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우리말의 다양성 잡아먹는 '굉장히'

    ““얼마나 다쳤어?” “굉장히 다쳤어요.” “굉장히가 얼마만큼이지?” “글쎄, 굉장히 다쳤대요.” 아마 죽기 직전의 상처면 한 바늘 꿰맬 정도에서부터 모두 ‘굉장히’인지도 모른다.” 우리말에서 ‘굉장하다’가 무소불위의 힘으로 그 쓰임새를 넓혀간 지는 꽤 오래됐다. 1977년 12월 5일 자에서 한 신문은 남녀노소 할 것 없이 말끝마다 ‘굉장히’를 ‘굉장히’ 많이 쓰고 있다며 우리말 세태를 비판했다.토박이 정도부사 써야 우리말 살아‘굉장하다’의 오남용이 우리말에 끼치는 폐해는 크게 두 가지다. 하나는 지난 호에서 살펴봤듯, 우리말의 ‘논리적·합리적 표현’에 역행한다는 점이다. 크고 대단한 기세를 나타내는 ‘굉장(宏壯)’을 좋고 슬프고 하는 감성어와 결합함으로써 ‘언어적 자연스러움’을 떨어뜨린다. 심지어 “굉장히 작다” 식으로 의미영역이 반대인 말과 함께 쓰기도 한다.다른 하나는 ‘굉장하다’의 남발이 수많은 토박이말 어휘를 잡아먹어 우리말의 다양함과 풍성함을 해친다는 것이다. 우리말에 ‘보통보다 훨씬 더’라는 강세 어감을 드러내는 말이 꽤 많다. ‘매우, 무척, 아주, 되게, 몹시, 엄청, 무지, 너무, 하도, 사뭇, 퍽, 꽤, 제법, 자못, 대단히, 정말, 참, 상당히, 진짜로, 많이….’ 이들은 모두 정도부사로, 영어의 ‘very’에 해당하는 어감을 전달할 수 있다.정도부사란 수식받는 말의 정도를 한정하는 부사로 강세 어감을 나타낸다. ‘철수는 매우 멋있다’에서 ‘매우’, ‘정상까지 너무 멀다’에서 ‘너무’가 그런