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과학과 놀자

    한강이 얼었어도 결빙으로 보지 않는 이유는?

    2022년 크리스마스는 많이 추웠다. 23일, 24일 서울 하루 최저기온이 영하 13도보다 낮았다. 한강이 일부 얼어 있었는데, 기상청에서는 25일에야 올겨울 처음으로 한강이 결빙됐다고 발표했다. 2021년 크리스마스에도 25일은 영하 14도, 26일은 영하 15도보다 낮았고, 역시 한강은 일부 얼어 있었다. 그런데 2022년 3월 한강이 2년 만에 또다시 얼지 않았다고 발표했다.한강이 얼었다는 기준은 무엇일까. 결론은 기상청이 정한 감시구역을 관측해 결빙을 판단한다는 것이다. 감시구역은 노량진부터 센 한강대교 두 번째와 네 번째 교각 사이, 상류방향으로 100m 떨어진 곳의 띠 모양 구역이다. 이곳이 완전히 얼음으로 덮여 강물이 보이지 않을 때를 결빙으로 판단한다. 기상 관측은 1906년 시작했고, 그 당시 노들나루로 불린 노량진은 한강의 주요 나루 중 하나였다. 관측을 위해 접근하기에 가장 적합해 이곳을 관측 지점으로 선정한 것이다.지난 5년간 관측한 결과 한강이 결빙되기 전 5일 동안 서울의 하루 최저기온이 영하 10도 이하이고, 최고기온도 영하에 머물 때 결빙되는 경향을 보였다고 한다. 하루 최저기온이 영하 10도보다 낮은 날이 나흘 이상 지속되면 한강 결빙 기사가 나올 수도 있으니 찾아보자.한강이 얼어도 관측 지점이 얼어야 결빙을 알리듯, 우리 동네 벚꽃이 피기 시작해도 개화했다는 기사는 나오지 않는다. 이번에는 벚꽃의 개화 관측 기준을 알아보자.벚꽃처럼 한 개체에 많은 꽃이 피는 다화성 식물은 한 나무에서 임의의 한 가지에 세 송이 이상 꽃이 활짝 피었을 때를 개화로 판단한다. 벚꽃의 개화는 기온과 일조시간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일조시간이 짧더라도 기온이 높으면 빨리 개화하기도

  • 사진으로 보는 세상

    봄 맞은 대학 캠퍼스

    완연한 봄 날씨가 이어진 7일 서울 관악구 서울대학교에서 학생들이 벚꽃을 촬영하며 봄을 만끽하고 있다.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