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정도면 됐겠지’라고 말하면서 우리는 하던 공부나 일을 멈추고 결과를 확인하려 해요.
하지만 대부분의 결과는 그 정도로는 안 된다고 나와요. 그렇다면 우리는 왜 이 말을 자주 쓸까요?
그건 바로 빈틈없이 준비해서가 아니라, 힘들어 일을 빨리 끝내고 싶은 마음이 컸기 때문이에요. 그러니 여러분도 이제 어떤 일을 정말 잘하고 싶거든 ‘이 정도면 됐겠지’라는 말을 하지 마세요.
그리고 ‘아직 조금 부족한 것 같아’라고 말하세요.
▶ 한마디 속 한자 - 堅:(견) 굳다, 단단하다.
▷ 견과(堅果):단단한 껍데기와 깍정이에 싸여 한 개의 씨만이 들어 있는 나무 열매를 통틀어 이르는 말. 도토리, 밤, 은행, 호두 등이 있다.
▷ 견여금석(堅如金石):서로 맺은 언약이나 맹세가 금석과 같이 단단함을 이르는 말.
허시봉 < 송내고 교사 hmhyuk@hanmail.net >
![[재미있는 수학] 통계로 콜레라의 원인 밝혀낸 존 스노](https://img.hankyung.com/photo/202511/AA.42376068.3.jpg)
![[재미있는 수학] 동전 5번 연속 앞면 나왔다면 6번째는 뒷면?](https://img.hankyung.com/photo/202511/AA.42308944.3.jpg)
![[재미있는 수학] '원뿔곡선=2차곡선'…수학언어로 짜여진 우주 비밀](https://img.hankyung.com/photo/202510/01.42235231.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