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테샛 공부합시다
"주니어 테샛 공부…생활 속 경제가 눈에 들어왔죠"
“신문을 매일 보고 책도 자주 읽으면서 자연스럽게 경제에 관심이 생겼습니다. 그래서 저의 경제 지식을 평가받고 싶다고 생각했는데, 마침 테샛이라는 경제 시험을 알게 됐습니다. 하지만 테샛은 아직 어려울 것 같아서 주니어 테샛에 먼저 응시하기로 하고 시험을 준비했습니다.” 31회 주니어 테샛에서 S등급 수상자가 나왔다. 명진중학교 3학년에 재학 중인 진우찬 학생(사진)이 그 주인공이다. 진군은 주니어 테샛 챔피언이 됐다는 ...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파경 (破鏡)
▶ 한자풀이 破: 깨뜨릴 파 鏡: 거울 경 '깨진 거울'이라는 뜻으로 부부가 금실이 안 좋아 이혼함 - 《태평광기(太平廣記)》 남북조시대 남조의 마지막 왕조인 진(陳)이 망할 즈음 낙창공주는 태자사인(太子舍人) 서덕언의 부인으로 미모가 뛰어났다. 서덕언은 부인과 헤어질 것을 늘 염려했는데, 수나라 대군이 진을 공격하기 시작하자 불안감이 더 커졌다. 진이 망하면 부인은 수의 권력자에게 넘어갈 게 뻔했다. 그는 거울을 반으...
-
키워드 시사경제
주주총회가 가장 많이 열리는 날…올해는 3월29일
3월 29일은 여러 상장사 주식을 보유한 개미 투자자들에겐 바쁜 날이 될 것 같다.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 상장사 중 400곳 이상의 주주총회가 몰려 있는 날이기 때문이다. LG와 SK, 기아, 넷마블, 두산중공업, 카카오, 한화, 경동제약, 하림 등이 이날을 택했다. 해마다 가장 많은 상장사의 주주총회가 집중되는 날을 ‘슈퍼 주총 데이’라고 부른다. 주총은 정말 드라마 같을까 “주주총회를 소집해 회장님 해...
-
김동욱 기자의 세계사 속 경제사
발트해 소금 교역 주도한 네덜란드…한자동맹 제치고 세계 무역 강자 됐죠
17세기 세계 경제사의 ‘승자’는 네덜란드였다. 그리고 그 성공의 배경에는 ‘소금’이 있었다. 조너선 이스라엘 런던대 교수에 따르면 네덜란드는 17세기 초중반 세계 무역을 주도하면서 다른 경쟁자들이 ‘잃어버린’ 교역 분량의 대부분을 차지했다. 글로벌 교환 시스템이라는 계서제 사회에서 가장 높은 자리를 차지한 게 네덜란드였다. 사실상 일극체제의 허브로서 세계 유일의 물자창고 역할을...
-
국가공인 경제이해력 검증시험 맛보기
밴드왜건 효과
[문제] 선거에서 당선이 유력한 후보자에게 유권자들의 지지가 쏠리는 현상이 나타났다고 할 때, 이 상황을 잘 설명하는 용어는? ① 스노브 효과 ② 피구 효과 ③ 디드로 효과 ④ 베블런 효과 ⑤ 밴드왜건 효과 [해설] 밴드왜건은 행렬을 선도하는 악대차다. 악대차가 연주하면서 지나가면 사람들이 모여들기 시작하고, 몰려가는 사람을 바라본 많은 사람이 무엇인가 있다고 생각하고 무작정 뒤따르면서 군중이 불어나는 현상을 비유한다. 특정 상품에 대한...
-
커버스토리
'잘하는 것 나눠하면 이득' 비교우위론…자유무역이 '윈윈 전략'임을 입증하죠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반대론자들은 “작은 나라인 한국이 큰 나라인 미국과 자유무역을 하면 미국의 속국이 된다”고 주장했습니다. 어떤 경제학자는 “한국과 미국의 자유무역을 ‘헤비급 권투선수(미국)와 경량급 권투선수(한국)가 싸우는 격”이라며 한·미 FTA를 반대했습니다. 반대론자들의 주장은 매우 그럴듯하게 들립니다. 그러나 영국 경제학자 데이비드 리카도(177...
-
윤명철의 한국 한국인 이야기
정치의 근본은 '백성의 유복한 생활'임을 안 세종…농업 기술개발에 힘쓰고 세금 공평하게 내게 했죠
세종은 전쟁을 치르면서 군사장비를 만들고, 무기를 개량했다. 1448년 신기전이 발명됐는데, 한 번에 15발씩 연속으로 100발을 발사할 수 있고 사거리가 1000m 이상인 신병기였다. 수레 등으로 운반이 가능한 조립식 대포(총통 완구)를 만들고 화포 주조와 화약 사용 방법, 규격 등을 그린 《총통등록》도 발간했다. 해전을 위해 일본인과 유구인의 도움을 받아 개선한 선박을 한강에서 시험운행했다. ‘충녕대군은 천성이 총민하고 학문에 ...
-
생글기자
난민만 300만명…우크라이나 하루 빨리 평화 되찾기를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지 한 달이 넘어가면서 전쟁의 참상도 더욱 끔찍해지고 있다. 멀리 떨어져 있는 우리가 피부로 느끼는 전쟁의 영향은 석유 가격이나 환율이 올랐다는 정도에 불과하다. 그러나 트위터 등 소셜미디어에서는 우크라이나 현지의 실제 상황을 보여주는 영상을 매일 접할 수 있다. 여기저기 널브러져 있는 시신과 피난민 행렬, 폭격에 폐허가 된 마을의 모습 등 장면 하나하나가 충격적이다. 미국과 유럽은 말로는 우크라이나를 돕겠다며 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