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경제 기타
논리력 키워주고 알찬 대입 정보도 가득 생글생글, 가족이 함께 읽어보세요
한국경제신문이 만드는 생글생글(생각하기와 글쓰기)은 중·고교생들에게 논리력을 키워주고 경제원리를 바르게 이해시키는 ‘알찬 선생님’입니다. 생글생글에 게재되는 다양한 주제의 커버스토리, 문학과 철학, 국제뉴스, 상세한 대입 가이드 등은 사고와 논리를 키워줄 뿐더러 대입에도 매우 유용한 가이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생글생글은 부모님이 읽으셔도 유익한 내용이 많습니다. 생글생글은 전국 1300여 개 고등학교와 1...
-
5월은 가정의 달…꽃 한 송이 준비하셨나요?
5월은 가정의 달이다. 5일은 어린이날, 8일은 어버이날이다. 올해는 어린이날이 토요일이어서 월요일인 7일이 대체공휴일이 됐다. 문재인 대통령의 대선 공약인 ‘어버이날 법정 공휴일’ 지정은 올해는 무산됐다. 공약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공휴일이 너무 많다는 반응이 엇갈린다. 가정은 모든 것의 바탕이고 시작이다. 세상에서 가장 깊고 넓은 것은 부모의 사랑이다. 부모님 은혜에 감사하고, 어르신을 공경하는 마음은 스스로를 바로세...
-
테샛 공부합시다
국가공인 경제이해력 검증시험 TESAT 맛보기
문제. 자산의 50% 이상을 신용등급이 BB+ 이하인 투기등급 채권과 B+ 이하의 기업어음에 투자하는 펀드를 나타내는 용어로 옳은 것은? ① 공모펀드 ② 헤지펀드 ③ 뮤추얼펀드 ④ 타이거펀드 ⑤ 하이일드펀드 해설. 하이일드펀드란 자산의 50% 이상을 신용등급이 BB+ 이하인 투기등급 채권과 B+ 이하의 기업어음에 투자하는 펀드다. 수익률이 높은 대신 그만큼 위험도 커 원금을 날릴 수도 있다. 신용도가 낮은 정크본드에 투자하기에 &lsqu...
-
진로 길잡이 기타
MS승인, IC승인, key-in 방식으로 거래를 승인
여러분이 카드를 사용하면 휴대폰으로 결제금액과 함께 ‘거래가 승인되었다’는 메시지를 받는다. 어떻게 이렇게 실시간으로 결제가 진행될까? 거래승인 및 가맹점 대금 지급을 공부해보자. 거래승인이란? 카드회원이 국내외의 신용카드 가맹점에서 물품 및 서비스를 구매하려는 경우와 ATM이나 은행 창구에서 단기 카드대출(현금서비스)을 받으려는 경우, 발급 카드사나 거래승인 대행기관이 회원의 상태를 검증한 뒤 거래할 수 있도록 승인(...
-
경제 기타
북한의 발전전략
자본주의 서독이 공산주의 동독을 흡수해 통일 독일이 된 것은 1990년 10월이다. 통일 당시 서독은 통일 비용을 크게 걱정하지 않았다. 그도 그럴 것이 서독은 세계 최고 수준의 경제를 유지할 만큼 재정건전성이 우수했고, 유럽 국가들의 지원을 적극적으로 통일 비용으로 사용할 생각이었기 때문이다. 서독 국민이 실질적으로 부담해야 할 통일 비용은 거의 없으리라 생각했다. 통일 독일의 비용과 효과 당시 서독의 총리였던 헬무트 콜은 세금 증세가 없...
-
디지털 이코노미
공유경제도 규제 필요하지만 참여자들의 평판이 더 중요하죠
공유경제의 선두자인 에어비앤비와 우버는 상장회사가 아니다. 상장 없이도 꾸준히 기업 가치를 키워올 수 있었기 때문이다. 2017년 파이낸셜타임스의 조사는 이를 뒷받침한다. 7500만달러 이상의 투자를 받은 미국과 유럽 지역의 스타트업(신생 벤처기업)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이들의 총 가치가 4900억달러에 달한다. 우리 돈 약 549조원에 달하는 금액이다. 이중 우버와 에어비앤비는 각각 BMW와 힐튼그룹의 기업 가치를 넘어섰다. 투자 유치가 끊...
-
경제 기타
'생글 논술·구술 모의고사'는 대입 수시 '도우미'
고교 수업에서 토론과 글쓰기 과정이 연계되고 성신여대와 한국기술교육대가 논술전형을 새로 도입하면서 한경 생글생글 논술·구술 모의고사가 고교생과 학부모들에게 관심을 끌고 있다. 2019학년 논술과 면접전형을 준비 중인 고교 3학년생뿐 아니라 글쓰기 역량을 미리 키우려는 1~2학년생의 문의도 많다. 생글 논술·구술 모의고사는 고교 1학년생의 경우 요약, 비교분석, 비판, 자료 해석 등 글쓰기에 필요한 기본적인 요소를 중심...
-
윤명철의 한국 한국인 이야기
(40) 칸트의 철학(하) - 칸트의 윤리설
우리는 거짓말하는 것이 옳지 않다는 것을 직관적으로 알고 있다. 그런데 거짓말이 왜 나쁜지에 대해 누군가 물으면 알고 있는 것 같긴 한데 설명하기가 쉽지 않아 당황스러울 때가 있다. 왜 인간은 도덕적인 삶을 살아야 하는가? 그런데 칸트에 의하면 의외로 그 대답이 간단하다. 한마디로 우리가 도덕적이어야 하는 이유는 인간답게 살기 위해서라는 것이다. 칸트의 ‘의무론’은 바로 이 문제에 대한 탐구다. 그렇다면 칸트는 어떻게 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