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커버스토리
세계 석학들이 권고하는 대한민국 저성장 해법, "정부 주도 성장 끝났다…기업가정신 깨워라"
주요 연사들의 말 말 말 “규제 개혁은 경제 성장의 중요 포인트다. 작은 정부 정책이 기업 생산과 가계 소비를 자극해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는다.” - 존 테일러 미국 스탠퍼드대 교수 - “한국의 경제 성장이 정체된 것은 ‘큰 정부’가 만들어낸 규제와 높은 세율 때문이다.” - 야론 브룩 미국 에인랜드연구소장 - “한국은 OECD 회원국 중 네 번째로 규제가 많다...
-
커버스토리
몽펠르랭소사이어티가 주창하는 경제적 자유란…작은 정부·규제 철폐·감세가 핵심
MPS는 자유주의 석학 하이에크가 주도 세계 대공황과 두 차례에 걸친 세계대전이 지나가고 그 상처가 채 아물지 않은 1947년 4월 어느날. 스위스 제네바 호숫가의 작은 시골마을 몽펠르랭에 10여개국에서 온 경제학자, 철학자들이 모였다. 오스트리아 경제학자 루트비히 폰 미제스를 비롯해 독일의 발터 오이켄, 미국 시카고대의 프랭크 나이트, 철학자 카를 포퍼, 젊은 두 학자 밀턴 프리드먼과 조지 스티글러도 참석했다. 몽펠르랭소사이어티의 첫 모임은...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유명세는 '타는' 게 아니라 '치르는' 거죠
' 유명세(有名稅) '는 '세상에 이름이 널리 알려져 있어 당하는 불편이나 곤욕'을 속되게 이르는 말이다. 즉 '유명하기 때문에 치르는 불편'을 말한다. 세금에 빗대 만든 조어다. ‘계절의 여왕’이라는 5월에는 전국적으로 축제가 많이 열린다. 튤립축제 철쭉축제 등 각종 봄꽃 축제를 비롯해 별빛축제 나비축제 모래축제 등 다양한 축제가 마련돼 상춘객을 맞이한다. 이런 축제를 소개...
-
테샛 공부합시다
국가공인 경제이해력 검증시험 TESAT 맛보기
[문제] 다음은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우리나라의 ‘이것’을 전망한 수치이다. 자본이나 노동 등 생산요소를 최대한 사용하면서 물가 상승을 유발하지 않고 달성할 수 있는 성장률을 뜻하는 ‘이것’은? ① 잠재성장률 ② 실질성장률 ③ 명목성장률 ④ 경상성장률 ⑤ 적정성장률 [해설] 잠재성장률은 한 나라의 경제가 보유하고 있는 자본, 노동력, 자원 등 모든 생산요소를 사용해서 물가상승을 유발하지 않으...
-
경제 기타
대전, '노란우체통'으로 문화융성 꾀한다
‘노란 우체통’은 생생한 현장 목소리를 듣고 문화재생 정책에 반영함으로써 원도심의 문제를 반드시 해결해 나가는 것을 목표로 진행하고 있다. 지난 2월 중순부터 대전광역시는 원도심 문화재생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한 일환으로 주요 문화예술공간에 노란우체통을 설치하기로 협의하고 이를 진행하기 시작하였다. 이를 통해 생생한 현장 목소리를 듣고 문화재생 정책에 반영함으로써 세세한 부분까지 놓치지 않고 개선해 나가 원도심의 문제를 ...
-
경제 기타
'화이트워싱' 논란은 우리에게 뭘 시사하나
화이트워싱이란 일종의 인종차별로, 백인이 아닌 캐릭터인데도 백색 인종 배우로 캐스팅하는 행태를 의미한다. 공각기공대, 마션, 스타트렉, 닥터 스트레인지의 공통점이 무엇일까? 그렇다면 뮬란은? 이 영화들은 모두 화이트워싱 논란 속에 있었던 영화들이다. 화이트워싱이란 일종의 인종차별로, 백인이 아닌 캐릭터인데도 백색 인종 배우로 캐스팅하는 행태를 의미한다. 이는 할리우드계의 고질적 논란거리다. 원래 아시아계 주인공인 공각기동대의 인물을 백인 배우...
-
경제 기타
최승노 박사의 시장경제 이야기 (3) 경쟁이란 무엇인가?
■ 체크 포인트 경쟁은 역설적으로 협력을 낳고 인간을 더 잘살게 한다. 자유로운 경쟁을 위해 자유로운 환경이 필요하다. 루이스 캐럴의 소설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에는 생김새가 우스꽝스러운 새가 등장한다. 억센 부리와 튼튼한 다리에 비해 볼품없으리만치 작은 날개는 마치 둥그스름한 몸뚱이에 살짝 얹힌 장식처럼 보이는 이 새의 이름은 도도. 현재 도도는 소설이나 영화 등에서만 볼 수 있지만, 한때는 지구상에 실재하는 동물이었다. 도도새는 왜 ...
-
경제 기타
대한민국의 교실에선 질문이 사라졌다
암기위주의 교육과정 탓에 질문할 필요가 없어진 것이다. 그저 교사가 주입하는 내용을 의심 없이 외우기만 하면 되기 때문이다. 최근 소셜미디어에서 2010년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서 버락 오바마 전 미국 대통령의 한국 기자들을 향한 갑작스러운 질문 제안에 수많은 한국 기자가 침묵을 지키다 중국 기자에게 질문 기회를 빼앗긴 영상이 화제가 된 적이 있다. 중진국 단계에 있는 대한민국은 왜 이런 결과를 낳게 된 것일까? 이런 결과를 낳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