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희생자'는 의미변화를 겪은 말이죠

    ‘10·29(이태원) 참사’ 여파가 이어지고 있다. 세상만사가 다 언어로 표현되기에 이번 참사에서도 주목해야 할 어휘들이 꽤 있다. 정당성을 주장하는 일부 ‘언어 간 충돌’은 ‘다툼’으로 커지고, 자칫 소모적 진영논쟁의 ‘도구’로 전락할 우려마저 크다. 우리 관심은 정치가 아니고 순수하게 말의 용법과 변화에 있을 뿐이다. 이를 통해 우리말 현주소의 일단을 살펴보는 것만으로 충분하다. 무슨 말이 맞는지, 무엇을 써야 할지 그 판단과 선택은 오로지 독자 몫이다. 요즘은 ‘애석한’ 사고사도 ‘희생’이라고 해2015년 즈음해 국립국어원 온라인가나다 코너에 ‘희생자’에 관한 문의가 늘어났다. 그동안 알고 써왔던 의미 풀이가 달라졌기 때문이다. ‘희생자’는 한마디로 ‘희생을 당한 사람’이다. 그럼 ‘희생(犧牲)’은 무엇일까? 세 가지 의미로 쓰인다. ①다른 사람이나 어떤 목적을 위해 자신의 목숨, 이익 등을 바치는 것을 뜻한다. ②사고나 자연재해 등으로 애석하게 목숨을 잃음을 가리킨다. ③천지신명 등에 제사 지낼 때 제물로 바치는, 산 짐승을 말한다. 주로 소, 양, 돼지 따위를 바친다.‘희생’은 이 중 ③에서 시작했다. 글자를 풀어보면 확인할 수 있다. ‘희(犧)’ 자는 ‘소 우(牛)+숨 희(羲)’의 결합으로, 제사에 쓸 희생물을 그렸다. ‘생(牲)’은 우(牛)와 살아있음을 뜻하는 생(生) 자가 합친 글자다. 제사 등에 바칠 살아있는 소를 말한다. ‘희생물’ ‘희생양’ 같은 말에 ‘희생’의 본래 의미가 고스란히 남아 있다. 여기서 ①의 용법이 나왔다. ‘희생번트&rsq