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생글기자

    청소년도 주식투자 통해 경제공부하자

    최근 코로나19로 경제적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미래를 대비하기 위한 청소년 금융교육의 중요성이 다시 한 번 강조되고 있다. 은행 예금 이자가 연 1%대에 머무르는 초저금리 시대에 청소년기부터 올바른 금융 가치관을 형성하고 투자에 대한 지식을 쌓을 필요가 있다. 투자란 이익을 얻을 목적으로 돈을 대거나 시간, 정성을 쏟는 것이다. 최근 ‘동학개미운동’ 등으로 투자에 대한 관심이 커진 가운데 주식 투자가 또다시 주목...

  • 생글기자

    20~30대의 치매, 영츠하이머

    인터넷 검색창을 열었을 때 무엇을 검색하려고 했는지 기억이 나지 않았던 적이 있었는가? 중요한 약속을 잊어버려 곤란한 적이 있었는가? 혹시 어떤 일을 하다가 뭘 해야 할지 잊은 적은? 이러한 행동이 반복된다면 영츠하이머를 의심해 볼 필요가 있다. 영츠하이머란 20~30대의 젊은 세대에서 건망증 증세를 보이면서 생겨난 신조어다. 젊음(Young)과 알츠하이머(Alzheimer)를 결합한 용어로 젊은 나이에 겪는 건망증을 의미한다. 영츠하이머의...

  • 생글기자

    좋은 습관 만들기는 변화의 시작이다

    2020년도에 했던 활동 중 가장 기억에 남는 것이 무엇이냐고 묻는다면 나는 학교에서 한 ‘좋은 습관 만들기’라고 주저하지 않고 말할 것이다. 좋은 습관 만들기 활동이란 빈 종이를 받아 나의 목표를 하나 적고 60일 정도 꾸준히 반복해서 이룬 후 담당 멘토 선생님이나 가족에게 확인을 받은 활동이다. 나는 이 활동을 통해 좋은 습관을 하나 가졌을뿐더러 습관의 중요성을 배우게 됐다. 습관의 사전적 의미는 ‘어떤 행...

  • 생글기자

    수필 《인생에서 너무 늦은 때란 없습니다》가 준 감동

    단 하루의 차이지만 새해 아침 벽에 거는 달력은 경건한 마음을 불러온다. ‘아프지 말기, 더 긍정적인 사람 되기, 매일 감사하며 살기, 너무 늦었다는 생각 말기.’ 2021년을 이런 마음가짐으로 시작하게 된 것은 새해 첫 책으로 읽었던 애나 메리 로버트슨 모지스의 자전적 수필 《인생에서 너무 늦은 때란 없습니다》의 영향이다. 시작을 앞둔 이들을 응원하고 마음을 다독여주는 제목도 좋았지만, 할머니의 삶이 고스란히 녹아 있는 ...

  • 생글기자

    코로나와 싸우는 전문가 판단에 귀 기울여야

    세계 각국이 시급하게 해결해야 할 과제 중 하나가 코로나19 확산을 방지하고 종식시키는 것이다. 미국의 경우 질병통제예방센터(CDC), 한국은 질병관리청(KDCA), 중국은 질병관리본부(CCDC)를 중심으로 대응하고 있다. 미국 CDC는 1946년 애틀랜타에 있는 작은 건물에서 말라리아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시작됐다. 1000만달러의 예산과 400여 명의 직원으로 출범한 이 기관은 말라리아 퇴치에 필요한 트럭과 분무기, 삽을 충분히 확보하는 ...

  • 테샛 공부합시다

    경제 현상

    [문제] 아래 나열한 상황으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갑국의 경제 현상에 대한 추론으로 옳은 것은? A. 불안정한 갑국의 정치 상황으로 인해 외국인 관광객과 유학생 수가 크게 줄었다. B. 갑국은 안정적인 에너지 공급을 위해 병국 회사에 대규모 해외 투자를 하기로 했다. ① 물가가 하락하고 외채 상환 부담도 줄어들게 될 것이다. ② 물가가 상승하고 해외여행을 하려는 사람들의 경제적 부담은 줄어들 것이다. ③ 해외 유학생 자녀를 둔 가정...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仁者樂山(인자요산)

    ▶ 한자풀이 仁 : 어질 인 者 : 놈 자 樂 : 좋아할 요, 즐길 락 山 : 뫼 산 어진 사람은 산을 좋아한다는 뜻으로 지혜로운 이는 물을 좋아한다와 함께 쓰임 - <논어> 공자의 가르침의 핵심은 인(仁)과 예(禮)다. 인은 마음에 품어야 하는 따뜻한 심성이다. 공자 사상을 이어받은 맹자의 측은지심(惻隱之心)은 남을 불쌍하게 여기는 타고난 착한 마음이다. 인은 인간의 본성이 선하다는, 이른바 성선설의 바탕이기도 하다. ...

  • 윤명철의 한국 한국인 이야기

    단순 주조품보다 뛰어난 비파형 동검·청동거울…원조선의 정교한 합금·주조 기술 당대 최고였다

    한국은 많은 나라가 선망하는 국가다. ‘한류’는 선진국에서도 인기몰이 중이다. 50년 만에 세계 최빈국을 벗어나 산업화와 부국강병에 성공했기 때문이다. 우리 역사에서도 산업이 발전하고, 뛰어난 기술력을 갖춘 나라들이 있었다. 하지만 ‘고대 산업’에 대한 오해, 자기 정체성에 대한 불신과 저평가, 역사학자들의 편협함 때문에 이를 잘 알지 못한다. 베이징 근처에서도 발견된 원조선 유물들 원조선은 어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