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경제 기타
지속가능 경영 위해 기업의 사회적 책임 강조하죠
주주자본주의나 이해관계자 자본주의는 기업의 사회적 역할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개념입니다. 기업의 역할을 규정하는 두 개의 방법론임에도 수능에서 다룬 적은 없죠. 비문학 지문 등으로 언제든 출제가 가능할뿐더러 논술에서도 꼭 알아야 할 개념이죠. 먼저 문제를 내볼게요. 기업은 누구의 것인가요? 기업을 만든 사람 것이라고 한다면 어느 정도 맞습니다. 한 창업자가 회사를 만들었어요. 자신의 돈 100%로 세운 회사죠. 그런데 회사가 크면서 기계도 들...
-
교양 기타
오랑캐 땅에 간 그녀…봄이 와도 봄 같지 않네 [고두현의 아침 시편]
소군원(昭君怨) 동방규 오랑캐 땅이라 화초가 없어 봄이 와도 봄 같지가 않구나 저절로 옷 허리띠 느슨해진 건 몸매를 가꾸기 위함이 아니라네. * 동방규(東方) : 중국 당나라 때 시인. ‘소군원(昭君怨)’은 당나라 시인 동방규(東方)가 쓴 시입니다. 그의 생몰 연대는 정확하지 않고, 측천무후 때 좌사(左史, 사관)를 지낸 사실만 전해옵니다. 그러나 이 시 덕분에 후세에 길이 남는 시인이 됐지요. 시의 주인공은...
-
숫자로 읽는 세상
기업 출산지원금에 세제 혜택 준다
윤석열 대통령이 “기업의 자발적인 출산 지원을 활성화하기 위해 세제 혜택 등 다양한 지원 방안을 즉각 강구하라”고 지난 13일 지시했다. 최근 아이를 낳은 임직원에게 1억 원의 출산장려금을 지급한 부영그룹(사진) 같은 기업이 세 부담을 떠안지 않도록 관련 제도를 정비하라는 취지에서다. 윤 대통령은 최근 대규모 출산지원금 지급 등 저출산 극복을 위한 기업 차원의 노력이 확산하는 데 대해 “상당히 고무적&rdquo...
-
대입전략
지난해 수시 미충원 급증, 정시 경쟁률은 치솟아, 올해 4196명 선발…수능·내신 균형 잡힌 학습을
지난해 교대 및 초등교육과 입시는 혼란의 연속이었다. 수시에선 초유의 미충원 사태를 빚은 데 반해 정시에선 경쟁률이 상승하는 등 모순적인 모습이 연출됐다. 교대 기피 현상이 연일 회자되더니 어느 순간 지원자가 몰렸다. 합격선은 오를까 떨어질까, 수험생들은 고민이 깊어질 수밖에 없다. 2024학년도 교대 및 초등교육과 입시에서 벌어진 돌발 상황을 분석하고, 2025학년도 선발 규모를 알아본다. 교대는 서울교대(서울), 경인교대(인천), 공주교대...
-
경제·금융 상식 퀴즈
2월 19일 (833)
1. 다음 중 미국 증시의 ‘매그니피센트 세븐(M7)’에 해당하지 않는 종목은? ① 애플 ② 테슬라 ③ 엔비디아 ④ 넷플릭스 2. 정부가 수출입 쿼터제, 기술 표준 강화, 위생 검역 등을 활용해 자국에 유리한 무역 환경을 만드는 조치는? ① 관세장벽 ② 비관세장벽 ③ 외부경제 ④ 지하경제 3. 불법 거래가 이뤄지는 시장을 OO마켓, 미국 증시가 대폭락한 1987년 10월 19일을 OO먼데이라고 한다. OO에 공통...
-
생글기자
경제성장 도울 주택 공급책 필요하다
국민이 원하는 주택을 원하는 시기에 원하는 장소에서 공급해 부동산 시장을 정상화하겠다는 정부의 주택공급 확대 방안이 지난달 발표됐다. 나 또한 미래의 주택 수요자이기에 관심 있게 내용을 봤다. 가장 관심을 끄는 부분은 사람들의 선호도가 높은 도심에 새 주택 공급을 늘리는 재건축 및 재개발 규제 완화책이다. 그중에서도 준공 후 30년이 지난 노후 아파트는 안전진단 전에 재건축 사업을 일단 시작할 수 있도록 하는 패스트트랙(fast track)의...
-
이근미 작가의 BOOK STORY
관용과 용서가 소년범을 수렁에서 건진다
대한민국의 소년법에서는 만 19세 미만 범죄자를 ‘소년범’이라 부른다. 소년이 범죄를 저지른 경우 처벌보다 교정을 위해 애쓰지만 죄가 중하면 소년교도소에 수용되고 전과기록이 남는다. 소년원은 소년법상의 보호처분을 받은 범죄소년과 촉법소년(10~14세)을 교정·교육하는 곳으로 전과는 남지 않는다. 우리 사회에 ‘소년들에게는 아무리 기회를 많이 주어도 괜찮다’는 생각을 가진 판사와 아이들을 ...
-
시사 이슈 찬반토론
AI 딥페이크 가짜뉴스 파문…규제법 필요할까
가짜 뉴스는 어느 시대, 어느 사회에도 존재한다고 봐야 한다. 문제는 대응 수준이다. 웃으며 넘기기도 하고 법률로 엄한 대응도 한다. 사회 구성원들이 이성과 합리, 인식의 수준을 높여 잘 대처하는 게 중요하다. 처벌법만 잔뜩 만든다고 가짜 뉴스가 없어진다는 보장도 없다. 궁극적으로 인간의 사회에서 거짓말이나 선동이 없어질 것이냐의 문제다. 인공지능(AI)를 활용한 ‘딥페이크(deepfake)’ 콘텐츠가 나오면서 또 규제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