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학을 맞아 생글 친구들은 하루하루를 어떻게 보내고 있나요? 아마도 알찬 시간으로 만들기 위해 오늘도 최선을 다하고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이번 호부터 세 차례에 걸쳐 여러분에게 생글생글i(www.sgsgi.com)의 동영상 강좌를 상세히 소개하는 코너를 마련했습니다.
방학 동안 틈틈이 생글생글i의 다양한 강좌를 듣다 보면 실생활과 밀접한 시사경제 및 논술 공부에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생글생글이 갖고 있는 장점을 생글생글i 회원 모두가 마음껏 누릴 수 있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생글 친구들 중에서도 밸런타인 데이(Valentine's Day)에 좋아하는 남학생에게 초콜릿을 주며 마음을 전해본 경험이 있는 여학생들이 많을 텐데요,초콜릿과 함께 장미꽃이라도 한 송이 같이 선물할라 치면 비용이 만만치가 않습니다.
달콤한 초콜릿 가격은 그대로인데 장미꽃은 평소의 1.5배 이상으로 가격이 오르기 때문이지요.
대목을 맞은 상인들의 상술이려니 생각하면 크게 잘못된 것은 아니지만,경제학 용어로 그런 현상은 두 제품의 '공급탄력성' 차이 때문에 나타난다고 할 수 있습니다.
딱딱한 용어가 나오니 재미가 없나요?
자,그럼 우리가 흔히 말하는 "땡전 한 푼 없다"에서 나오는 '땡전'의 유래를 아시나요? 한국경제신문의 안재석 기자가 진행하는 동영상 강좌 '제4강:돈과 금융' 강의를 들으면 답을 알 수 있는데,여러분께는 미리 알려드리죠.
조선시대 말 대원군이 경복궁을 다시 지으면서 모자란 돈을 충당하기 위해 찍어낸 '당백전'이라는 화폐가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을 것입니다.
당백전은 그 당시 대표적인 화폐였던 상평통보의 100배나 되는 가치를 지닌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었습니다.
소위 '일당백'이라는 뜻이지요.
그러나 당백전은 필요 이상으로 너무 많이 발행됐습니다.
그래서 가치가 크게 떨어지게 됐고 나중에는 아무도 거들떠보지 않는 화폐가 됐습니다.
당백전은 그 후 '당전'으로 축약돼 불리다가 나중엔 '땡전'이라는 말로 통용되었다고 합니다.
"땡전 한 푼 없다"는 말은 그래서 거의 가치가 없는 당백전 한 닢도 없다는 뜻이니 정말 돈이 하나도 없다는 얘기가 되는 것이죠.이와 같이 시중에 화폐가 너무 많이 풀리면 화폐가치가 폭락하게 되고 물가상승을 유발하는데 말하자면 '땡전'은 '인플레이션'의 사촌쯤 된다고 할 수 있을 것 같네요.
이 밖에도 여러분들이 학교 경제 수업시간에 배운 내용은 실생활에서 나타난 현상들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습니다.
경제를 배우다 보면 사회현상을 이해하는 데도 도움이 될 것입니다.
경제는 어려운 것이라는 생각을 갖고 있었나요?그렇다면 차병석,안재석 두 명의 베테랑 한국경제신문 경제부 기자가 쉽고 재미있게 설명하는 5가지 강좌를 듣고 마음을 돌려보기 바랍니다.
게다가 강의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더라도 평소 경제와 관련된 궁금증이 있었는데 물어볼 곳이 없어서 답답했다면 이번 기회에 생글생글i에 질문을 올려 확 풀어버릴 수도 있을 것입니다.
이번 호부터 세 차례에 걸쳐 여러분에게 생글생글i(www.sgsgi.com)의 동영상 강좌를 상세히 소개하는 코너를 마련했습니다.
방학 동안 틈틈이 생글생글i의 다양한 강좌를 듣다 보면 실생활과 밀접한 시사경제 및 논술 공부에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생글생글이 갖고 있는 장점을 생글생글i 회원 모두가 마음껏 누릴 수 있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생글 친구들 중에서도 밸런타인 데이(Valentine's Day)에 좋아하는 남학생에게 초콜릿을 주며 마음을 전해본 경험이 있는 여학생들이 많을 텐데요,초콜릿과 함께 장미꽃이라도 한 송이 같이 선물할라 치면 비용이 만만치가 않습니다.
달콤한 초콜릿 가격은 그대로인데 장미꽃은 평소의 1.5배 이상으로 가격이 오르기 때문이지요.
대목을 맞은 상인들의 상술이려니 생각하면 크게 잘못된 것은 아니지만,경제학 용어로 그런 현상은 두 제품의 '공급탄력성' 차이 때문에 나타난다고 할 수 있습니다.
딱딱한 용어가 나오니 재미가 없나요?
자,그럼 우리가 흔히 말하는 "땡전 한 푼 없다"에서 나오는 '땡전'의 유래를 아시나요? 한국경제신문의 안재석 기자가 진행하는 동영상 강좌 '제4강:돈과 금융' 강의를 들으면 답을 알 수 있는데,여러분께는 미리 알려드리죠.
조선시대 말 대원군이 경복궁을 다시 지으면서 모자란 돈을 충당하기 위해 찍어낸 '당백전'이라는 화폐가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을 것입니다.
당백전은 그 당시 대표적인 화폐였던 상평통보의 100배나 되는 가치를 지닌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었습니다.
소위 '일당백'이라는 뜻이지요.
그러나 당백전은 필요 이상으로 너무 많이 발행됐습니다.
그래서 가치가 크게 떨어지게 됐고 나중에는 아무도 거들떠보지 않는 화폐가 됐습니다.
당백전은 그 후 '당전'으로 축약돼 불리다가 나중엔 '땡전'이라는 말로 통용되었다고 합니다.
"땡전 한 푼 없다"는 말은 그래서 거의 가치가 없는 당백전 한 닢도 없다는 뜻이니 정말 돈이 하나도 없다는 얘기가 되는 것이죠.이와 같이 시중에 화폐가 너무 많이 풀리면 화폐가치가 폭락하게 되고 물가상승을 유발하는데 말하자면 '땡전'은 '인플레이션'의 사촌쯤 된다고 할 수 있을 것 같네요.
이 밖에도 여러분들이 학교 경제 수업시간에 배운 내용은 실생활에서 나타난 현상들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습니다.
경제를 배우다 보면 사회현상을 이해하는 데도 도움이 될 것입니다.
경제는 어려운 것이라는 생각을 갖고 있었나요?그렇다면 차병석,안재석 두 명의 베테랑 한국경제신문 경제부 기자가 쉽고 재미있게 설명하는 5가지 강좌를 듣고 마음을 돌려보기 바랍니다.
게다가 강의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더라도 평소 경제와 관련된 궁금증이 있었는데 물어볼 곳이 없어서 답답했다면 이번 기회에 생글생글i에 질문을 올려 확 풀어버릴 수도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