매출을 올렸다. 뷰티·패션 등으로 상품군을 확장하고 온라인몰 강화, 외국인 수요 발굴 등에 적극적으로 나선 전략이 주효했다. 500~5000원대 저가 상품 판매만으로 10%에 가까운 영업이익률을 기록하며 ‘유통 강자’로 진화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아성다이소는 지난해 매출 3조9689억원, 영업이익 3711억원을 기록했다고 14일 공시했다.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사상 최대치다. 매출은 1년 전보다 14.7%, 영업이익은 41.8% 급증했다. 특히 영업이익률이 9.35%로 이마트(0.16%) 쿠팡(1.46%)과 비교해 압도적으로 높았다.다이소 연간 매출은 2022년 2조9457억원에서 2023년 3조4604억원으로 늘어난 데 이어 지난해 4조원에 육박하는 등 매년 급증했다. 올해도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대체 데이터 플랫폼 한경에이셀(Aicel)에 따르면 1~3월 카드 결제 추정액이 모두 전년 동기 대비 늘었다. 3월에는 8.1% 증가한 1858억원에 달했다.다이소가 급성장한 주요 배경으로는 상품군 확장이 꼽힌다. 고마진 제품인 뷰티·패션 상품군을 대폭 늘렸다. 지난해 말 기준 다이소에서 판매한 뷰티 브랜드와 상품은 60개, 500여 종이다. 2023년 말(26개 브랜드, 250여 종)에 비해 두세 배 늘어난 규모다. 다이소 뷰티 제품이 불티나게 팔리자 아모레퍼시픽, LG생활건강 등 뷰티 대기업도 다이소 전용 상품을 개발해 입점했다. ‘샤넬밤’(손앤박 멀티컬러밤), ‘리들샷’(VT 리들샷 앰풀) 등이 연달아 히트하며 지난해 다이소 화장품 매출은 1년 전보다 144% 급증했다. 의류 매출도 두 자릿수 증가했다. 지난해 의류 부문

  • 숫자로 읽는 세상

    카카오 前 CEO, 300억대 스톡옵션 '잭팟'

    “성과 있는 곳에 보상 있다.”올 상반기 SK 계열사 경영진이 업계 최고 수준의 보수를 받은 것으로 조사됐다. SK하이닉스가 지난해 역대 최대 매출을 기록하고 인텔 낸드플래시사업부 인수에 성공하면서 최고경영진에 30억~40억원대 성과급을 지급한 영향이다. 카카오 전 대표(CEO)들은 주식매수권(스톡옵션)을 행사해 300억원 넘는 보수를 챙겼다. SK하이닉스 성과 커지난 16일 국내 상장사들이 공시한 반기보고서에 따르면 카카오에서 올 3월 퇴임한 조수용·여민수 전 대표가 전문 경영인 중 보수 1·2위를 차지했다. 조 전 대표는 361억원, 여 전 대표는 332억원을 카카오에서 받았다. 스톡옵션 대박 영향이 컸다. 조 전 대표는 스톡옵션으로 337억5000만원을 가져갔다. 주당 1만7000~2만원에 받은 스톡옵션 총 45만 주를 9만4100원에 행사했다. 여 전 대표도 42만5000주 규모 스톡옵션을 행사해 차익 318억2400만원을 거뒀다.제조업체 중에선 SK하이닉스 경영진이 보수를 많이 받았다. 박성욱 SK하이닉스 부회장이 상반기 96억2900만원을 받았다. 급여와 상여금은 총 12억원 수준이지만 스톡옵션을 행사한 이익이 84억2600만원에 달했다. 박 부회장은 2017년 3월 24일 4만8400원에 SK하이닉스 주식을 살 수 있는 스톡옵션 9만9600주를 받았고 이를 지난 2월 17일 13만3000원에 팔았다.박정호 SK하이닉스 부회장도 상반기 보수로 총 87억5900만원을 수령했다. 박 부회장은 SK텔레콤 부회장과 SK스퀘어 대표를 겸하고 있다. SK하이닉스에서만 전체 보수의 절반 이상인 44억7500만원 규모 상여금(자사주 1만5933주 포함)을 받았다. 이석희 SK하이닉스 사장은 84억2400만원을 받았다. 퇴직금 46억7300만원이 포함됐다. 구광모·김승연

  • 경제 기타

    2020 열심히 활동한 '으뜸 생글기자' 뽑았어요!

    한국경제신문 경제교육연구소는 2020 생글기자 가운데 뛰어난 활동을 펼친 학생기자를 ‘2020 으뜸 생글기자’로 선정했습니다. 2020년 2학기부터 2021년 1학기까지 1년 동안 생글생글 지면에 게재된 기사 수를 기준으로 선정했습니다. 박민우 생글기자(동성고 3학년)는 이 기간 16건의 기사를 게재하는 남다른 성실함을 보여줬습니다. 궁호영 생글기자(일산국제컨벤션고 3학년)는 9건, 송정효 생글기자(대전신일여고 3학년)는 8건을 게재해 각각 우수기자에 선정됐습니다. 중학교 생글기자는 다소 저조해 나예빈 생글기자(청원중 3학년) 한 명만 최우수기자로 선정했습니다. 수상자에게는 한국경제신문 사장 명의의 상장과 소정의 상품권을 우편으로 보내드립니다.

  • 경제 기타

    코로나 터졌는데 장사 더 잘했다…삼성전자의 '어닝 서프라이즈'

    삼성전자가 올 3분기에 시장의 예상을 훌쩍 뛰어넘는 ‘깜짝 실적’을 올렸다. 코로나19 사태로 세계 경제가 위축된 상황에서 분기 매출 신기록을 다시 쓴 것이다. 이 회사가 지난 8일 발표한 3분기 잠정 실적에 따르면 매출은 66조원, 영업이익은 12조3000억원이었다. 매출은 기존 최고 기록이던 2017년 4분기(65조9800억원)를 간발의 차이로 앞질렀다. 영업이익은 반도체시장이 초호황을 누린 2018년 3분기(17조5700억원) 이후 최대였다.당초 증권사들은 삼성전자의 3분기 영업이익을 10조2000억원 안팎으로 예상했다. 뚜껑을 열어 보니 컨센서스(추정치 평균)보다 20%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환호성과 한숨이 뒤섞이는 어닝 시즌주식시장에 상장된 기업들은 1년에 네 차례 분기별 실적을 발표한다. 기업들이 실적을 공개하는 시기를 ‘어닝 시즌’이라고 부른다. 발표된 실적이 시장의 예상치를 훨씬 뛰어넘으면 투자자들을 깜짝 놀라게 했다고 해서 ‘어닝 서프라이즈’라고 한다. 10등쯤 할 줄 알았던 학생이 갑자기 1등한 것과 비슷한 상황이다. 반대로 예상을 밑도는 부진한 실적은 투자자를 충격에 빠뜨렸다고 해서 ‘어닝 쇼크’라고 표현한다.삼성전자의 실적은 어닝 시즌마다 많은 관심을 받는다. 매출이 국내총생산(GDP)의 8%를 차지하는, 국내에서 가장 큰 기업이기 때문이다. 그런 삼성전자의 3분기 실적은 전형적인 어닝 서프라이즈였다. 갤럭시노트, 초대형 TV, 의류건조기, 고급형 냉장고 등과 같이 수익성 좋은 제품이 많이 팔린 덕분이라고 한다. 코로나19 확산으로 억눌렸던 소비가 신제품이 쏟아진 3분기를 기점으로 되살아났다는 분석이다.삼성전자라고 항상 좋은 성적표만 받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