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커버스토리

    수많은 '붉은 깃발'에도 기술은 진화의 길을 걸었다

    패러다임(paradigm)은 토머스 쿤의 <과학혁명의 구조>(1962)에서 처음 언급된 용어다. 어떤 한 시대 사람들의 견해나 사고를 규정하는 인식 체계인 패러다임이 바뀌면 생활이나 생각의 방식이 변한다. 때로는 과거의 것들이 부정되고, 새로운 것들이 뉴 노멀(새 표준)이 된다. 과학이나 기술, 철학 등은 패러다임을 바꾸는 핵심이다. 스마트폰은 세상을 바꿔놓은 기술의 결정체다. 스마트폰 이전과 이후의 세상은 확연히 다르다. 인류의 역사는 기술 진화의 역사인류가 야만에서 문명으로 나온 길목 곳곳에는 ‘기술’이 숨어 있다. 활자, 증기기관, 자동차, 기차, 비행기, 전화기, 스마트폰 등은 모두 기술 진화의 산물이다. 인류의 삶은 기술 진화로 부유하고 풍성해졌다. 하지만 기술 진화의 변곡점에는 저항도 만만찮았다. 이른바 ‘붉은 깃발법(Red Flag Act)이 대표적 사례다.산업혁명은 영국에서 태동했고, 촉매는 증기기관이다. 한데 산업혁명의 발상지인 영국에서는 왜 자동차산업이 꽃을 피우지 못했을까. 이 의문에 대한 힌트는 ‘붉은 깃발법(적기 조례)’이다. 증기자동차 이전 영국의 주요 교통수단은 마차였다. 증기자동차는 수많은 마부의 일자리를 빼앗아 갔고, 일자리를 잃은 마부들은 격렬한 시위에 나섰다. 결국 1865년 빅토리아 여왕은 ‘붉은 깃발법’을 선포한다. 한 사람이 붉은 깃발을 들고 증기기관차 55m 앞을 달리면서 차를 선도했고, 증기기관차의 최고 속도는 시속 6.4㎞(시가지에서는 3.2㎞)로 제한했다. 마부들의 저항에 자동차를 만들고 타야 할 유인(誘引)을 아예 없애버렸다. 혁신 산업인 자동차는 사양산업인 마차에 막혔고, 그사이 자동차는 독일과 프랑스를

  • 윤명철의 한국 한국인 이야기

    통계학·보험·헤지펀드·스마트폰의 공통점은? 도박을 연구하던 괴짜 천재들 덕에 탄생했죠 !

    ☞옆에서 소개한 사례는 미국의 과학저술가 스티븐 존슨(사진)의 책 《원더랜드》(프런티어 펴냄·444쪽·1만6000원)를 발췌해 재구성한 것이다. 이 책은 인류 역사의 혁신이 획기적 아이디어나 기술이 아니라 사소해 보이는 놀이에서 비롯됐다고 소개한다. 패션, 쇼핑, 음악, 맛, 환영, 게임, 공공장소 등 여섯 주제로 나눠 즐거움을 찾는 인간의 본성이 상업화 시도와 신기술 개발, 시장 개척으로 이어진 다양한 사례를 담았다.게임은 인간이 만든 가장 오래된 문화유물이다. 이집트 파라오는 동물의 발목뼈로 만든 ‘아스트라갈리’로 주사위놀이 비슷한 게임을 했다. 우르 왕릉에서는 오늘날의 ‘백개먼’과 비슷한 게임이 발견됐다. 수천년을 거슬러 올라가는 이런 정교한 게임도구들을 보면 우연과 무작위성을 향한 인간의 관심이 매우 뿌리깊은 듯하다. 자연의 기본원리를 아직 밝혀내지 못했던 과학 이전의 세상에서, 우연의 요소가 작용하는 게임은 날마다 삶이 던지는 무작위성에 대해 인간이 예행연습하는 셈이었다.주사위게임에서 확률공식을 찾다오늘날 우리가 알고 있는 형태의 주사위는 체스게임의 진행 속도를 높이기 위해 만들어졌다. 1283년 스페인의 한 체스 플레이어는 “게임 한 판에 시간이 너무 오래 걸려 지친 플레이어들이 게임을 빨리 진행하기 위해 도입한 게 주사위”라고 기록했다. 체스는 논리와 정보에 기초한 게임이었기에 우연과 운이 작용하는 주사위를 도입한 방식은 얼마 안 가 사라졌다. 하지만 주사위는 체스 이외 분야에서 사회를 변화시키는 막대한 영향력을 발휘했다.16세기 이탈리아의 젊은 의학도 지롤라모 카르다노는 도박장에서 게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