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네마노믹스
(5) 컨테이젼 (上)

개인의 '합리적 기대'가 모여 결국 재앙을 만들어 냈다
바이러스 습격 따른 사재기 광풍 그린 '코로나 예언작'
새로운 바이러스가 나타났다. 아시아에서 첫 환자가 나온 뒤 미국과 일본, 영국 등 세계에서 감염자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난다. 박쥐에서 유래된 이 바이러스에 사람이 감염되면 기침 등 호흡기 증상을 겪고 열이 38도를 넘는다. 대면 접촉은 물론 버스 손잡이 등 간접 접촉으로도 감염될 수 있다. 치사율은 높다. 하지만 치료제는 없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을 떠올렸는가. 놀랍도록 비슷하지만 코로나19가 아니다. 이 바이러스는 스티븐 소더버그 감독의 2011년작 ‘컨테이젼’에 등장하는 ‘MEV-1’이다. 9년 전 개봉한 이 영화가 요즘 ‘코로나19 예언작’으로 불리며 다시 주목받는 이유다.

컨테이젼은 신종 바이러스의 세계적 대유행(팬데믹) 상황을 다룬 영화다. 홍콩 출장을 갔다가 최초 감염자가 된 베스 엠호프(귀네스 팰트로 분)는 감염된 지 4일 만에 사망한다. 이어 그의 어린 아들과 아들의 학교 보건교사가 죽고, 공항으로 그를 마중 갔던 직원도 확진되며 바이러스는 전 세계로 퍼져나간다.

‘합리적 기대’로 사재기 나타나지만…

‘컨테이젼’의 MEV-1 바이러스는 코로나19보다 훨씬 치명적이다. MEV-1은 최초 감염자가 발생한 지 133일 만에 2600만 명 이상을 죽음으로 몰고 간다. 치사율은 20%다. 네 명 중 한 명이 사망한다. 미국 존스홉킨스대에 따르면 7일 기준 세계 코로나19 사망자는 26만3785명이다. 치사율은 국가별로 차이가 나지만 전 세계의 코로나19 치사율은 7.02%로 추정된다. 이탈리아 등 치사율이 높은 곳은 10%대에 육박한다. 영화 ‘컨테이젼’보다는 낮다.

그러나 영화 속에서 미지의 감염병을 맞닥뜨린 인간의 공포와 이로 인한 사회의 혼란은 코로나19가 확산된 지금의 현실과 매우 비슷하다. 중국 정부가 코로나19의 진원지로 추정되는 도시 우한을 봉쇄한 것처럼 ‘컨테이젼’에서는 미국 정부가 시카고 등 주요 도시를 봉쇄한다. 탈출이 불가능한 도시에서 사회 질서는 무너진다. 이 과정에서 ‘정보 불균형’ 문제도 생긴다. 질병통제예방센터 소속 에리스 치버 박사(로런스 피시번 분)의 부인 오브리(사나 라단 분)는 도시 봉쇄 계획을 먼저 듣고 건전지와 통조림 등 생필품 사재기에 나선다. 사재기는 급속도로 확산돼 마트에서 물건이 자취를 감추고, 군이 배급하는 전투식량을 두고 몸싸움이 벌어진다.

재난 영화의 단골 소재인 사재기는 미래에 재화의 가격이 오를 것으로 예상될 때 미리 사놓는 현상이다. 사람들이 사재기하는 이유를 경제학에서는 ‘합리적 기대이론’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이 이론으로 노벨 경제학상을 받은 로버트 루카스 미국 시카고대 교수는 경제주체들이 사용 가능한 모든 정보를 이용해 경제 상황을 합리적으로 예측한다고 봤다. 사재기의 경우 사람들이 재화의 수요가 크게 늘거나 공급이 감소할 것이라는 정보가 있을 때 곧 가격이 오를 것이라고 예측해 미리 물건을 사게 된다.

바이러스 습격 따른 사재기 광풍 그린 '코로나 예언작'
사재기를 수요·공급 곡선으로 표현하면 <그래프>처럼 우하향하는 수요 곡선이 오른쪽으로 이동하는 형태를 띤다. 개인들이 재화의 현재 가격이 아니라 미래 가격이라는 외부 요인을 고려해 현재의 수요를 늘리기 때문이다. 코로나19 확진자가 급증하는 유럽과 미국에서 사재기는 더 이상 영화 속 일이 아니다. 중국에서 제지 원료가 동났다는 소문이 퍼지며 휴지를 사기 위해 마트마다 수십 명씩 줄을 서는 ‘휴지 대란’이 벌어졌다. 식료품이 다 팔려 텅 빈 마트에서 고개를 떨군 노인의 사진이 인터넷에 퍼지기도 했다.

개인에게 이득, 사회에 손실인 ‘구성의 모순’

현실에서 사재기는 비난받을 때가 많다. 하지만 사재기를 비합리적인 소비라고 단정할 수는 없다. 개인으로서는 한 제품의 가격이 오를 것으로 예상되면 미리 재화를 사두는 것이 합리적인 결정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사재기는 경제학자 케인스가 주장하는 ‘구성의 모순’의 대표적 사례이기도 하다. 구성의 모순은 개인에게 합리적인 선택이 사회 전체적으로는 합리적이지 않은 결과를 초래하는 현상을 뜻한다. 케인스는 ‘절약의 역설’로 구성의 모순을 설명한다. 개인이 저축을 많이 하면 재산이 늘어난다. 그러나 사회 구성원이 모두 저축만 하면 국가 경제가 침체된다. 소비가 줄어 물건이 팔리지 않고, 재고가 쌓인 기업이 생산을 줄이면 결국 기업에서 일하는 개인의 소득 감소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컨테이젼’에서는 구성의 모순이 극단적으로 나타난다. 사재기의 영향으로 생필품을 구하기 어려워지자 선진국이라는 미국에서조차 복면을 쓰지 않은 강도들이 마트와 가정집에 침입한다. 그 과정에서 살인과 방화가 벌어진다. 베스의 남편 토머스 엠호프(맷 데이먼 분)도 음식을 구하기 위해 이웃이 살던 집을 몰래 뒤진다.

한국에서 코로나19 사태로 ‘마스크 대란’이 벌어지기도 했다. 코로나19 확진자가 본격적으로 늘어나기 전인 지난 1월 말 마스크 가격은 장당 1000원을 밑돌았다. 하지만 코로나19 확산 우려로 마스크 사재기가 급증하며 공적 마스크가 유통되기 직전인 2월 말 마스크 가격은 장당 3000~4000원 수준으로 올랐다.

1월 말에 마스크를 사재기한 사람들은 이득을 봤을 것이다. 하지만 마스크 가격이 급등한 탓에 의료진과 간병인 등 마스크가 꼭 필요한데도 구하지 못한 이들이 생겼다. 가격이 더 오를 것이라는 불안이 퍼져 마스크 사재기가 심해지는 악순환도 발생했다.(다음회에 계속)

노유정 한국경제신문 기자 yjroh@hankyung.com

NIE 포인트

① 공급의 감소나 가격의 인상이 우려될 때 사재기를 하는 것은 합리적 선택일까.
② 개인의 합리적 선택이 사회 전체적으로는 무질서와 혼란을 초래할 수 있을까.
③ 코로나19 사태에도 한국에서 사재기가 발생하지 않은 것은 합리적 기대이론으로 설명이 가능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