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교양 기타

    (56)외국문학 번역

    ■ 체크 포인트 ▷일본어 ‘나와바리’는 ‘지리적 구역’과 달라 ▷‘그리스인 조르바’의 원래 제목은 뭘까? “번역은 반역이다(Traduttore, traditore).” 이탈리아 경구(警句)다. ‘아무리 노력해도 완벽한 번역은 불가능하다’는 선언이다. ‘정보’는 전달할 수 있더라도 원문 고유의 어투나 뉘앙스를 전...

  • 경제 기타

    시장 독점이 나쁜데도 사라지지 않는 이유는?

    특정 상품이나 서비스를 시장에 제공하는 공급자가 오직 하나만 존재하는 경우를 ‘독점(Monopoly)’이라고 한다. 즉, 독점시장은 공급자 간 경쟁이 나타나지 않는 시장으로, 이로 인해 생산량의 조절이 가능해 독점시장의 산출물은 경쟁시장보다 상대적으로 적고 가격 또한 비싼 경우가 많다. 각국이 독점의 폐해를 규제하고 공정한 거래질서를 확립하기 위해 독점금지법을 운용하고 있는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

  • (36) 4차 산업혁명이 몰고 올 변화와 대응

    4차 산업혁명이 가져올 변화를 한마디로 요약하면 ‘산업구조의 고도화’라고 할 수 있다 국내 경제의 저성장 기류는 갈수록 뚜렷해지고 국제 경제는 자국 이기주의 열풍이 거센 가운데 소위 4차 산업혁명 물결이 새로운 경제질서를 예고하고 있다. 4차 산업혁명은 기존 기술 패러다임이 융합하면서 나타날 변화여서 예측이 어렵기는 하지만 결국 모든 산업을 완전히 뒤바꿀 전망이다. 4차 산업혁명이 가져올 변화를 한마디로 요약하면 &ls...

  • 교양 기타

    (58) 베아트릭스 포터 '피터 래빗 이야기'

    맥그레거씨 정원에 간 주인공 세계인들의 사랑을 꾸준히 받는 작품 중에는 동물을 소재로 한 이야기가 많다. 《피터 래빗 이야기》도 24개 언어로 번역 출간되어 1억 부 이상 판매된 고전이다. 동물 이야기는 어린이와 어른들에게 고루 사랑받는다는 공통점이 있다. 그림 동화인 《피터 래빗 이야기》는 어른들이 읽는 세계문학 컬렉션에 당당히 끼어 있는 명작이다. 《피터 래빗 이야기》는 모두 23권으로 구성된 시리즈인데 작은 시골농장, 숲속 등을 배경으...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먼지는 터는 게 아니라 떠는 거죠"

    ‘ 먼지떨이식 수사 ’에서 ‘-식’은 ‘방식’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다. 그러니 도구(사물)인 ‘먼지떨이’에 붙는 것은 어색하다. 행위(동작)를 나타내는 ‘먼지떨기’에 붙을 때 자연스럽다. 정리하면 ‘먼지털이식 수사’는 다 틀린 말이다. ‘ 먼지떨기식 수사 ’라고 해야 바른말이다. 언론에서...

  • 학습 길잡이 기타

    경첩·가금·복마전…우리말을 알아야 영어도 잘한다

    hinge 는 ‘경첩’이란 뜻인데, 경첩은 ‘문짝과 문틀을 연결하는 철물’로, ‘ hinge on ’은 ‘~에 달려 있다’는 뜻이에요. hinge가 없으면 문이 떨어질 수밖에 없으니, 접촉전치사 on과 함께 쓰여 ‘~에 따라 결정하다’라는 뜻이 된 것이죠.^^ 수업을 하다 보면 학생들이 한자어로 된 단어 뜻을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를...

  • 진학 길잡이 기타

    (4) 연세대 가는 길

    연세대학교를 상징하는 두 키워드는 ‘진리’와 ‘자유’다. 특유의 자유로운 학풍 덕에 1885년 개교 이래 한국을 대표하는 사립대학으로 자리매김했다. 올해 창학 132주년을 맞이한 연세대의 화두는 ‘4차 산업혁명’이다. 4차 산업혁명에 발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인재를 찾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김응빈 연세대 입학처장을 연세대에서 직접 만났다. ▷연세대가 추구하는 인재상은 무엇입니까....

  • 진학 길잡이 기타

    연세대 가는 길 가이드

    연세대는 글로벌을 학교의 모토로 삼고 있다. 2018학년도 입시도 마찬가지다. 지난해 4월에 발표한 연세대 2018학년도 입학전형계획(안)을 보면 확인할 수 있다. 수험생이 유의해야 할 주요 특징을 살펴보면, △ 학생부 교과전형 폐지 △ 수능최저없이 면접형 학생부종합전형 신설 △ 특기자 축소 및 모집단위별 강화 △ 논술시험일자, 수능이후로 변경 △ 정시에서 국제계열 학종 선발 신설이다. 1. 학생부교과 폐지에도 교과점수는 중요 올해 입시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