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역사 기타

    주화 속 금·은 비율은 '경제 상황' 알려주는 지표

    달도 차면 기우는 법. 영원할 것만 같던 로마제국의 영광도 서서히 빛을 잃었다. 3세기 이후 로마의 영토 확장이 한계에 이르면서 정복을 통한 전리품 유입이 크게 줄었다. 하지만 로마제국의 씀씀이는 변함이 없었다. 대규모 공사와 왕실의 사치를 위한 자금 수요는 끝이 없었다. 또 시민들의 환심을 사기 위해 황제들은 많은 재물을 계속 풀어야 했다. 제정 로마 시기의 ‘경제 위기’를 살피는 지표로 흔히 언급되는 것이 주화에 함유된 귀금속 비율이다.은화인 데나리우스와 금화인 아우레우스에 포함된 금과 은 같은 귀금속의 비율은 지속해서 줄었다. 주화의 액면가치는 그대로 둔 채 크기와 함량을 줄이는 ‘장난’을 쳐서 동일 양의 금속으로 더 많은 화폐를 만들어낸 것이다. 이 방법은 돈이 필요할 때 세금을 올리는 방식보다 시민들의 저항도 훨씬 적었다.로마시대에 교환의 기준 역할을 한 것은 무게 3.65g짜리 데나리우스였다. 트라야누스 황제 시대에 데나리우스 은화는 순은 함유량이 90~100%에 가까웠다. 이런 수준이 흔들리기 시작하더니 160년경부터는 은 함유량이 80%로 바뀌었고,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황제 때는 함유량이 지속적으로 줄었다. 193년 77%이던 은 함유량은 194년 66%, 200년 61%로 하락했고, 마침내 55~58% 수준에 이르렀다.카라칼라 황제 시대가 되면 은 함유량이 50%만 넘어도 좋은 은화로 여겨졌고, 로마제국은 결국 새로운 은화인 안토니니아누스를 주조했다. 새 주화는 명목상으론 2데나리우스의 가치를 표방했지만, 실제 가치는 기존 데나리우스화의 1.6배에 불과했다. 무게도 데나리우스화보다 줄어 5.18g(2데나리우스는 7.3g)이었다.하지만 새 주화도 여전히 은 함유량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