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밝히다'와 '발표하다', 취재와 자료의 차이

    “음식문화 전문가들은 한국의 식문화가 식사 소리를 장려하는 문화는 아니었다고 분석한다. … 임명호 단국대 심리학과 교수는 ‘면치기 같은 행위는 소리로써 타인에게 피해를 줄 수 있다고 생각해서 반발심이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고 말했다.”‘먹방’이 방송의 주요 콘텐츠로 자리잡은지 꽤 오래됐다. 한 신문에서 전한 이 대목은 요즘 한창 진행 중인 ‘면치기’ 대 ‘면끊기’ 논란의 일부분이다. 우리 관심은 먹방에 있지 않다. 먹방 논란을 전하는 문장 표현에 어색한 데가 있어 그것을 살펴보고자 할 뿐이다. 단어 선택, 다양하게 하되 적확하게 써야서술어로 쓰인 ‘분석하다’를 주목해 보자. ‘분석’이란 무엇일까? 사전에서는 ‘얽혀 있거나 복잡한 것을 풀어서 개별적인 요소나 성질로 나누는 것’이라고 풀이한다. 굳이 단어 뜻을 따지지 않아도, 모국어 화자라면 직관적으로 느끼는 단어 쓰임새가 있다. 예문에서 두 군데 쓰인 ‘분석’이 어색하게 느껴지는 까닭은 그 직관에서 벗어나 있기 때문이다. 분석한 게 아닌데 ‘분석’했다고 하니 글이 겉돌 수밖에 없다. 차라리 ‘말한다’ ‘보인다’ 정도면 좋았을 듯싶다.글을 ‘세련되게’ 다듬기 위해선 표현 하나하나가 격식에 맞아야 한다. 수많은 단어 중 단 하나의 단어를 의미에 맞게, 맥락에 맞게 써야 한다. 그에 따라 글의 품격이 좌우된다. 신문의 기사문장은 글쓰기의 ‘교본’으로 불리기도 한다. 하지만 ‘함정’이 도사리고 있기 때문에 이를 구분해 내는 안목이 필요하다. 올바른 서술어의 선택은 그중 하나다. 특히 ‘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