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과학과 놀자

    편안한 음악이 뇌 활동 안전상태로 되돌려

    차나 배를 타면 종종 어지럽고 속이 미식거리는 멀미 증상이 나타난다. 과학자들은 그간 멀미가 생기는 이유에 대해 다양한 가설을 내놓았는데, 그중 ‘감각 불일치’로 발생한다는 해석이 가장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다. 달리는 차에 앉아 있으면 눈은 ‘가만히 있다’고 인식하고, 귓속 평형감각 기관은 ‘움직이고 있다’고 판단한다. 이 때문에 뇌가 혼란을 일으켜 멀미가 생긴다는 것이다. 다만 감각 불일치만으로 모든 현상을 설명하기 어려우므로 멀미는 여러 요인이 겹쳐 나타나는 복합적 현상으로 보는 게 합당하다.원인이야 어찌 됐든 이 불청객을 피하기 위해 사람들은 오래전부터 다양한 방법을 시도해왔다. 멀미약을 먹거나 생강 캔디를 씹고, 차 앞좌석에 앉아 페퍼민트 향을 맡으며 창밖 수평선을 바라보는 식이다. 흥미롭게도 이 가운데 많은 사람이 선택하는 방법 중 하나가 바로 ‘음악 듣기’다. 음악이 긴장을 풀고 주의를 분산시켜 멀미 증상을 완화하는 듯한 느낌을 주기 때문이다. 그런데 과학적으로도 정말 효과가 있을까? 또 음악이라면 아무 장르나 괜찮은 걸까 아니면 특정한 장르의 음악이 더 효과적일까. 최근 중국의 한 대학교 연구팀이 이 질문에 답을 내놨다.연구팀은 달리는 차에 앉아 있는 상황을 재현한 ‘운전 시뮬레이터’를 이용해 실험 참가자 40명에게 일부러 멀미를 유발한 후 밝고 경쾌한 음악, 잔잔하고 편안한 음악, 슬프고 우울한 음악, 그리고 무작위 소리(화이트 노이즈) 등 네 가지 유형의 음악을 들려줬다. 그리고 뇌파를 측정해 멀미 정도를 수치로 나타냈다. 이른바 ‘멀미 지표’다. 멀미가 심해지면 뇌파는 다양한 패턴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