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숫자로 읽는 세상

    가계 빚 1862조 '사상 최대'…1인당 3593만원 빚진 셈

    지난해 말 가계부채가 1860조원을 넘어서며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집값 폭등’에 따라 가계의 차입금 조달 유인이 이어진 결과다. 올 들어 시장금리가 치솟고 있는 만큼 가계의 이자비용 부담이 민간 소비를 옥죄고, 대출 부실로 이어질 우려도 커졌다는 지적이다.한국은행이 22일 발표한 ‘2021년 4분기 가계신용(잠정치)’을 보면 작년 12월 말 가계신용은 1862조653억원으로 집계됐다. 가계신용은 금융회사의 가계대출에 신용카드 할부액 등 판매신용을 합한 것으로, 대표적 가계부채 지표로 통한다.가계신용은 작년 연간 기준으로 134조1493억원(증가율 7.76%) 불었다. 담보인정비율(LTV)을 비롯한 대출 규제를 푼 2016년(139조4276억원)에 이어 역대 두 번째로 증가폭이 컸다. 작년 4분기만 놓고 보면 19조1000억원 늘었다. 같은 해 2분기(43조5000억원), 3분기(34조9000억원) 증가폭과 비교하면 절반 수준으로 급감했다.작년 가계신용 잔액은 2020년 GDP(명목·1933조1524억원)의 96.3%에 달하는 규모다. 지난해 인구 추정치가 5182만여 명이란 점을 고려하면 국민 한 사람당 3593만원의 빚을 지고 있다는 의미다. 작년 가계 빚이 급증한 것은 주식·부동산을 사들이기 위해 전방위에서 차입금을 조달한 영향이다. 가계신용 가운데 판매신용을 제외한 가계대출은 지난해 말 1755조7818억원으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연간으로 123조7597억원 늘었다. 가계대출 가운데 주택담보대출은 982조3970억원, 신용대출을 포함한 기타대출은 773조4000억원으로 각각 71조7676억원, 52조77억원 늘었다. 모두 2016년 후 증가폭이 가장 컸다. 이자비용이 불어나는 데다 부동산 등 자산가치 하락이 겹칠 경우 가계는 물론 실물경제에도

  • 숫자로 읽는 세상

    급증하는 가계 빚을 줄이기 위해 대출을 막겠다는 거죠

    금융위원회는 2008년 3월 설립된 정부 기구입니다. 금융 정책을 짜고 금융 제도를 만들고 금융기관을 감독하는 일을 하죠. 금융 부문 최고 의사결정 기구라고 보면 됩니다. 대통령이 위원장을 임명합니다. 특수법인인 금융감독원과 헷갈리기도 합니다만 금융위원회가 상급기관입니다. 금감원은 금융위의 지시를 받죠. 고승범 금융위원장은 최근 취임했습니다.가계대출 총량 규제는 은행들이 경제주체의 하나인 가계에 대출해주는 규모를 줄이도록 제한하겠다는 뜻입니다. 이유는 가계들이 은행빚을 너무 내서 쓰고 있기 때문입니다. 가계 빚이 과하면 경제 전체에 악영향을 미칩니다. 가계 빚이 지난 8월 전년 8월에 비해 거의10%가량 늘어난 상태입니다. 이렇게 늘어난 이유는 저금리여서 돈을 그만큼 빌려쓰기 쉽고, 이자가 싼 돈으로 국내외 주식, 부동산, 비트코인 등 투자하려는 사람이 급증했기 때문입니다. 여기에다 코로나 불경기에서 살아남기 위해 자영업자들이 빚을 많이 냈고, 급등한 전·월세를 내려는 실수요자들이 더욱 늘어난 원인도 작용했습니다.금융위는 은행들이 대출을 까다롭게 해주도록 압력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은행들은 규제감독기관인 금융위를 무서워 합니다. 금융위원장의 말을 거역하기 힘든 구조이죠. 가계 부채를 줄이려면 내년까지 같은 정책이 유지되어야 효과를 봅니다. 최근 들어 대출 규제를 시작한 만큼 1년 이상 유지하려 합니다.후유증도 우려됩니다. 전·월세 등 각종 비용이 증가하는 마당에 대출을 줄이면 자금 실수요자들이 타격을 받을 수 있습니다. 금융위는 지난 4년여 동안 집값이 급등했기 때문에 실수요자의 자금 수요를 무시할 수 없는 상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