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시사·교양 기타

    우주 개발 어디까지 왔나

    초·중생용 경제·논술신문 ‘주니어 생글생글’은 이번 주 커버스토리 주제로 우주를 다뤘습니다. 우주를 향한 구소련과 미국의 최초 대결부터 우주 개발의 주체가 국가에서 민간으로 넘어온 뉴 스페이스의 흐름까지…. 오는 15일 누리호 2차 발사를 앞둔 대한민국의 우주 개발사도 톺아봅니다. 이 밖에 성공한 기업가이자 투자가로 평가받는 손정의 전 소프트뱅크그룹 회장의 이야기를 실었습니다.

  • 대학 생글이 통신

    6월 평가원 모의고사 후 어떻게 대응할까

    6월 모의고사가 며칠 남지 않았습니다. 첫 번째 평가원 시험인 만큼 긴장도 많이 될 텐데요. 오늘은 6월 모의고사 칠 때, 그리고 끝나고 나서 어떤 마음가짐을 해야 하는지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수능 전까지 두 번의 평가원 시험이 있습니다. 평가원 스타일의 시험을 접할 기회는 많지 않기 때문에 진짜 수능이라고 생각하고 6월 모의고사에 응해야 합니다. 저는 6월 모의고사를 치르기 전날 쉬는 시간마다 볼 문제나 노트를 정리했습니다. 국어...

  • 숫자로 읽는 세상

    전기차 전환의 역설…23만명 일자리 사라질 판

    국내 상장 자동차 부품사의 지난 1분기 영업이익이 약 25% 곤두박질친 것으로 나타났다. 완성차회사와 달리 부품사는 원재료값 상승분을 납품가에 반영하지 못한 채 생산량 감소의 직격탄을 맞았다. 완성차 생산량 감소가 고착화하고 전기차 전환까지 겹치면서 약 23만 명의 고용을 담당하는 자동차 부품업계가 고사 위기에 처했다는 우려가 나온다. 한국경제신문이 자동차 부품 전문회사 중 1분기 실적을 공시한 83곳을 전수 조사한 결과 이들 기업의 영업이익...

  • 브랜드 마케팅…베블런 효과?

    소수를 위한 프레스티지 마케팅은 재미있습니다. 사람들의 심리를 활용하는 것이죠. 명품 브랜드들은 은연중에 베블런 효과에 기댑니다. 미국 사회학자 소스타인 베블런이 《유한계급론》에서 지적한 것인데요, 사람들은 과시욕과 허영심으로 비싼 것을 소비한다고 지적했어요. 쌀 때는 사지 않다가 가격표에 동그라미 하나가 더 붙으면 사고 싶어지는 심리죠. 비슷한 말로 스놉 효과라는 게 있어요. 스놉은 잘난 체하는 것을 말하는데, 많은 사람이 사는 물건을 구매하...

  • 과학과 놀자

    빙하 시추해보면 생성 당시 대기환경 알 수 있어

    사진은 1972년 12월 7일 아폴로 17호에서 찍은 지구의 모습이다. 푸른 구슬(The Blue Marble)이라 불리는 이 사진을 보면 남극이 하얀 얼음으로 덮여 있다. 북극과 남극은 혹독한 추위로 사람이 접근하기 힘든 곳이었다. 지금은 극지연구소가 설치돼 극지방의 생물, 해양, 지질, 빙하 및 우주를 연구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1988년 남극세종과학기지를 세웠고, 그후 2004년 북극다산과학기지, 2014년 남극장보고기지를 열어 운영하고...

  • 신철수 쌤의 국어 지문 읽기

    문장을 표로, 표를 문장으로 바꾸는 국어 능력

    13. <보기>는 윗글을 이해하기 위한 학습지의 일부이다. 윗글을 바탕으로 <보기>에 대해 보인 반응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 보 기 > OO 기업은 작년에 A 생산 방식으로 제품을 생산해 개당 10,000원에 100만 개를 판매하였고, 영업변동비는 개당 9,000원을 유지하였다. … B 생산 방식으로 전환할 경우 100만 개의 제품을 판매할 때 영업변동비는 개당 2,000원이 감소하여 7,0...

  • 생글기자

    기온 높아지는 여름, 더욱 중요해지는 식품 안전

    얼마 전 경기 화성에 있는 한 냉동 핫도그 사업장이 유통기한이 지난 재료를 사용하다가 적발됐다. 이곳에선 유통기한이 5개월 가까이 지난 재료가 발견됐다. 경기 양주의 한 도넛 제조업체에서는 유통기한이 6개월 넘게 지난 재료를 보관하고 있었다. 경기도 특별사법경찰관들이 지난 4월 과자 빵 등 어린이 기호식품 제조·가공업체 360곳을 점검한 결과 54곳이 식품위생법을 위반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한다. 점검 대상 업체의 15%가 식품 위...

  • 생글기자

    피해자 관점에서 봐야 할 성범죄자 신상 공개

    지난달 공개된 넷플릭스 다큐멘터리 ‘사이버 지옥: N번방을 무너뜨려라’는 2020년 드러난 디지털 성범죄 n번방 사건을 소재로 하고 있다. 사건 당시 주요 피의자의 신상이 공개됐고, n번방 가입자 전원의 신상을 공개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았다. 그렇다면 성범죄자 신상 공개는 필요한 일일까. 국민의 알 권리를 충족한다는 측면에서 성범죄자의 신상은 공개할 필요가 있다. 성범죄는 재범률이 높다. 따라서 범죄자의 신상을 공개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