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문장을 비트는 서술어 '전망이다'

    지난 호에 이어 우리말 문장을 왜곡하는 사례를 좀 더 살펴보자. 관형어를 많이 쓰면 필연적으로 명사구 남발로 이어지고, 이는 문장의 리듬을 깨고 글을 허술하게 만든다. 부사어를 살려 쓰면 동사·형용사가 활성화돼 문장의 구색이 갖춰지고 글에 운율이 생긴다. 짜임새 있는 문장은 그 자체로 힘 있고 매끄럽다. 주어와 서술어 호응하지 않아 비문관형어를 남발하는 현상은 다양하게 발생한다. 다음 문장을 비교해보자.①그는 내일 떠날 ‘계획이다’. ②그는 내일 떠날 ‘전망이다’. 흔히 볼 수 있는 명사문인데, 두 문장은 비문 여부의 판단이 좀 다르다. ①은 서술어가 주어의 동작, 속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동사문으로 바꾸면 ‘그는 내일 떠나려고 계획하고 있다’로, 이게 기저문장이다. 그에 비해 문장 ②의 서술어 ‘전망이다’는 주어 ‘그’와 아무런 관련성이 없다. ①과 같이 ‘그는 내일 떠나려고 전망하고 있다’로 해선 의미전달이 되지 않는다. ‘전망’의 주체는 제3의 누군가로 인식되는데, ‘그’가 주어인 문장에서 서술어로 행세하고 있으니 마치 머리 따로 꼬리 따로인 셈이다. 비문에 지나지 않는다.이런 오류는 글쓰기에서 흔히 일어난다. ‘수출이 급속히 늘어날 전망이다’, ‘아파트 분양이 활발해질 전망이다’, ‘물가가 오를 전망이다’, ‘대북 관계가 악화될 전망이다’ 등이 모두 바른 표현이 아닌 이유가 여기에 있다. ‘전망이다’ 부분을 ‘~ㄹ 것으로 보인다’, ‘~ㄹ 것으로 전망된다’, ‘~ㄹ 것으로 예상된다’처럼 피동형으로 바꿔 동사문으로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것이다'를 줄이면 글이 간결해지죠

    일반적인 글쓰기에서 문장은 경쾌하게 쓰는 게 좋다. 빠른 호흡으로 짧게 끊어 쓰는 게 요령이다. 문장 뒷가지를 간결하게 마무리하는 것은 이를 위한 여러 기법 중 하나다. 그중에서 습관적으로 붙이는 ‘~하는(한) 것이다’는 특히 조심해야 한다. 특별한 의미를 더하지도 않으면서 자칫 글을 늘어지게만 하기 십상이기 때문이다.불필요하게 덧붙이는 ‘~것이다’ 많아‘~것이다’는 주로 말하는 이의 전망이나 추측, 확신 따위를 나타낼 때 쓰인다. 가령 ‘이 제품은 틀림없이 인기를 끌 것이다’ ‘내일은 날씨가 좋을 것이다’ 같은 게 그 예이다. 그런데 비슷하면서도 살짝 다른 용법이 현실적으로 널리 쓰이고 있다.<제빵 전문업체인 SPC가 제빵용 토종 천연효모를 찾아내 국내에서 처음으로 상용화에 성공했다. 서울대 농업생명과학대학과 공동연구 끝에 전통 누룩에서 천연효모를 발굴해 27가지 빵을 만든 것이다.> 여기에 쓰인 ‘것이다’는 앞말의 어떤 사실을 강조하거나 부연해 설명하는 기능을 한다. 이는 1999년 나온 <표준국어대사전>의 풀이와 용례와는 좀 다르다. 전형적 쓰임새가 아니라는 뜻이다. 2009년 <고려대 한국어대사전>에는 이런 용법이 담겼다.이 문장에서 ‘~것이다’가 꼭 있어야 할까? 글쓰기에서 ‘~것이다’는 두 가지 관점에서 조심해야 한다. 우선 부연 설명하는 데 쓰인 ‘~것이다’는 이중서술어라는 점이다. 의미를 더하기 위해 꼭 필요한 요소가 아니기 때문에 군더더기에 불과한 경우가 많다. 예문에서도 ‘~것이다’를 없애고 보면 훨씬 간결해진다. 우리가 무심코 쓰는 말 중에는 그런 것이 너무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