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개토태왕 담덕
-
이근미 작가의 BOOK STORY
한민족 최고의 군주…중국을 압도했던 역사
숏폼의 인기가 치솟는 시대여서 공모전 당선 소설들도 점점 짧아지는 추세다. 예전에는 장편소설 공모 기준이 1000매(200자 원고지 기준) 내외였는데 요즘 500매로 줄었다. 긴 소설이 외면받자 대하소설을 내던 작가들도 대개 3권 혹은 2권으로 완간한다. 이러한 시류에 아랑곳하지 않는 책이 출간되었다. 10권짜리 <광개토태왕 담덕>은 전체 원고량이 무려 1만1000매에 이른다.<광개토태왕 담덕>을 쓴 엄광용 작가는 2022년 7월에 1권과 2권을 출간하고, 2025년 2월 말에 10권을 냈다. 작가가 2000년대 초반에 이 소설을 처음 기획했으니 장장 20년에 걸쳐 완성한 셈이다.엄광용 작가는 1990년 ‘한국문학’에 중편소설 <벽 속의 새>로 문단에 데뷔했다. 장편 역사소설 <사냥꾼들> <천년의 비밀>, 창작집 <전우치는 살아 있다> <징비록에서 역사의 길을 찾다> 외 다수의 책을 냈다. 2015년 장편 역사소설 <사라진 금오신화>로 류주현 문학상을 수상했다. 중앙대학교 문예창작학과를 졸업하고 12년간 기자로 활동한 이후 전업 작가로 나선 그는 고구려연구회 회원으로 국내 답사를 다니던 중 <광개토태왕 담덕>을 쓰기로 결심했다. 만주·백두산·실크로드 등 해외 답사를 다니면서 광개토태왕의 원정길을 추적하고, 단국대 대학원 사학과에서 박사과정을 수료하기까지 공부를 게을리하지 않았다.엄광용 작가는 왜 광개토태왕에 관해 이토록 긴 소설을 썼을까. 한 인터뷰에서 “중국의 <삼국지>나 일본의 <대망> 같은 국민 역사소설을 써보고 싶었다. 그런 소설의 소재로 광개토태왕을 뛰어넘는 인물이 없었다. 우리의 옛 영토를 가장 넓게 확장시킨 영웅의 이야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