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웨덴 룬트大 슈미츠 교수팀
"4억7000만년 전 고생대 오르도비스기에 접어들며
단 몇 백 만년 사이에 지구에 급격하게
생물체가 증가한 것은 운석 충돌과 관련있다" 영화 '딥 임팩트'(Deep Impact)는 운석 충돌로 인해 지금껏 쌓아올린 문명이 멸망할 위기에 처한 인류의 절박한 상황을 생생하게 그린 작품이다.
그동안 지구인에게 쏟아지는 운석은 파괴와 멸망,그야말로 '대재앙(catastroph)'의 상징이었다.
실제로 우리는 6500만년 전 운석의 충돌로 인해 공룡이 멸종했다고 배웠다.
우리에게 그런 일이 다시 일어나지 말라는 법은 없다.
따라서 운석은 비난의 대상이고 한 세대의 종말을 불러오는 불행의 메신저였다.
그런데 꼭 그렇지만은 않은 모양이다.
지구의 생태계가 '재앙에 가까운' 운석 충돌로 인해 풍부해질 수 있었다는 주장이 최근 제기됐기 때문이다.
지난 17일 스페이스닷컴(www.space.com)에 따르면 스웨덴의 룬트(Lund)대학교의 지질학자 버거 슈미츠(Birger Schmitz) 교수팀은 4억7000만년 전 고생대 오르도비스기에 접어들며 단 몇 백 만년 사이에 지구에 급격하게 생물체가 증가한 것은 운석 충돌과 관련이 깊다고 발표했다.
(참고=선캄브리아대와 고생대·중생대·신생대 등은 화석의 변화에 따라 구분된다.
박테리아·하등식물이 많았던 선캄브리아대와 달리 고생대부터는 삼엽충을 비롯해 다양한 갑각류 어류 양치식물 등이 등장했고 이는 중생대의 공룡,신생대의 포유류 등장으로 이어졌다.
)네이처 지오사이언스저널(16일자)에 게재된 이 논문에 따르면 10년 이상 관련 자료를 수집·분석해온 슈미츠 교수는 "모두의 예측과 완전히 어긋나는 이 같은 결과를 인정하기 어렵겠지만,운석 충돌과 생물종 다양성 증가 사이에는 분명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주장했다.
연구진은 지구의 고생대 두번째 단계인 오르도비스기 바로 직전 우주 소행성대(소행성의 띠·Asteroid Belt)의 커다란 두 덩어리가 부딪혔고,이로 인해 태양계 전체에 미국 뉴욕 맨해튼섬 크기의 돌덩이들이 퍼져나갔으며 이 중 일부 덩이들이 지구에 비가 내리듯 쏟아졌다고 설명했다.
슈미츠 교수는 "지금 우리가 보는 운석의 20%가량은 이 때 생성된 것"이라며 "이들은 독특한 형태의 방사성 크로뮴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운석이 얼마나 많이,얼마나 자주 지구에 떨어졌는지를 분석할 수 있다"고 전했다.
연구진에 따르면 오르도비스기의 생물종이 이전의 3~4배로 급증한 그 기간 동안 운석의 양도 100배 이상 증가했다.
슈미츠 교수는 "두 사태가 같은 시기에 일어났다는 것은 무시할 수 없는 관계가 있음을 의미한다"며 "아마도 운석 충돌로 인해 생물체들이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틈새와 피난처가 만들어졌기 때문일 것"이라고 말했다.
그렇지만 그는 "정확히 어떤 관계인지를 밝히자면 자료 수집과 분석에 최소 15년 이상이 더 필요하다"며 "우리는 지금 두 사태 간에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파악하는 데 있어 초기단계에 와 있을 뿐"이라고 덧붙였다.
슈미츠 교수는 "생태계를 지나치게 가혹한 환경으로 만든다면 생태계는 결국 파괴되지만,지구 유기생물체에게는 이것이 새 환경에 적응하고 새롭게 생겨난 '틈새'를 메울 수 있도록(다양하게 진화할 수 있도록) 하는 계기가 됐을 것"이라고 과정을 설명했다.
그는 이를 '기브 앤 테이크'(give & take)의 관계나 정강이를 찼을 때 다리가 들리는 반사작용 관계와 비슷하다고 묘사했다.
결국 큰 충격이 큰 변화를 불러온다는 뜻이다.
골이 깊으면 산이 높다는 것이기도 하고,어찌보면 새옹지마(塞翁之馬)론과도 비슷하게 들린다.
만화 '드래곤볼'의 손오공도 그렇다.
사이언인에서 초사이어인으로 변신하는 게 어디 그냥 되던가.
다 험한 길을 걷다보니 업그레이드가 되는 것이다.
실제 슈미츠 교수는 이 같은 철학적인 발견을 학생들에게도 늘 설파한다고 한다.
"저는 늘 학생들에게 '우리가 당신을 심하게 밀어붙이지(push) 않는다면 당신은 한 단계 진화(evolve)할 수 없다'고 말하죠."
이상은 한국경제신문 기자 selee@hankyung.com
-----------------------------------------------------------------
지구를 없애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①지구를 태양쪽으로 이동시킨다
②화성같은 행성으로 지구를 '뻥'때린다
⊙ 지구상에 생물종은 얼마나 될까?
생물종은 지구 환경의 변화에 따라 수차례에 걸쳐 급감과 급증을 반복했다.
그렇다면 '현재' 지구상에는 얼마나 많은 생물이 있을까.
사실 정확한 수는 아무도 모른다.
미국국립과학재단은 대략 최소 500만에서 최대 1억종가량이 존재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솔직히 예측 범위가 너무 넓은 거 아닌가?) 이들 중 과학에 의해 종이 확인된 것은 약 200만종에 불과하다.
전세계 3000여명의 생물학자들은 2001년부터 현존하는 모든 생물종 목록(통합분류정보시스템(ITIS) 생물목록)을 만들고 있는데 지난 4월에 드디어 100만종을 넘겼다고 발표했다.
이들은 2011년까지 분류 작업을 계속할 예정이다.
⊙ 지구를 파괴하는 방법 10가지
라이브사이언스닷컴은 '지구를 파괴하는 방법 10가지'라는 주제로 재미있는 리스트(http;//www.livescience.com/technology/destroy_earth_mp.html)를 작성했다.
지구를 '대충' 파괴하는 법부터 '완전히' 없애는 법까지 단계별로 만든 리스트다.
1단계로 지구를 없애는 방법은 '적절한 지구 이동 장치'를 이용해(?) 태양을 향해 지구를 이동시키는 것이다(녹아내려 원소들이 증발한다).
두번째는 다소 추상적인데,무엇이든 재료만 있으면 이를 받아들여 동일한 형태로 복제해내는 폰 노이만 기계를 한없이 가동시켜 지구의 구성 요소들을 기계가 '먹어치우기(그리고 복제품을 만들기)'를 기다린다(절반은 남겠지).
세번째는 무엇이든 '충분히 단단한' 걸로(화성 정도가 적합하다) 지구를 뻥 때려서 산산조각 내는 것이다(가루가 남는다).
블랙홀에 먹히게 할 수도 있다(큰 것에 먹히면 5단계,현미경 수준의 작은 것에 먹히면 8단계).
그러나 지구를 완전히,말 그대로 존재 자체를 '無'로 돌리는 방법(10단계)은? 없다.
단지 지구의 모든 원자가 갑자기,동시에 사라진다고 가정할 수밖에 없다.
이 같은 순간이 '우연히' 오기를 기다리는 수밖에.
"4억7000만년 전 고생대 오르도비스기에 접어들며
단 몇 백 만년 사이에 지구에 급격하게
생물체가 증가한 것은 운석 충돌과 관련있다" 영화 '딥 임팩트'(Deep Impact)는 운석 충돌로 인해 지금껏 쌓아올린 문명이 멸망할 위기에 처한 인류의 절박한 상황을 생생하게 그린 작품이다.
그동안 지구인에게 쏟아지는 운석은 파괴와 멸망,그야말로 '대재앙(catastroph)'의 상징이었다.
실제로 우리는 6500만년 전 운석의 충돌로 인해 공룡이 멸종했다고 배웠다.
우리에게 그런 일이 다시 일어나지 말라는 법은 없다.
따라서 운석은 비난의 대상이고 한 세대의 종말을 불러오는 불행의 메신저였다.
그런데 꼭 그렇지만은 않은 모양이다.
지구의 생태계가 '재앙에 가까운' 운석 충돌로 인해 풍부해질 수 있었다는 주장이 최근 제기됐기 때문이다.
지난 17일 스페이스닷컴(www.space.com)에 따르면 스웨덴의 룬트(Lund)대학교의 지질학자 버거 슈미츠(Birger Schmitz) 교수팀은 4억7000만년 전 고생대 오르도비스기에 접어들며 단 몇 백 만년 사이에 지구에 급격하게 생물체가 증가한 것은 운석 충돌과 관련이 깊다고 발표했다.
(참고=선캄브리아대와 고생대·중생대·신생대 등은 화석의 변화에 따라 구분된다.
박테리아·하등식물이 많았던 선캄브리아대와 달리 고생대부터는 삼엽충을 비롯해 다양한 갑각류 어류 양치식물 등이 등장했고 이는 중생대의 공룡,신생대의 포유류 등장으로 이어졌다.
)네이처 지오사이언스저널(16일자)에 게재된 이 논문에 따르면 10년 이상 관련 자료를 수집·분석해온 슈미츠 교수는 "모두의 예측과 완전히 어긋나는 이 같은 결과를 인정하기 어렵겠지만,운석 충돌과 생물종 다양성 증가 사이에는 분명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주장했다.
연구진은 지구의 고생대 두번째 단계인 오르도비스기 바로 직전 우주 소행성대(소행성의 띠·Asteroid Belt)의 커다란 두 덩어리가 부딪혔고,이로 인해 태양계 전체에 미국 뉴욕 맨해튼섬 크기의 돌덩이들이 퍼져나갔으며 이 중 일부 덩이들이 지구에 비가 내리듯 쏟아졌다고 설명했다.
슈미츠 교수는 "지금 우리가 보는 운석의 20%가량은 이 때 생성된 것"이라며 "이들은 독특한 형태의 방사성 크로뮴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운석이 얼마나 많이,얼마나 자주 지구에 떨어졌는지를 분석할 수 있다"고 전했다.
연구진에 따르면 오르도비스기의 생물종이 이전의 3~4배로 급증한 그 기간 동안 운석의 양도 100배 이상 증가했다.
슈미츠 교수는 "두 사태가 같은 시기에 일어났다는 것은 무시할 수 없는 관계가 있음을 의미한다"며 "아마도 운석 충돌로 인해 생물체들이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틈새와 피난처가 만들어졌기 때문일 것"이라고 말했다.
그렇지만 그는 "정확히 어떤 관계인지를 밝히자면 자료 수집과 분석에 최소 15년 이상이 더 필요하다"며 "우리는 지금 두 사태 간에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파악하는 데 있어 초기단계에 와 있을 뿐"이라고 덧붙였다.
슈미츠 교수는 "생태계를 지나치게 가혹한 환경으로 만든다면 생태계는 결국 파괴되지만,지구 유기생물체에게는 이것이 새 환경에 적응하고 새롭게 생겨난 '틈새'를 메울 수 있도록(다양하게 진화할 수 있도록) 하는 계기가 됐을 것"이라고 과정을 설명했다.
그는 이를 '기브 앤 테이크'(give & take)의 관계나 정강이를 찼을 때 다리가 들리는 반사작용 관계와 비슷하다고 묘사했다.
결국 큰 충격이 큰 변화를 불러온다는 뜻이다.
골이 깊으면 산이 높다는 것이기도 하고,어찌보면 새옹지마(塞翁之馬)론과도 비슷하게 들린다.
만화 '드래곤볼'의 손오공도 그렇다.
사이언인에서 초사이어인으로 변신하는 게 어디 그냥 되던가.
다 험한 길을 걷다보니 업그레이드가 되는 것이다.
실제 슈미츠 교수는 이 같은 철학적인 발견을 학생들에게도 늘 설파한다고 한다.
"저는 늘 학생들에게 '우리가 당신을 심하게 밀어붙이지(push) 않는다면 당신은 한 단계 진화(evolve)할 수 없다'고 말하죠."
이상은 한국경제신문 기자 selee@hankyung.com
-----------------------------------------------------------------
지구를 없애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①지구를 태양쪽으로 이동시킨다
②화성같은 행성으로 지구를 '뻥'때린다
⊙ 지구상에 생물종은 얼마나 될까?
생물종은 지구 환경의 변화에 따라 수차례에 걸쳐 급감과 급증을 반복했다.
그렇다면 '현재' 지구상에는 얼마나 많은 생물이 있을까.
사실 정확한 수는 아무도 모른다.
미국국립과학재단은 대략 최소 500만에서 최대 1억종가량이 존재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솔직히 예측 범위가 너무 넓은 거 아닌가?) 이들 중 과학에 의해 종이 확인된 것은 약 200만종에 불과하다.
전세계 3000여명의 생물학자들은 2001년부터 현존하는 모든 생물종 목록(통합분류정보시스템(ITIS) 생물목록)을 만들고 있는데 지난 4월에 드디어 100만종을 넘겼다고 발표했다.
이들은 2011년까지 분류 작업을 계속할 예정이다.
⊙ 지구를 파괴하는 방법 10가지
라이브사이언스닷컴은 '지구를 파괴하는 방법 10가지'라는 주제로 재미있는 리스트(http;//www.livescience.com/technology/destroy_earth_mp.html)를 작성했다.
지구를 '대충' 파괴하는 법부터 '완전히' 없애는 법까지 단계별로 만든 리스트다.
1단계로 지구를 없애는 방법은 '적절한 지구 이동 장치'를 이용해(?) 태양을 향해 지구를 이동시키는 것이다(녹아내려 원소들이 증발한다).
두번째는 다소 추상적인데,무엇이든 재료만 있으면 이를 받아들여 동일한 형태로 복제해내는 폰 노이만 기계를 한없이 가동시켜 지구의 구성 요소들을 기계가 '먹어치우기(그리고 복제품을 만들기)'를 기다린다(절반은 남겠지).
세번째는 무엇이든 '충분히 단단한' 걸로(화성 정도가 적합하다) 지구를 뻥 때려서 산산조각 내는 것이다(가루가 남는다).
블랙홀에 먹히게 할 수도 있다(큰 것에 먹히면 5단계,현미경 수준의 작은 것에 먹히면 8단계).
그러나 지구를 완전히,말 그대로 존재 자체를 '無'로 돌리는 방법(10단계)은? 없다.
단지 지구의 모든 원자가 갑자기,동시에 사라진다고 가정할 수밖에 없다.
이 같은 순간이 '우연히' 오기를 기다리는 수밖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