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금융 상식 퀴즈
9월 7일 (674)
1. 다음 중 집을 살 때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결정짓는 요인이 아닌 것은? ① LTV ② DSR ③ DTI ④ PER 2. 최근 사의를 표명한 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경제정책을 이룬 ‘세 개의 화살’로 보기 어려운 것은 ? ① 재정지출 확대 ② 양적완화 ③ 구조개혁 추진 ④ 보호무역 3. 요즘 부동산 기사에서 자주 볼 수 있는 단어다. 향후 가격이 더 오를 것이라 보고 부랴부랴 구입하는 ‘공황 구...
-
생글기자
2019 으뜸 생글기자 수상을 축하합니다
한국경제신문 경제교육연구소는 2019 생글기자 가운데 뛰어난 활동을 펼친 학생기자를 ‘2019 으뜸 생글기자’로 선정했습니다. 생글 지면에 게재된 기사 횟수를 기준으로 선정했습니다. 수상자에게는 한국경제신문 사장 명의의 상장과 소정의 상품권을 우편으로 보내드립니다.
-
생글기자
나를 믿을 수 있는 마음을 전해준 '대나무 이야기'
몇 주 전 온라인 수업 체육시간, 선생님께서 ‘대나무 이야기’에 관한 영상을 보여주셨다. 어떤 대나무는 아무리 물과 거름을 주고 잘 키워도 5년이나 땅 밖으로 고개를 내밀지 않는다고 한다. 하지만 한 번 땅으로 솟아오르면, 그 대나무는 5주 만에 20m가 넘을 정도로 빠른 성장을 이루어낸다. 정말 열심히 노력했는데도 결과가 노력만큼 보상해주지는 않고, 쏟은 시간과 노력에 비해 처참해서 좌절한 경험도 누구나 한 번은 있을 것...
-
생글기자
우리사회의 화두 '공정함'의 올바른 이해와 적용
‘공정’. 우리는 살면서 공정한 거래, 공정한 심판 등 ‘공정’라는 단어를 많이 사용한다. 하지만 1+1=2처럼 명확하게 뜻이 정해져 있는 것이 아니어서 사람들이 사용할 때 혼동하기도 한다. 공정에 대한 해석은 여러 가지로 나뉜다. 어떤 사람은 공정이 울퉁불퉁한 땅을 평평하게 하는 것. 즉, 사람들을 평등하게 만들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 공정이라고 하고, 또 다른 사람은 울퉁불퉁한 땅에 무언가를 추가하게...
-
생글기자
서로를 배려하는 말 한마디
“젊은 꼰대 납셨네.” 학교에서 선배에게 자문을 구하던 후배들과 선배를 보며 다른 선배가 농담처럼 한 말이었다. 그 말을 듣고 조언하던 선배는 “꼰대 같았나?”라며 잘못한 것이 없음에도 자책하는 모습을 보였다. 10대 청소년들 사이에서 유행하는 은어인 ‘꼰대’. 누구나 한 번쯤은 들어본 적 있을 것이다. 처음에는 단순히 보수적이고, 권위적인 사고를 가진 어른이나 선생님을 비하하는...
-
경제·금융 상식 퀴즈
7월 20일 (673)
1. 국민연금이 도입된 1988년 가입한 사람의 ‘이것’은 70%에 달했다. 연금 수령액이 은퇴 전 월급의 몇 %인지를 뜻하는 이것은? ①지급준비율 ②최저한세율 ③코픽스 ④소득대체율 2. ‘이것’은 은행 주택담보대출 금리의 기준이 된다. 국내 주요 은행들이 자금을 조달하는 금리를 가중평균해 구하는 이것은? ①지급준비율 ②최저한세율 ③코픽스 ④소득대체율 3. 은행이 거둬들인 예금 중 중앙...
-
스도쿠 여행
스도쿠 여행 (553)
-
생글기자
2020년 생글생글 학생기자 합격을 축하합니다
2020년 생글생글 학생기자에 합격한 제16기 고교 생글기자와 제9기 중학생 생글기자 여러분을 축하합니다. 생글기자는 자신의 학교와 지역 소식뿐 아니라 국내외 경제, 사회, 문화, 이슈 등 다양한 분야의 글을 써 생글생글에 게재할 수 있습니다. 생각하는 힘과 글쓰기 실력을 키울 수 있는 더없이 좋은 기회이자 경험이 될 것입니다. 올해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예전과 달리 한자리에 모여 소양교육을 하는 오리엔테이션을 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