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디지털 이코노미

    개천에서 용이 나는 사회적 변화가 혁신

    영국이 산업혁명의 주인공이 될 수 있었던 이유는 개천에서 용이 날 수 있는 사회적 변화 때문이다. 19세기 중반의 영국에는 수만 명의 사람이 기술개발 혹은 사업 성공을 통해 현재보다 나은 계층으로 올라갈 수 있다는 기대를 품고 살았다. 국가마다 이러한 경향은 존재했지만, 영국만큼 강한 나라는 없었다. 이러한 열망의 주인공은 중간 계층이었다. 19세기 이전의 영국은 벨기에와 네덜란드, 이탈리아에 비해서도 뒤떨어진 국가였다. 1300년경 무일푼으로 시작해 성공하는 영국인은 없었고, 존재할 수도 없었다. 1577년 성직자 윌리엄 해리슨은 에서 잉글랜드에서는 사람을 신사와 도시민, 소규모 자영농 그리고 노동자와 가난한 농민, 장인, 하인으로 구분한다고 설명한다. 16·17세기에도 이러한 기조는 달라지지 않았다. 변화는 1536년 시작되었다. 엘리자베스의 아버지인 헨리 8세는 앤 불린과 결혼하기 위해 자신이 잉글랜드 교회의 수장임을 스스로 선포했다. 그러면서 수도원을 해산시키고, 재산을 몰수해 팔아버렸다. 당시 교회가 소유하고 있던 토지는 전체의 무려 4분의 1이었다. 엄청난 양의 토지가 시장에 매물로 나왔고, 몇몇 부유층 가문이 소유한 토지가 크게 늘었으며, 어느 정도 규모의 토지를 가진 사람들이 생겨나기 시작했다. 헨리 8세 이후 엘리자베스 1세의 통치 기간에는 중세 잉글랜드 사회 신분 질서의 토대가 무너지고 있었다. 런던과 항구도시에는 강력한 상업 계급이 형성되었고, 해외 교역에 활발히 참여했다. 1300년경 가장 낮은 계급이던 자영농과 숙련 장인이 경제적·사회적으로 비중 있는 세력으로 부상한 것이다. 사회적 변화는 제임스 1세가 왕권신수설을 선포하면서 급격히 속

  • 디지털 이코노미

    산업혁명이 영국에서 시작된 이유는

    산업혁명은 영국에서 시작됐다. 갈릴레오 갈릴레이의 비서였던 에반젤리스타 토리첼리가 발견한 ‘공기에 무게가 있다’는 통찰을 토대로 토머스 뉴커먼이 증기기관을 만들면서 가능해졌다. 하지만 이런 기술적 성과는 영국에서 산업혁명이 시작된 이유를 설명하기에 턱없이 부족하다. 산업혁명 이전 영국이 아닌 다른 국가에도 훌륭한 기술은 얼마든지 많았기 때문이다.경제적 동기의 부재조지프 슘페터는 어떤 기술이 사회에 채택되려면 무엇보다 필요성이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고대 그리스 로마 시대에는 노예가 기계보다 저렴했고, 이 점이 비싼 기계를 개발하고 채택할 인센티브를 제공하지 않았다는 주장이다. 노예는 산업화 이전 시대의 로봇이었다. 실제 헝가리에서는 봉건 영주를 대신해 일하는 무보수 농노를 ‘로보트닉’이라고 불렀다.노예는 오늘날 어떤 로봇 테크놀로지로 달성할 수 있는 수준보다 훨씬 다양한 육체 노동이 가능했다. 물론 논쟁의 소지가 많은 주장이다. 중요한 것은 기계화의 인센티브는 노동자의 자유가 아니라 노동의 가격이라는 점이다. 산업화 이전 사회에서 노동 가격은 낮았다. 1927년 미시시피강 범람으로 흑인 가족이 일자리를 찾아 범람 지역을 떠나자 노동력 손실이 불가피한 농장주들은 비로소 기계화 방향으로 선회했다.반대 주장도 있다. 산업화 이전 세상에서는 발명이 필요의 어머니라는 것이다. 기존 수요에 대응해 기술이 개발된 것이 아니라 산발적이고 우연한 기술 발전이 전에 없던 새로운 욕구와 수요를 창출했다는 것이다. 문제는 당시의 혁신은 부담은 크고 보상은 작았다는 점이다. 대량생산이 어려웠고, 사회적 안전망이 부족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