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커버스토리

    한국, 비메모리 반도체도 세계 최강 가능할까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달 30일 “2030년까지 시스템 반도체 파운드리(수탁생산) 분야에서 세계 1위를 달성할 수 있도록 모든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경기 화성 삼성전자 사업장에서 열린 ‘시스템 반도체 비전 선포식’에 참석해 “메모리 반도체 세계 1위를 도약대 삼아 비메모리 반도체 분야에서도 성공한다면 명실상부한 종합 반도체 강국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반도체는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반도체, 데이터를 해석·계산·처리하는 비메모리(시스템) 반도체로 나뉜다. 메모리 반도체의 비중은 전체 반도체 시장의 36%이고 나머지 64%는 비메모리 반도체 몫이다. 문 대통령이 ‘시스템 반도체 육성’을 강조한 것은 국내 시스템 반도체 업체들의 국제 경쟁력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국내 기업들은 메모리 반도체 분야에서 세계 1위를 달리고 있다. 하지만 시스템 반도체 분야의 시장점유율은 3%대에 불과하다.정부도 시스템 반도체 종합 육성전략을 내놨다. 시스템 반도체 기술력을 높이기 위해 연구개발(R&D)에 10년간 1조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시스템 반도체의 주요 분야인 팹리스(제조 공장 없는 반도체 설계 전문 기업) 경쟁력 향상을 목적으로 1000억원 규모의 자금도 투자할 계획이다. 시스템 반도체 전문가를 육성하기 위해 연세대와 고려대에 2021년 연 80명 정원의 ‘반도체 계약학과’를 신설한다는 계획도 발표했다. 정부 대책에 발맞춰 삼성전자는 2030년까지 133조원을 투입하는 ‘반도체 비전 2030’을 내놨다. 시스템 반도체 육성 대책이 나오게 된 배경과 영향, 효과는 무엇인지 4, 5면에서 자세히 알

  • 경제 기타

    막오른 '폴더블폰' 시대…누가 글로벌시장 승자될까

    세계 1위 스마트폰 제조사인 삼성전자와 3위 화웨이는 지난달 연달아 폴더블(접는) 스마트폰을 공개했다. 폴더블폰은 2007년 애플이 아이폰을 내놓은 이후 10년 넘게 유지됐던 바(bar) 타입의 스마트폰 외관을 바꿀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한계에 다다른 스마트폰 시장에 새로운 바람을 불어넣을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지 관심사다. 초기 시장을 선점하려는 삼성전자와 화웨이의 불꽃 튀는 경쟁에 관심을 쏟을 수밖에 없는 이유다.안으로 접는 삼성, 밖으로 접는 화웨이삼성전자는 지난달 20일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폴더블폰 ‘갤럭시폴드’를 공개했다. 화웨이는 4일 뒤인 24일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메이트X(엑스)’를 선보였다. 두 회사는 지난달 25~28일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모바일 전시회 MWC19에 제품을 나란히 전시했다. 하지만 양사 모두 제품을 유리관 안에 넣어 실제로 만져볼 수는 없었다. 아직 제품 완성도를 끌어올리는 작업이 더 필요하다는 의미로 해석된다.삼성전자와 화웨이 폴더블폰의 가장 큰 차이점은 접는 방식이다. 갤럭시폴드는 화면을 안쪽으로 접는 인폴딩(infolding) 방식이다. 접은 상태에선 4.6인치 작은 화면을 쓸 수 있고 화면을 책처럼 펼치면 안쪽에 7.3인치 대형 디스플레이가 나온다. 화면이 안으로 접혀 외부 충격으로부터 파손을 막기 좋다.반면 메이트X는 화면을 밖으로 펼치는 아웃폴딩(outfolding) 방식을 썼다. 화면을 접었을 때는 6.6인치, 펼치면 8인치가 된다. 큰 화면을 반으로 접어 평소에는 한쪽만 쓰다가 펼치면 양쪽을 모두 쓸 수 있는 셈이다. 작은 화면이 바깥에 따로 달려 있는 갤럭시폴드와 다른 점이다. 외부 충격을 받았을 때 파손 위험성이 크다는

  • 경제 기타

    '폴더블폰 시대' 열렸다…화면 접으면 스마트폰, 펴면 태블릿

    화면 중간을 접었다 펼 수 있는 ‘폴더블(foldable) 스마트폰’ 시대가 열렸다. 지난달 중국의 한 디스플레이 전문업체가 세계 최초로 폴더블폰을 공개했다. 삼성전자, 화웨이 등 글로벌 스마트폰 업체들도 잇따라 비슷한 제품을 선보일 예정이다.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의 성장이 멈춘 가운데 폴더블폰이 시장을 반등시킬 수 있을지 관심사다.접으면 스마트폰, 펼치면 태블릿폴더블폰은 단어 그대로 접을 수 있는 휴대폰이다. 과거 많이 사용됐던 ‘폴더폰’은 대개 화면 부분과 키패드 부분을 경첩으로 연결하는 식이다. 반면 폴더블폰은 화면 자체를 구부리는 방식이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폴더블폰은 접었을 때는 스마트폰, 펼쳤을 때는 태블릿이 되는 구조”라며 “동시에 여러 작업을 빨리 할 수 있도록 멀티태스킹 기능이 강화된다”고 설명했다. 간단한 작업을 하거나 이동 중에는 스마트폰을 접은 상태로 이용하고 한자리에 머물면서 작업하거나 영상·게임을 즐길 때는 화면을 펼친 상태로 쓸 수 있다. 폴더블폰을 만들기 위해선 화면을 구부릴 수 있는 플렉시블(flexible) 디스플레이가 필요하다. 반복해서 제품을 접었다 펴도 망가지면 안 되므로 내구성도 중요하다. 이 때문에 당분간 폴더블폰 가격은 기존 프리미엄 스마트폰보다 1.5~2배가량 비쌀 가능성이 높다.중국 업체가 세계 최초로 선보여현재 폴더블폰 개발에 가장 많은 힘을 쏟고 있는 회사는 삼성전자와 화웨이다. 삼성전자는 지난 7일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삼성 개발자 콘퍼런스(SDC)에서 폴더블폰의 일부 유저 인터페이스(UI)를 공개했다. 화웨이도 이르면 연내 공개를 목표로 관련 제품을 개발 중이다.

  • 경제 기타

    삼성전자라는 기적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1위 기업은 어디일까? 백이면 백, 분명 삼성전자를 첫손가락에 꼽을 것이다. 하지만 삼성그룹이 처음 삼성전자를 설립하려고 했을 때만 해도 찬성하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았다. 오히려 삼성그룹의 전자산업 진출을 극구 반대하는 목소리가 높았다. 대표적으로 한국전자공업협회는 전자회사 59개사 회원들의 명의로 삼성그룹의 전자산업 진출을 반대하는 성명서를 내기까지 했다.한국전자공업협회의 반대성명의 요지는 다음과 같았다.“전자산업 진출 조건으로 삼성이 내건 3대 조건이 이미 실현 불가능하니 삼성의 전자산업 진출이 허락되어서는 안 된다.”당시 삼성그룹은 국내 중소기업이 국산화에 성공하지 못한 TV수상기, 라디오, 스피커 등의 제품을 일본의 산요전기와 합작하여 생산하겠다고 밝혔다. 그리고 생산품의 85%를 수출하고, 15% 이내만을 국내에 판매하겠다는 조건을 걸었다. 하지만 한국전자공업협회에서는 ‘3불가론’을 내세워 삼성그룹의 전자산업 진출을 끝까지 저지하고자 했다.첫째는 삼성그룹이 말하는 TV수상기, 라디오, 스피커 등은 모두 국내 중소기업에서 국산화에 성공하고 있다는 것이고, 둘째는 삼성의 85% 수출 약속은 불가능하다는 것이며, 셋째는 나머지 15%만으로도 국내 총생산량을 이미 초과한다는 것이다.“삼성이 무슨 수출을 해”한국전자공업협회가 삼성전자 설립을 반대한 이유는 두 가지였다. 하나는 당시 전자산업계가 중소기업 중심의 열악한 환경이었다. 오늘날 LG로 성장한 당시 금성사를 제외하면 나머지 전자업체는 중소기업 규모에 불과했다. 만약 지금이라면 전자산업이 중소기업 적합업종에 해당되어 삼성의 전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