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대학 생글이 통신
'자기만의 생기부 주제'가 수시 합격 지름길
저는 이번 입시에서 수시 지역균형전형으로 서울대 농경제사회학부에 합격했습니다. 수시와 정시를 모두 염두에 두었지만, 안정성이 높은 수시에 중점을 둔 게 적중했어요. 수시 합격을 위해선 3년 내내 높은 내신 등급과 풍부한 생기부를 만드는 것이 최우선입니다. 그런데 내신 이야기는 너무도 많이 들었을 것 같아 생기부 위주로 꿀팁을 공유해보려 합니다. 먼저 1학년부터 ‘자기만의 생기부 주제’를 정해놓아야 합니다. 학생부 종합에...
-
학습 길잡이 기타
어렵고 힘든 수학 왜 공부해야 하나요
많은 학생이 생활과 관계없는 수학 때문에 힘들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수학은 과학, 정보, 경제, 사회 등 여러 분야에서 도입한 개념에 대해 체계를 잡아주는 학문이다. 벡터, 함수, 방정식, 실수, 허수 등 모든 수학적 개념은 실생활에서 필요한 개념을 학문적으로 완성한 것이다. 수학은 실생활과 동떨어진 과목이 아니라 실생활에 필요한 부분을 채워주는 학문이다. 우리 삶에서 가장 먼저 수학을 접하는 것은 개수를 세는 것이다. 그다음으로는 덧셈, 뺄...
-
경제 기타
겨울방학 알차게 보내기
제95호 주니어 생글생글은 시간 관리에 대해 다뤘습니다. 시간은 누구에게나 똑같이 하루 24시간이지만, 시간을 어떻게 쓰느냐에 따라 결과는 같지 않죠. 목표와 계획을 세운 겨울방학과 무작정 시간을 흘려버리는 겨울방학을 재미있는 일러스트로 비교했습니다. 내 꿈은 기업가에서는 어려서부터 산과 등산을 좋아해서 글로벌 아웃도어 용품 업체를 설립한 더글러스 톰킨스 노스페이스 창업주의 삶을 담았습니다.
-
경제 기타
금리는 '돈의 가격'…올리면 정말 물가·집값 잡힐까
금리 혹은 이자의 역사는 생각보다 오래됐다. 기원전 4000년경 수메르문명에 이미 이자에 대한 개념이 있었다. 기원전 18세기 고대 바빌로니아의 함무라비법전에도 곡물과 은을 빌려줄 때 얼마의 이자를 받으라는 내용이 있었다. 성경에도 이자에 대한 얘기가 나온다. 경기를 살릴까, 물가를 잡을까 금리는 돈을 빌린 데 대한 대가다. 물건을 살 때 돈을 내듯이 돈을 빌려 쓸 때도 일정한 값을 치른다. 물건에 가격이 있는 것처럼 돈에는 금리가 있다. ...
-
숫자로 읽는 세상
윤 대통령 "금투세 폐지 추진…증시 규제 혁파"
윤석열 대통령이 내년 도입할 예정이던 금융투자소득세 폐지를 추진하겠다고 지난 2일 밝혔다. “과도한 부담의 과세가 선량한 투자자에게 피해를 주고 왜곡한다면 시장 원리에 맞게 개선해야 한다”는 이유에서다. 윤 대통령은 또 “대한민국에는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세계적인 기업이 많이 있지만 주식시장은 매우 저평가돼 있다”라며 “임기 중에 자본시장 규제를 혁파해 ‘코리아 디스카운트&rsqu...
-
사진으로 보는 세상
2024학년도 대학 정시모집 원서 접수
전국 193개 대학은 지난 3일부터 6일까지 2024학년도 정시모집 원서 접수를 진행했다. 정시모집 인원은 지난해 12월 13일 기준 7만2798명으로, 전년도(7만5744명)보다 2946명 감소했다. 전문대학은 오는 15일까지 원서 접수를 진행한다. 서울 광진구 건국대학교에서 입학팀 직원이 정시모집 원서 접수 관련 안내문을 게시하고 있다. 뉴스1
-
국가공인 경제이해력 검증시험 맛보기
외부효과
[문제] 독감에 걸린 사람은 주변 사람들에게 독감을 옮기지만, 주변 사람들에게 이에 대한 대가를 지불하지 않는다. 다음 중 이와 관련한 사례를 고르면? ① 전기자동차의 등장으로 관련 산업이 급성장했다. ② 영화관이 손님이 없는 아침에 조조할인을 제공한다. ③ 국제유가가 하락해도 국내 휘발유 가격은 변함없다. ④ 성수기의 해수욕장 근처 숙소의 숙박비는 평소보다 비싸다. ⑤ 어떤 공장에서 강 상류에 오염물질을 배출하여 강이 오염되었다. ...
-
스도쿠 여행
스도쿠 여행 (8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