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 우리 조상들은 제비가 처마 안쪽으로 집을 지으면 그해에 큰 장마가 질 것으로 생각하고 미리 대비를 했다고 한다.
매년 여름철이면 어김없이 찾아왔다 가는 장마는 우리나라의 대표적 기상 현상 중 하나다.
장마는 가뭄을 해갈해주고 농사에 필요한 물을 공급해주는 고마운 역할을 하지만 때로는 엄청난 재앙을 불러오는 두려운 존재이기도 하다.
장맛비가 단시간에 집중적으로 내릴 경우 막대한 피해를 남길 수 있는 것이다.
최근 우리나라를 휩쓸고 지나간 장마는 이런 의미에서 일종의 자연재해였다.
장마는 여름철에 오랫동안 비가 내리거나 흐린 날씨가 지속되는 기상 현상을 말한다.
보통 6월 하순부터 시작해 7월 하순께에 끝난다.
장마 기간은 계속해서 비가 내리는 독특한 시기라 '제5의 계절'이라고도 불린다.
장마라는 용어는 순우리말로 중국과 일본에서는 '매우'(梅雨)라고 일컫는다.
매우는 매화나무 열매인 매실이 익어갈 무렵에 내리는 비라는 뜻이다.
○오호츠크해 기단과 북태평양 기단
장마는 우리나라 근처에 있는 따뜻한 공기와 차가운 공기의 만남 때문에 생긴다.
우리나라 주위에는 오호츠크해 기단,시베리아 기단,양쯔강 기단,북태평양 기단,적도 기단 등의 커다란 공기 덩어리들이 있다.
이 가운데 초여름쯤 우리나라에 강한 영향을 미치는 기단이 바로 북동쪽의 오호츠크해 기단과 남동쪽의 북태평양 기단이다.
고온다습한 북태평양 기단은 겨울철에 하와이까지 물러났다 여름이 되면 우리나라로 세력을 넓혀 6월 말에 우리나라 남쪽 해상으로 다가온다.
한편으로 멀리 북쪽의 오호츠크해 방면에서는 얼음이 녹으면서 해양에 생성된 냉습한 오호츠크해 기단이 동해 쪽으로 뻗어나오기 시작한다.
한 쪽은 차고 한 쪽은 더운 이 두 기단이 만나면 그 사이에 뚜렷한 경계선이 만들어진다.
아울러 서쪽으로 뻗은 북태평양 기단에서 불어 올라오는 남서 기류와 대륙 위쪽에서 불어오는 북서 기류 사이에도 중간 수렴대가 형성된다.
이 경계선과 수렴대가 바로 '장마전선'이다.
위성 사진으로 보면 이 경계선을 따라 동서 방향으로 띠 모양의 구름이 길게 늘어서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된 장마전선은 이동하지 않고 머무르는 성질을 갖고 있다.
그리고 이 전선을 따라 저기압이 서에서 동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날씨는 6월 말부터 8월 초까지 대개 흐리다.
○남북 진동
장마전선은 정체 상태에서 조금씩 움직이며 많은 비를 쏟아낸다.
북태평양 기단이 강해지면 장마전선이 북상하면서 폭우가 내린다.
반면 오호츠크해 기단의 힘으로 장마전선이 남하할 때는 이슬비가 내리면서 기온도 다소 떨어진다.
장마전선은 두 기단의 힘겨루기에 따라 불규칙적으로 남북으로 올라갔다 내려갔다 하는데,이것을 '남북 진동'이라고 한다.
6월 하순이면 장마전선은 일본 열도에 걸쳐져 있고 7월 중순이면 한반도의 중부 지방까지 올라온다.
이때가 되면 오호츠크해 고기압의 세력이 약화하기 때문에 장마전선의 위력도 점차 무뎌지기 시작한다.
그 결과 장마전선은 계속 북쪽으로 밀려 올라가고 7월 하순에는 한반도 북쪽 끝까지 올라가 결국 소멸하고 만다.
장마전선을 기준으로 각 지역의 날씨는 판이하게 다르다.
장마전선의 남쪽에 위치한 지역은 한여름 날씨를 보이고 장마전선의 북쪽에 위치한 지역은 흐린 날씨를 나타낸다.
이때 두 기단의 세력에 따라 장마전선이 일시적으로 남북으로 움직이면 장마기간 중에도 가끔 맑은 날씨가 나타나기도 하지만 오래 가지는 않는다.
장마 기간에는 집중 호우가 내릴 경우가 있다.
보통 하루의 강우량이 100mm를 초과하면 집중 호우라고 한다.
집중 호우가 한계를 넘으면 일시에 불어난 물로 인해 수해가 발생하기도 한다.
장원락 한국경제신문 과학기술부 기자 wrjang@hankyung.com
< 우리나라 강수량 70% 6~9월에 집중 >
우리나라는 원래 습한 기후대에 속해 있어 비가 많이 내리는 편이다.
대개 강수량은 남쪽 지역이 많고 북쪽으로 갈수록 줄어든다.
연간 강수량을 보면 남해안 일대와 제주도,울릉도,한강 중·상류 등 바람을 받는 지역이 많다.
반대로 낙동강 중·상류나 서해연안 섬 지방,대동강 하류,개마고원 등 바람을 피할 수 있거나 낮은 평지인 지역은 강수량이 적다.
계절에 따라 강수량의 차이도 크다.
연간 강수량의 70%가 6∼9월에 집중되고 특히 7월 강수량이 전체의 28%를 차지한다.
여름철의 비는 대개 한꺼번에 내리는 집중 호우 형태다.
장마는 여름철 가장 중요한 기상 현상이지만 장마를 거치지 않은 채 곧바로 삼복 더위로 넘어가는 해도 있다.
또 장마전선이 형성돼 있긴 하지만 제대로 비가 내리지 않는 '마른 장마'도 있다.
때에 따라서는 장마가 끝나고 1주일 이상 지난 후에 다시 장마전선이 남쪽으로 되돌아오는 현상도 나타난다.
겨울철에는 비보다 눈이 많다.
눈은 특히 지형의 영향을 많이 받는 편으로,울릉도가 우리나라 제1의 다설(多雪) 지역이다.
내륙에서는 태백산맥과 소백산맥의 산간지방에 많은 눈이 내린다.
매년 여름철이면 어김없이 찾아왔다 가는 장마는 우리나라의 대표적 기상 현상 중 하나다.
장마는 가뭄을 해갈해주고 농사에 필요한 물을 공급해주는 고마운 역할을 하지만 때로는 엄청난 재앙을 불러오는 두려운 존재이기도 하다.
장맛비가 단시간에 집중적으로 내릴 경우 막대한 피해를 남길 수 있는 것이다.
최근 우리나라를 휩쓸고 지나간 장마는 이런 의미에서 일종의 자연재해였다.
장마는 여름철에 오랫동안 비가 내리거나 흐린 날씨가 지속되는 기상 현상을 말한다.
보통 6월 하순부터 시작해 7월 하순께에 끝난다.
장마 기간은 계속해서 비가 내리는 독특한 시기라 '제5의 계절'이라고도 불린다.
장마라는 용어는 순우리말로 중국과 일본에서는 '매우'(梅雨)라고 일컫는다.
매우는 매화나무 열매인 매실이 익어갈 무렵에 내리는 비라는 뜻이다.
○오호츠크해 기단과 북태평양 기단
장마는 우리나라 근처에 있는 따뜻한 공기와 차가운 공기의 만남 때문에 생긴다.
우리나라 주위에는 오호츠크해 기단,시베리아 기단,양쯔강 기단,북태평양 기단,적도 기단 등의 커다란 공기 덩어리들이 있다.
이 가운데 초여름쯤 우리나라에 강한 영향을 미치는 기단이 바로 북동쪽의 오호츠크해 기단과 남동쪽의 북태평양 기단이다.
고온다습한 북태평양 기단은 겨울철에 하와이까지 물러났다 여름이 되면 우리나라로 세력을 넓혀 6월 말에 우리나라 남쪽 해상으로 다가온다.
한편으로 멀리 북쪽의 오호츠크해 방면에서는 얼음이 녹으면서 해양에 생성된 냉습한 오호츠크해 기단이 동해 쪽으로 뻗어나오기 시작한다.
한 쪽은 차고 한 쪽은 더운 이 두 기단이 만나면 그 사이에 뚜렷한 경계선이 만들어진다.
아울러 서쪽으로 뻗은 북태평양 기단에서 불어 올라오는 남서 기류와 대륙 위쪽에서 불어오는 북서 기류 사이에도 중간 수렴대가 형성된다.
이 경계선과 수렴대가 바로 '장마전선'이다.
위성 사진으로 보면 이 경계선을 따라 동서 방향으로 띠 모양의 구름이 길게 늘어서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된 장마전선은 이동하지 않고 머무르는 성질을 갖고 있다.
그리고 이 전선을 따라 저기압이 서에서 동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날씨는 6월 말부터 8월 초까지 대개 흐리다.
○남북 진동
장마전선은 정체 상태에서 조금씩 움직이며 많은 비를 쏟아낸다.
북태평양 기단이 강해지면 장마전선이 북상하면서 폭우가 내린다.
반면 오호츠크해 기단의 힘으로 장마전선이 남하할 때는 이슬비가 내리면서 기온도 다소 떨어진다.
장마전선은 두 기단의 힘겨루기에 따라 불규칙적으로 남북으로 올라갔다 내려갔다 하는데,이것을 '남북 진동'이라고 한다.
6월 하순이면 장마전선은 일본 열도에 걸쳐져 있고 7월 중순이면 한반도의 중부 지방까지 올라온다.
이때가 되면 오호츠크해 고기압의 세력이 약화하기 때문에 장마전선의 위력도 점차 무뎌지기 시작한다.
그 결과 장마전선은 계속 북쪽으로 밀려 올라가고 7월 하순에는 한반도 북쪽 끝까지 올라가 결국 소멸하고 만다.
장마전선을 기준으로 각 지역의 날씨는 판이하게 다르다.
장마전선의 남쪽에 위치한 지역은 한여름 날씨를 보이고 장마전선의 북쪽에 위치한 지역은 흐린 날씨를 나타낸다.
이때 두 기단의 세력에 따라 장마전선이 일시적으로 남북으로 움직이면 장마기간 중에도 가끔 맑은 날씨가 나타나기도 하지만 오래 가지는 않는다.
장마 기간에는 집중 호우가 내릴 경우가 있다.
보통 하루의 강우량이 100mm를 초과하면 집중 호우라고 한다.
집중 호우가 한계를 넘으면 일시에 불어난 물로 인해 수해가 발생하기도 한다.
장원락 한국경제신문 과학기술부 기자 wrjang@hankyung.com
< 우리나라 강수량 70% 6~9월에 집중 >
우리나라는 원래 습한 기후대에 속해 있어 비가 많이 내리는 편이다.
대개 강수량은 남쪽 지역이 많고 북쪽으로 갈수록 줄어든다.
연간 강수량을 보면 남해안 일대와 제주도,울릉도,한강 중·상류 등 바람을 받는 지역이 많다.
반대로 낙동강 중·상류나 서해연안 섬 지방,대동강 하류,개마고원 등 바람을 피할 수 있거나 낮은 평지인 지역은 강수량이 적다.
계절에 따라 강수량의 차이도 크다.
연간 강수량의 70%가 6∼9월에 집중되고 특히 7월 강수량이 전체의 28%를 차지한다.
여름철의 비는 대개 한꺼번에 내리는 집중 호우 형태다.
장마는 여름철 가장 중요한 기상 현상이지만 장마를 거치지 않은 채 곧바로 삼복 더위로 넘어가는 해도 있다.
또 장마전선이 형성돼 있긴 하지만 제대로 비가 내리지 않는 '마른 장마'도 있다.
때에 따라서는 장마가 끝나고 1주일 이상 지난 후에 다시 장마전선이 남쪽으로 되돌아오는 현상도 나타난다.
겨울철에는 비보다 눈이 많다.
눈은 특히 지형의 영향을 많이 받는 편으로,울릉도가 우리나라 제1의 다설(多雪) 지역이다.
내륙에서는 태백산맥과 소백산맥의 산간지방에 많은 눈이 내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