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커버스토리

    댓글 조작 충격… 온라인 여론은 진짜 여론인가

    이른바 ‘드루킹 사태’로 불리는 댓글 조작 사건이 큰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원으로 확인된 파워블로거 ‘드루킹’(필명)이 동조 세력을 동원해 인터넷 포털사이드에 오른 기사에 달린 댓글에 집중적으로 ‘공감’을 클릭해 여론을 조작한 사실이 드러나고 있어서다. 특히 정부 핵심 인사 등까지 공모해 온라인 여론을 조작하려 했던 정황이 경찰에 잇달아 포착돼 충격을 주고 있다. 서...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갈래가 너무 많으면 길을 잃는다 - 열자 -

    ▶ 한자풀이 多 많을 다 岐 갈림길 기 亡 망할 망 羊 양 양 다기망양(多岐亡羊). 갈림길(岐)이 많아 양을 잃었다는 뜻이다. 배움의 길이 여러 갈래로 나뉘어 진리 찾기가 어렵다는 의미로, 가르침이 다양해 어느 것을 따라야 할지 헷갈린다는 비유로도 쓰인다. 출처는 《열자》로, 중국 전국시대 극단적 개인주의를 주창한 사상가 양자와 관련된다. 동시대를 산 묵자와 양자는 생각이 극으로 갈렸다. 묵자는 만물을 두루 사랑하라는 겸애(兼愛)를 설...

  • 경제 기타

    다산신도시 '실버 택배' 무엇이 문제인가

    ‘다산신도시 실버 택배’를 둘러싼 논란이 쉽게 사그라들지 않고 있다. 정부가 내놓은 선심성 행정에 대한 질타가 이어지고 있다. 사회 문제가 발생할 때마다 정부가 예산을 활용해 손쉽게 중재에 나서는 행태가 적절한지에 대한 비판이다. 다산신도시 택배 논란은 국가의 책임과 재정 투입의 범위가 어떠해야 하느냐에 대한 질문을 던져줬다. “실버 택배 비용은 주민들이 내야” 비판 다산신도시 택배 논란은 입주민들...

  • 커버스토리

    특정 세력이 포털 뉴스 찬반 댓글 조작하며 여론 왜곡

    인터넷 서비스와 스마트폰이 보편화되면서 뉴스도 온라인으로 접하는 시대가 됐다. 인터넷 뉴스를 제공하는 포털업체들은 각 뉴스에 대한 네티즌 의견을 보여주기 위해 기사에 댓글을 달 수 있는 서비스를 도입했다. 인터넷을 통한 뉴스 소비가 늘면서 댓글도 하나의 여론으로 자리를 잡게 됐다. 하지만 댓글이 특정 세력에 의해 조작되자 인터넷 여론이 왜곡될 수 있다는 우려가 높다. 2만2436개. 지난 18일 네이버 아이디 ‘sanc****&rs...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갑질문화?… 행태는 문화가 아니죠

    ' 갑질문화 '도 신중하게 써야 할 말이다. ' 갑질 '이란 단어는 아직 사전에 오르지 않았다. ' 갑 '은 차례나 등급을 매길 때 첫째를 이르는 말이다. 여기에 접미사 ' -질 '을 붙여 ' 갑질 '이란 말을 만들었다. 문화가 넘치는 시대다. 웬만한 말에 갖다 붙이면 다 ‘OO문화’가 된다. 문화는 한마디로 정의하기 어려운, 고도로...

  • 학습 길잡이 기타

    Fine의 여러 의미들

    fine 은 기본적으로 '좋은, 멋진, 훌륭한'이란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a fine view 는 '절경'이고, a fine character 는 '훌륭한 인물'이란 뜻입니다. One Fine Day One fine day, you’ll look at me And then you’ll know our love was, meant to be One fine ...

  • 경제 기타

    생글생글, 가족이 함께 읽어보세요

    한국경제신문이 만드는 생글생글(생각하기와 글쓰기)은 중·고교생들에게 논리력을 키워주고 경제원리를 바르게 이해시키는 ‘알찬 선생님’입니다. 생글생글에 게재되는 다양한 주제의 커버스토리, 문학과 철학, 국제뉴스, 상세한 대입 가이드 등은 사고와 논리를 키워줄 뿐더러 대입에도 매우 유용한 가이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생글생글은 부모님이 읽으셔도 유익한 내용이 많습니다. 생글생글은 전국 1300여 개 고등학교와 1...

  • 커버스토리

    네이버는 포털에 올린 뉴스에 댓글 유도하며 광고 유치

    네이버의 뉴스 서비스는 언론사에서 콘텐츠를 사들인 뒤 자체 웹페이지 안에서 보여주는 인링크(inlink) 방식이다. 포털 사용자가 다른 업체 사이트로 이탈하지 않게 묶어두는 효과가 있어 흔히 ‘가두리 어장’에 비유된다. 구글을 포함한 해외 포털은 이와 다르다. 뉴스 콘텐츠를 클릭하면 해당 언론사 사이트로 이동하는 아웃링크(outlink) 방식이다. 인링크·아웃링크 전략의 차이 네이버의 전략은 뉴스를 보러 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