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커버스토리

    우주여행 시대…꿈을 '산업'으로 바꾼 인류

    리처드 브랜슨 영국 버진그룹 회장이 지난달 12일 자신이 세운 우주 기업 버진갤럭틱의 우주선을 타고 4분간 우주의 무중력을 체험하고 돌아온 데 이어 20일 아마존 창업자인 제프 베이조스도 블루오리진의 로켓으로 우주를 다녀왔습니다. 다음달에는 일론 머스크의 스페이스X가 민간인만 태운 우주선으로 지구 선회 관광에 나서기로 하는 등 민간 우주여행 시대가 본격화하고 있습니다.우주 개발(혹은 탐사)은 그동안 미국 러시아 등 강대국들이 국력을 과시하기 위해 국가적 차원에서 진행해왔습니다. 달에 사람을 보낸 데 이어 화성 목성 등 태양계 행성을 탐사하는 무인(無人) 우주선을 발사해 행성의 토양이나 대기 등을 조사해왔죠. 발사체(로켓)를 자체 기술로 우주로 내보내는 국가는 현재까지 미국 러시아 중국 영국 프랑스 일본 인도 유럽연합(유럽우주항공국(ESA)) 등 몇 개 나라에 불과합니다. 사람을 태운 유인 우주선은 미국 러시아 중국 등 3개국만 보유하고 있습니다. 우주 개발에 ‘천문학적’ 비용이 들어가다 보니 그에 대한 비판도 만만치 않았습니다. 우주 개발에 들어가는 돈의 일부만 돌려도 더 많은 국민에게 복지 혜택을 제공하거나 아프리카 등 굶주림에 처한 사람들을 도울 수 있다는 논리죠. 달 등 위성이나 행성에 대한 소유권 논란도 분분했죠.하지만 민간기업들이 뛰어들면서 우주산업이라는 새로운 사업 영역이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기업들은 대형 항공기에 우주선을 실어 높은 고도까지 올라간 뒤 로켓을 점화하거나(버진갤럭틱) 발사체를 지구에 착륙시켜 다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블루오리진, 스페이스X) 등 혁신적인 아이디어와 기술 개발로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였

  • 커버스토리

    시장논리·기술혁신으로 '뉴 스페이스' 여는 기업들

    우주탐사(space exploration) 혹은 우주 개발은 초창기에 미국과 옛 소련(러시아의 전신)의 체제 경쟁으로 시작됐습니다. 기술력을 바탕으로 우주공간에서 국가적 우위를 차지하기 위한 경쟁이었죠. 최초의 인공위성인 소련의 스푸트니크 1호가 1957년 10월 4일 발사돼 궤도에 올랐고, 미국은 1969년 7월 20일 아폴로 11호를 달에 착륙시키면서 지구 이외의 곳에 사람이 발을 디디게 했죠. 국가 주도의 우주개발 경쟁소련의 붕괴 이후 미국과 러시아는 국제우주정거장(ISS)을 공동으로 운영하고 여기에 일본과 유럽우주국(ESA) 등이 참여하는 등 국제협력이 이뤄지고 있지만, 여전히 우주개발은 국가가 주도하는 국가 간 경쟁 형태를 띠고 있습니다. 특히 옛 소련의 기술을 넘겨받아 1999년 무인 우주선 선저우 1호를 발사한 중국은 2011년 독자적인 우주정거장인 톈궁 1호를 우주공간에 올려놓는 등 현재 미국과 양강 구도를 형성하고 있죠.미국은 태양부터 목성 토성 등 주요 행성을 관찰하는 탐사선을 여럿 쏘아올려 방대한 자료를 수집하고 있습니다. 1977년 발사된 보이저 1호는 2012년 8월 25일 태양계의 경계면을 벗어나 성간우주(Interstellar)에 진입, 인류의 시야를 태양계 바깥으로 확장시켰습니다. 아직까지는 우주의 기원을 밝히고 외계 생명체의 존재를 확인하는 등 지적 호기심 충족에 그치고 있지만, 인류가 자원 고갈을 대비해 지구 이외의 다른 곳으로 이주하는 것까지 고려한 우주탐사가 진행되고 있는 것이죠.우주 식민지 건설과 관련해 과학자들이 주목하는 곳은 화성입니다. 지구와 크기가 비슷한 화성은 자전주기가 24시간 37분이며 자전축의 기울기 또한 25도로 지구와 비슷합니다. 표면 온도가 최저 -140도,

  • 시네마노믹스

    '직류' 에디슨과 대결에서 이긴 '교류' 웨스팅하우스…하지만 전류 전쟁 승자는 시장 독점한 JP모간

    전구를 발명해 어두운 밤하늘에 빛을 밝힌 발명왕 토머스 에디슨(베네딕트 컴버배치 분), 미국의 전기 보급 시장을 놓고 그와 경쟁한 조지 웨스팅하우스(마이클 섀넌 분) 등 두 사람의 대결을 그린 영화 ‘커런트 워’(2017). 에디슨제너럴일렉트릭이 직류 송전 방식인 데 비해 웨스팅하우스일렉트릭은 교류 방식이어서 비용면에서 우위에 있었다. 하지만 에디슨에게는 J P 모간(매슈 맥퍼딘 분)이라는 강력한 투자자가 있었고 두 회사는 끝없는 경쟁으로 같이 위기에 몰렸다. 에디슨은 기자들 앞에서 말을 교류 전기로 감전사시키며 전압이 낮은 직류는 안전하고, 전압이 높은 교류는 위험하다며 공세를 편다. 경쟁사에 대한 부정적 인식 퍼뜨리는 네거티브 마케팅에디슨의 전략은 경영학에서 ‘네거티브 마케팅’이라고 부르는 마케팅 전략이다. 사회적으로 금기시되는 소재를 경쟁사의 상품과 연결하는 등 소비자에게 경쟁사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심어주는 데 목적을 둔다. 1970년대 펩시가 내놓은 코카콜라 제품을 짓밟는 내용의 광고, 2019년부터 이어진 LG전자와 삼성전자 사이의 ‘TV전쟁’이 네거티브 마케팅의 대표적 사례다.에디슨의 갖은 노력에도 네거티브 마케팅은 성과를 거두지 못한다. 기자들 앞에서 아무리 많은 동물을 감전시켜 봤자, 교류로 사망한 소비자가 등장하지 않는 이상 소비자들의 인식을 바꾸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에디슨의 비서인 인설은 “교류로 죽은 사람은 없고, 당신이 죽인 고양이, 개, 양 그리고 말 11마리뿐”이라고 비난한다. 독점으로의 이동네거티브 마케팅도 실패한 전류 전쟁의 필승법은 단 하나다. 직류와 교류 진영 중 한쪽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