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강정에 쓰다(題烏江亭)
두목
승패는 병가도 기약할 수 없는 법
수치 견디고 치욕 참는 것이 진정한 남아.
강동의 청년 중에는 호걸이 많아
권토중래했다면 결과를 알 수 없었거늘.
* 두목(杜牧, 803~852) : 당나라 시인
당나라 시인 두목의 ‘오강정에 쓰다(題烏江亭, 제오강정)’ 마지막 구절입니다. 이 시에서 ‘권토중래(捲土重來)’라는 고사성어가 나왔지요.31세에 스스로 마감한 풍운의 삶오강(烏江)은 항우(項羽)가 사면초가(四面楚歌)의 수세에 몰렸다가 가까스로 도망친 뒤 목을 베어 자결한 장소입니다. 항우가 유방(劉邦)과의 싸움에서 패해 이곳까지 쫓겼을 때, 포위망을 뚫고 그와 함께 살아남은 부하는 고작 28명뿐이었습니다. 뒤에서는 유방의 대군이 추격해 오고 있었죠.
그 상황에서 오강의 정장(지금의 면장)이 “어서 배에 올라 강동(江東)으로 가서 재기를 꿈꾸시라”고 재촉했습니다. 하지만 그는 “8년 전 강동의 8000여 자제와 함께 떠난 내가 지금 혼자 무슨 면목으로 강을 건너 그 부모들을 볼 수 있단 말인가”라고 한탄하며 31세의 파란만장한 삶을 마감했습니다. 기원전 202년의 일이었지요.
항우가 죽은 지 1000년 뒤에 이곳을 찾은 당나라 시인 두목(杜牧)은 여관에 짐을 풀고 그를 생각하며 깊은 상념에 잠겼습니다. 단순하고 격한 성격에 산을 뽑고도 남을 힘을 지닌 장사, 사면초가 속에서 사랑하는 여인 우미인(虞美人)과 헤어질 때 보여준 인간적인 면모의 풍운아…….
“천하를 휘어잡던 영웅이 한때의 부끄러움을 참고 재기를 꿈꿨다면, 그곳엔 훌륭한 인재가 많으므로 권토중래할 기회가 있었을 텐데, 그는 왜 그렇게 하지 않고 젊은 나이에 생을 등졌단 말인가.”‘흙을 말아올릴 형세로 다시 온다’두목은 이 시를 쓰면서 굵고 짧은 항우의 비극적인 삶을 무척 안타까워했다고 합니다. ‘흙을 말아 일으킬 형세로 다시 온다’는 뜻의 권토중래는 이후 수많은 사람의 인용을 통해 지금까지 널리 쓰이는 고사성어가 됐지요.
권토(捲土)는 군마가 달릴 때 흙먼지를 일으키는 것을 말하고, 중래(重來)는 ‘다시 온다’는 뜻입니다. 말이 달릴 때 일어나는 흙먼지를 멀리서 보면 마치 땅(土)을 말아 올리는(捲) 것처럼 보이지요. 한번 실패했다가 고삐를 되돌려 달려오는 것이 곧 권토중래이니, 아픔을 딛고 새로운 각오로 도전하는 재기의 뜻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입니다.
만일 항우가 그때의 권유를 받아들였더라면 천하의 형세는 어떻게 변했을까요. 공상의 나래를 펴는 시인의 표정이 눈에 보일 듯합니다. 두목은 역사적인 사건을 다룬 시를 많이 썼는데, 적벽대전을 소재로 한 시 ‘적벽(赤壁)’도 그의 작품입니다.
“모래에 묻힌 부러진 창, 쇠끝이 삭지도 않았구나/ 나는 진흙을 씻고 갈아 앞 시대의 것임을 확인한다./ 동풍이 주랑을 편들지 않았더라면/ 봄 깊은 동작대에 두 교씨를 가두었으리라.”
적벽은 후베이성의 양쯔강 변에 있는 작은 산 이름입니다. 후한 말 손권과 유비의 연합군이 동풍을 활용한 화공으로 조조의 대군을 쳐부순 적벽대전의 현장이지요.
모래 속에 묻힌 당시의 창 조각이 아직 다 녹슬지 않았다고 했지만, 시인은 그것이 오래전 전투의 유물이라는 것을 알고 감회에 젖습니다. 만약 그때 동풍이 불지 않았다면 조조는 또 어떻게 됐을까요.
역사적 사실을 소재로 삼으면서도 실제 일어나지 않은 사건까지 곁들이는 그의 상상력이 시의 밀도감을 한층 더 높여줍니다. 이런 시를 읽을 때마다 제 상상력이 얼마나 빈약한지 돌아보게 되고, 창의적 사고가 부족한 것이 새삼 부끄러워집니다.√ 음미해보세요 권토(捲土)는 군마가 달릴 때 흙먼지를 일으키는 것을 말하고, 중래(重來)는 ‘다시 온다’는 뜻입니다. 말이 달릴 때 일어나는 흙먼지를 멀리서 보면 마치 땅(土)을 말아 올리는(捲) 것처럼 보이지요. 한번 실패했다가 고삐를 되돌려 달려오는 것이 곧 권토중래이니, 아픔을 딛고 새로운 각오로 도전하는 재기의 뜻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입니다. 만일 항우가 그때의 권유를 받아들였더라면 천하의 형세는 어떻게 변했을까요. 공상의 나래를 펴는 시인의 표정이 눈에 보일 듯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