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제조업 지형도 변화
-
경제 기타
AI가 돌리는 공장, 경제 지형 어떻게 바꿀까
올 들어 한국 공작기계와 산업용 로봇을 사려는 주문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업 무인화 흐름이 이어지는 가운데 미국발 관세전쟁으로 원가 절감 목적의 자동화 투자가 급격히 늘어난 영향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 2025년 5월12일자 한국경제신문 -미·중 갈등과 관세전쟁 등으로 공급망 리스크가 커지는 가운데 전 세계 제조업체들이 무인·자동화 공장 ‘다크 팩토리’ 구축으로 활로를 찾고 있다는 내용의 기사입니다. 다크 팩토리는 인공지능(AI)과 로봇, 사물인터넷(IoT)등 첨단 기술을 결합해 공정 100%를 자동화함으로써 사람 없이 불이 꺼진 채 24시간 가동될 수 있는 스마트공장을 의미합니다.다크 팩토리를 가동시키는 핵심 기술이 ‘AI 자율 제조’입니다. AI가 제품의 수요와 공급을 예측해 생산 계획을 세우고, 로봇 팔이 쉼 없이 부품을 조립하고, 센서가 불량품을 찾아내는 것인데요.AI 자율 제조 확산을 두고 학계에선 생산효율 극대화로 인류를 고된 육체노동에서 벗어나게 할 혁신이라는 긍정론과 극소수 근로자와 기업만이 생산성 경쟁에서 살아남으면서 양극화가 심화할 것이란 우려가 공존하고 있습니다. AI 자율 제조가 경제에 미칠 영향을 경제학적으로 분석해보겠습니다.AI 자율 제조의 도입은 경제학적으로 ‘총요소생산성’ 개선을 통해 ‘공급’에 영향을 끼칩니다. 총요소생산성은 노동과 자본 등 생산요소를 투입한 것 이상의 순수한 기술, 효율성, 제도, 혁신 등으로 인한 생산력 향상을 의미합니다. 쉽게 말해 똑같은 양의 자원을 사용해 얼마나 효율적으로 많은 것을 만들어내는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다크 팩토리가 실현되면 생산성은 비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